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이번 시간에는 시제를 정리(tense)해 보겠습니다.

 

 

영어의 시제에는 기본적으로 현재와 과거 두 가지가 있습니다. 어려운 시제 이름들은 여기에서 파생된 것들입니다. ‘미래 시제’는 독립적인 시제라기보다는 현재 시제를 이용한 표현방법 중 하나입니다. 시제의 명칭에 집착하지 말고, 시제 별 의미를 파악하는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 이 장에서는 시제의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1.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것은 현재시제다.

 

현재시제는 현재의 동작이나 사실을 나타냅니다. 특히 단순 현재시제는, ‘상당한 기간 변하지 않고 계속(또는 반복)되는 동작을 나타냅니다. 현재를 나타내는 시제로 현재진행형과 현재완료가 있습니다. 현재진행형은 ‘지속성이 없는 한 순간의 동작’을 나타내고, 현재완료는 ‘어떤 사건이 과거에 시작되어 지금도 계속되는 것을 말합니다.

 

(1) I often buy the book. 단순 현재, 습관적으로 그 책을 산다.

그 책을 자주 산다.

(2) I am buying the book now. 현재 진행형, 지금 이 순간 그 책을 사고 있다.

 그 책을 지금 사고 있다.

(3) I have bought the book. 현재완료, 과거에 그 책을 사서 지금도 가지고 있다.

그 책을 샀다.

 

2. 과거 시제는 현재와 관련이 없다.

 

과거시제는 과거의 동작이나 사실을 나타내므로 현재와 관련이 없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1분 전이건, 1시간 전이건, 1년 전이건, 1만년 전이건 과거 사건은 단순과거로 나타냅니다. 과거진행형은 과거의 특정한 순간에 발생했던 사건을 말하고, 과거완료는 과거 이전에 발생한 일을 나타냅니다.

 

(1) I bought the book. 단순 과거, 습관적으로 그 책을 샀다.

 과거에 그 책을 샀다.

(2) I was buying the book when you saw me. 과거 진행형, 그 책을 사고 있던 중이었다.

     책을 사고 있었다.

(3) I had bought the book before I met you. 과거완료, 당신을 만났던 것보다 책을 먼저 샀었다.

      그 책을 샀었다.

 

3. 미래 시제는 실현 가능성이다.

 

미래시제는 확실성(실현 가능성)이 구별기준이 됩니다.특히 현재와 현재와 현재 진행형은 (1),(2)번에서처럼,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를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실현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각 미래 시제를 살펴 봅시다.

(1) I buy the book. 단순 현재로 미래 의미 표현

     그 책을 산다.

(2) I am buying the book.  현재 진행형으로 미래 의미 표현

 그 책을 살 것이다.

(3) I have bought the book by this Friday. 현재 완료로 미래 표현

   그 책을 산다.

(4) I am going to buy the book. ▶ be going to로 미래 표현

   그 책을 살 것이다.

(5) I will buy the book.  미래 조동사 will로 미래 표현

 그 책을 살 것이다

(6) I will have bought the book by this Friday. 미래 완료로 미래 표현

    그 책을 살 것이다.

 

(3), (6)번은 편의상 함께 다루겠습니다)

 

(1)-(6)번까지의 미래 표현들은 확실성에 차이가 있습니다.

(1), 단순 현재로 미래표현: 지금까지 규칙적으로 그 책을 샀고, 앞으로도 변함없이 그 책을 살 것입니다.

(2), 현재 진행형으로 미래 표현: 확실히 그 책을 살 것입니다.

(3),(6)번 완료 시제로 미래표현 : 특정시점(this Friday)까지 그 책을 사게 될 것입니다. 확실성보다는 특정시점을 강조합니다.

(4) be going to로 표현: (2)번 현재진행형보다 더 구체적입니다. 책을 사기로 마음을 먹었고 꼭 살 것입니다.

(5) will로 미래 표현: 지금 그 책을 사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 실현 가능성은 90% 정도입니다.

 

 

이상으로 시제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참고: 시제 직전 정리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명사 another  (0) 2014.12.22
불규칙 비교급  (0) 2014.12.18
수여 동사 (4형식)  (0) 2014.12.13
조동사 should  (0) 2014.12.10
조동사 can  (0) 2014.12.08

준동사 시제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준동사의 시제를 공부하겠습니다.




준동사란 무엇인가?


준동사란 ‘동사역할을 하는 것들’입니다. 영어에서 준동사는 'to 부정사, 동명사, 분사‘가 있습니다.


