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사들의 순서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부사들의 순서를 공부하겠습니다.


난이도

★★★☆☆


부사()들은 종종 연속해서 사용됩니다. 이 경우, 부사들의 순서는 의미상 중요도와 문법에 의해 결정됩니다.

 

1. 의미상 중요도


의미가 더 중요할수록 수식 받는 동사 가까이 둡니다.


(1) We had a party at the club in the town.

   (우리들은 파티를 했다/ 클럽에서/ 시내에 있는)


이 문장에는 두 개의 부사구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더 중요한 정보는 클럽에서입니다. 좀 더 자세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at the club’‘in the town’보다 앞에 왔습니다. 수식을 받는 동사 ‘had’에 더 가까이 둔 것입니다.


예문을 더 봅시다.

(2) We had a date on Monday this week.

   (우리는 데이트했다/ 월요일에/ 이번 주)


(2)번에서도 구체적인 정보를 담고 있는 ‘on Monday’가 더 중요한 정보입니다. 그러므로 덜 구체적인 ‘this week’ 앞에 써 주었습니다.


부사()가 연속해서 올 때는 의미상 더 중요한 정보를 앞에 써 줍니다.



2. 시간적 공간적 크기


시간적 공간적으로 작은 부사를 큰 부사 앞에 써 줍니다. 이 부분은 1번에서 설명한 의미상 중요도와 일맥 상통합니다. 보통은 작은 부사들이 더 구체적이기 때문에 정보적 중요성이 더 큽니다.


(1) 장소, 방향 부사들의 연속

장소부사()들이 연속될 때는 좁은 장소넓은 장소앞에 옵니다.


We had a party at the club in the town.

이 부분은 전치사의 의미와 일맥 상통합니다. 전치사 at은 좁은 장소에, in은 넓은 장소에 쓰입니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at 부사구‘in 부사구앞에 옵니다.


방향을 나타내는 부사들이 연속될 경우에도 작은 것을 먼저 써 줍니다.

② We walked the first step toward our goal.

   (우리는 걸어갔다/ 첫 걸음을/ 우리의 목표를 향해서)

‘the  first step’‘toward our goal’보다 훨씬 더 작고 구체적이므로 앞에 썼습니다.

 

(2) 시간 부사들의 연속

시간부사들도 작은 시간대큰 시간대앞에 써 줍니다.


① We had a date on Monday this week.

‘on Monday’‘this week’보다 작은 시간대이므로 더 앞에 써 주었습니다.

 

②  I was born at January 27 in 1990.

   (나는 1 27일에 태어났다/ 1990년에)

마찬가지로 더 작은 시간대인 ‘at January 27’을 보다 큰 시간대인 ‘in 1990’ 앞에 써 주었습니다.

 

시간 부사구와 부사절이 연속해서 올 수도 있습니다. 부사구와 부사절이 연속될 경우에는 더 길고 무거운부사절을 뒤에 써 줍니다.

 

③ We went through in the eighties when the world was turbulent.

   (우리들은 80년대를 살았다/ 세계가 심하게 요동칠 때인)


그럼 이상으로 부사들의 순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용사들의 순서  (8) 2014.02.24
부정관사의 의미  (5) 2014.02.22
전치수식, 후치수식  (11) 2014.02.19
부정대명사 none  (8) 2014.02.18
that of, those of  (10) 2014.02.17

1. 주어와 동사



ex1) I will always love you.
위 문장에서 주어 동사를 찾지 못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렇다면 아래 문장은 어떨까요?
ex2) The number of syllables in the English names of finite integers tends to increase as the integers grow larger, and must gradually increase indefinitely, since only a finite number of names can be made with a given finite number of syllables.
- Russell -
 
 41개의 단어로 구성된 위 문장에서 주어와 동사를 찾기란 그리 만만치 않습니다. 운 좋게 'integer(정수)‘라는 단어까지 알았다고 해도 이해가 안 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이번에는 주어와 동사만 찾아서 해석해 봅시다.
 
ex3) The number of syllables in the English names of finite integers tends to increase as the integers grow larger, and must gradually increase indefinitely, since only a finite number of names can be made with a given finite number of syllables.
- Russell-
 
 대충 다음과 같은 의미가 될 것입니다. 
  ⇒ 음절수는 증가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빠졌지만 음절의 수에 관한 말이라는 것과, ‘그것이 증가한다’라는 것 정도는 알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을 알려면 어휘력도 필요하겠지만, 주어와 동사만 파악해도 대충의 내용은 알 수 있습니다. 
 
 
 영어 해석의 기본은 ‘주어와 동사를 찾는 것’입니다. 짧은 문장만 접할 생각이라면 굳이 ‘주어와 동사’를 찾아가며 읽을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길고 수준 높은 내용이 담긴 글은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문장 구조가 복잡합니다. 이럴 때 독해의 나침반은 결국 ‘주어와 동사’를 정확하게 찾는 것’입니다. 



그러면 주어와 동사를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다음 질문을 봅시다.


Q. 영어에서 가장 중요한 문법 요소가 무엇인가? 
A. 동사이다. 
 

 영어를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렇게 답하고, 이것은 실제로 정답입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영어 학습서는 동사에 대한 설명이 주를 이루며 ‘해석할 때는 동사를 먼저 찾아라’라는 말까지 등장합니다. 
 
 하지만 EX2)의 문장에서 동사를 먼저 찾아봅시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는 방식에 익숙한 우리의 눈은 자연스럽게 첫 단어부터 읽기 시작합니다. 어떤 사람도 문장중간부터 읽지는 않습니다. 
 
 이렇게 당연한 사실을 무시하고 동사부터 찾는 것은 ‘수레를 말 앞에 놓는 것입니다.' 아무리 급해도 그렇지 수레가 말을 끌 수는 없습니다. 

'Back Up > 여기는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sic Grammar OO2 -문법과 명사-  (0) 2012.03.09
Reading Classics 002 - 셜록 홈즈 in 'A Study in Scarlet'  (0) 2012.03.09
English Writing file-004  (0) 2012.03.08
English Writing file-003  (0) 2012.03.08
Reading Classics 000  (0) 2012.03.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