각 준동사별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to 부정사 : to + 동사원형

동명사, 분사 : 동사원형 ~ing


준동사의 형태에서 보듯이, 준동사는 동사에서 파생된 말입니다. 그러므로 당연히 동사적 성격을 갖고 동사가 하는 일은 거의 다 합니다. 즉, 주어가 오고, 목적어를 취하고, 부사의 수식을 받고, 시제가 있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준동사의 시제를 공부해 봅시다.



준동사의 시제


준동사의 시제는 크게 보아 단순시제, 완료시제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용어가 어려워 보이지만 이해만 하면 됩니다.


단순시제

단순 시제란 준동사의 일반적인 형태를 말합니다.

'to 동사원형', '동사원형 ~ing'


부정사, 동명사 그리고 분사의 일반적이고 익숙한 형태입니다. (단순)부정사, (단순)동명사, (단순)분사에서 ‘단순’이라는 말을 생략한 형태입니다.


완료시제

완료시제란 조동사 have가 들어간 형태를 말합니다.

완료부정사 : to have p.p

완료동명사: having p.p

완료분사: having p.p.


완료시제는 자주 사용됩니다. 

그러므로 확실하게 이해하고 익혀 두어야 합니다.



그런데 단순 준동사와 완료 준동사는 어떤 의미차이가 있을까요? 의미도 모르고 형태와 용법만 외우는 것은 별로 쓸모가 없습니다. 문법이란 죽은 규칙들이 아니라 살아 있는 언어를 모아 놓은 것입니다.


그럼 단순 준동사, 완료 준동사의 용법을 정리해 봅시다.

단순 준동사: 본동사와 같이 발생한 사건

완료 준동사: 본동사보다 먼저 발생한 사건


이렇게 쓰고 봐도 내용이 잘 안들어 오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예문을 보면서 차이점을 공부해 봅시다.



1. 단순 부정사, 완료 부정사


(1) 단순 부정사

    ex) I'm glad to see you. 기쁘다/ 너를 봐서

단순 부정사는 문장의 동사와 동시에 발생한 사건입니다. 즉, 문장의 본동사 ‘기쁜 것’과 부정사 ‘너를 본 것’이 동시에 발생했습니다. ‘보는 순간 기뻤다’는 말입니다.


(2) 완료 부졍사

    ex) I'm glad to have seen you. (지금)기쁘다/ 너를 (과거에) 봤던 것이.

완료 부정사는 문장의 동사보다 먼저 발생한 사건을 말합니다. 예문에서는 기쁜 것보다 너를 본 것이 먼저 발생했습니다. 즉, 기쁜 것은 지금이지만 너를 본 것은 ‘그 이전’이었습니다. 보고 나서 시간이 지나 기뻐한다는 뜻입니다.



2. 단순 동명사, 완료 동명사


(1) 단순 동명사

    ex) She is proud of working with Brad Pitt.

         (그녀는 자랑스러워 한다/ 브래드 피트와 일하는 것을)

단순 동명사는 문장의 동사와 동시에 발생한 사건입니다. 예문에서는, 기뻐하는 사건과 일하는 사건이 같이 발생합니다. ‘일하는 것을 자랑스러워 하다’라는 의미입니다.


(2) 완료동명사.

    ex) She is proud of having worked with Brad Pitt.

        (그녀는 (지금) 자랑스러워 한다/ 브래드 피트와 (과거에) 일했던 것이)

완료 동명사는 문장의 동사보다 먼저 발생한 사건입니다. 예문에서는, 일하는 사건이 기뻐하는 것보다 먼저 발생했습니다. ‘일했던 것을 자랑스러워 하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3. 단순 분사, 완료 분사


(1) 단순 분사

    ex) Walking along the street, I met my old friend. (단순분사구문)

         (거리를 걷다가, 나는 옛날 친구를 만났다)

단순 분사구문은 문장의 동사와 동시에 발생한 사건입니다. 예문에서는, 걷는 사건과 만난 사건이 동시에 발생합니다. 그러므로 단순 분사구문을 썼습니다.


(2) 완료 분사

    ex) Having read the book, I knew the answer. (완료분사구문)

         (그 책을 읽었기 때문에, 나는 답을 알았다)

완료 분사구문은 문장의 동사보다 먼저 발생한 사건입니다. 예문에서는, 책을 읽고나서 답을 아는 것입니다. 즉, 책을 읽는 사건이 먼저 발생합니다. 그러므로 완료분사구문을 썼습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단순 준동사 : 본동사와 동시에 발생한 사건

완료 준동사: 본동사 보다 먼저 발생한 사건

 

이상으로 준동사의 시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문법 용어 정리 (part 2)  (0) 2014.06.15
영문법 정리 (part 1)  (1) 2014.06.13
상관접속사와 병렬구조  (3) 2014.06.10
영어 문장성분  (2) 2014.06.09
동명사 주어  (0) 2014.06.06

시제의 개념과 단순시제




1. 시제


‘시제’는 동사로 시간을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기본적으로 현재, 과거, 미래의 3가지로 나누고 이를 조금씩 변형해 조금 더 다양한 시제를 사용합니다. 문장 안에서 동사가 나타내는 시점이 언제인지를 항상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2. 단순시제


단순시제에는 현재, 과거, 미시제가 있습니다. 


(1) 현재와 과거 : 동사의 모양을 변형시켜 사용합니다.

(2) 미래 : 다른 것(주로 조동사)과 결합해 나타냅니다.





동사 take를 예로 보겠습니다.



take의 단순시제


(1) I take a picture of my cat everyday.   (현재)

    (나는 고양이의 사진을 찍는다/ 매일.)   (현재형, take)

(2) I took a picture of my cat yesterday.  (과거)

    (나는 고양이의 사진을 찍었다/ 어제.)   (take의 과거형, took)

(3) I will take a picture of my cat tomorrow.  (미래)

    (나는 고양이의 사진을 찍을 것이다/ 내일)   (take의 미래형, will take)




사실 시간을 무 자르듯이 현재 과거 미래로 나눌 수는 없습니다.

시간은 연속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편의상 시간을 구분한 것입니다. 

순전히 학습의 편의를 위해서죠.


시간 속에서 살고 있는 우리,

그렇지만 웬지 시간에 대한 공부는 힘들어 합니다. 


이것만 알아두시면 됩니다.


'과거와 현재만이 있다.'

모든 것은 과거와 현재가 만드는 것입니다. 

미래는 과거와 현재에서 파생되는 것입니다. 


고맙습니다, 여러분.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가정법 과거





두가지 포인트


첫 번째 공부할 가정법은 가정법 과거입니다.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여러분들이 반드시 알아 두셔야할 것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가정법은 실의 반대이다.

(2) 가정법은 시제.


가정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 두 가지입니다. 

앞에서 잠깐 말했듯이 가정법은 ‘사실의 반대’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의 반대’를 나타내기 위한 각각의 시제와 형식이 정해져 있습니다. 그러므로 각 가정법의 시제와 형식을 정확하게 알아두셔야 합니다.




가정법 과거


그럼 가정법 과거를 설명하겠습니다.


(1) 가정법 과거: 현재 사실의 반대를 나타낸다.

(2) 형식: If + S + 과거형S + 조동사 과거형 + 동사원형


  가정법 : If I were a bird, I could fly to you.   (내가 새라면 당신에게 날아갈텐데.)

  직설법 : I am not a bird, so I can not fly to you.

              (나는 새가 아니라서, 당신에게 날아갈 수 없다.)




과거조동사 


주절에서 조동사는 ‘would, could, should, might'가 올 수는 있습니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would'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그리고 이 문장과 같이 ‘가능’이라는 의미가 있을때는 ‘could'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가정법 과거에서 'might', should'를 쓸 수도 있지만 그렇게사용빈도가 높지는 않습니다.




위에서 보았듯이 가정법 과거는 ‘현재 사실의 반대’를 나타냅니다. 해석은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그리고 현대 영어에서는 ‘were' 대신에 ’was‘를 많이 쓰기도 합니다.



가정법은 시제


중고등학교 내신이라면 직설법을 가정법으로 고치는 문제가 출제 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수능을 포함한 상위 영어 시험에서 가정법은 ‘시제’를 묻는 문제만 출제됩니다. 가정법 문법이 파괴되어 가는 추세이다 보니 가장 확실한 ‘시제’만 물어보는 것 같습니다.


시제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가정법 과거 형식을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포인트는 if절의 ‘과거형 동사’와 주절에서 ‘과거조동사 + 동사원형’을 일치시키는 것입니다.




그럼 간단한 문제를 통해서 적용해 보겠습니다.



가정법 시제 문제


(1) If I (am, were) you, I wouldn't do that.

(2) If I were young again, I (can, could) do anything.


(1)번에서는, 주절에서 '조동사의 과거형 + 동사원형‘이 왔습니다. 가정법 과거죠. 그래서 주절도 ’과거형'을 써주어야 합니다.

(2)번에서는, if절에 과거동사가 왔습니다. 가정법 과거이므로 주절은 ‘조동사의 과거형 + 동사원형’이 와야 합니다.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가정법 과거는 과거 사실의 반대다. 

시제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상으로 가정법 과거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sh 용법  (2) 2013.03.09
가정법 과거완료  (6) 2013.03.09
if (가정, 조건)  (12) 2013.03.08
조동사 have pp  (13) 2013.03.07
must, must have p.p (추측)  (8) 2013.03.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