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부정관사 용법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부정관사의 용법을 간단히 정리하겠습니다.



1. 부정관사+단수명사


부정관사는 단수 명사앞에서만 사용됩니다. 부정관사는 셀 수 없는 명사나 복수형 앞에는 쓸 수 없습니다.

(1) a book (o)

(2) a books  (x)  (부정관사 + 복수형)

(3) a milk  (x)  (부정관사 + 물질명사)

(4) a peace (x)  (부정관사 + 추상명사)

(5) a Lincoln (x)  (부정관사 + 고유명사)


(2)~(5)는 부정관사가 복수형이나 셀 수 없는 말 앞에 왔기 때문에 잘못되었습니다. 부정관사 다음에는 원칙적으로 셀 수 있는 명사의 단수형만 와야 합니다.


그러나 셀 수 없는 명사가 체성을 띠게 되면 부정관사를 쓸 수 있습니다.


(3)-1. We decided to produce a milk.  (구체적인 우유 제품’)

          (우리는 우유 제품 생산하기로 했다)


(4)-1. The two nations reached a small peace.  (구체적인 작은평화)

          (그 두 나라는 조그만 평화를 얻었다)


(5)-1. They will choose a Lincoln to be their ruler.  (구체적인 링컨 같은대통령)

          (그들은 링컨 같은 사람을 선택할 것이다/ 그들의 통치자로)


부정관사는 단수 명사 앞에서만 써야 하지만, 문맥에 따라서, ‘셀 수 없는 명사앞에서도 쓸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합니다.



2. 화제에 처음 등장하는 대상


부정관사는 화제에 처음 나오는 대상을 소개할 때 사용합니다.


(1) A boy fell on the street. The boy was hit by a truck.

    (한 소년이 거리에 쓰러졌다. 그 소년은 트럭에 치였다)

(1)번에서 ‘boy’는 이야기에 처음 등장했습니다. 그러므로 부정관사를 썼습니다. 그렇지만 두 번째 문장에 다시 나왔을 때는 정관사 ‘the’를 썼습니다. 이렇게 화제에 처음 나온 대상은 부정관사+단수명사,’ 그리고 다시 언급된 것은 정관사+명사형태를 취합니다.


그러나 실제 말이나 글에서는, (1)번 같은 형태가 너무 딱딱하기 때문에 정관사 대신에 대명사로 바꾸어 쓰기도 합니다.

(1-1) A boy fell on the street. He was hit by a truck.



이상으로 부정관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관사의 의미  (0) 2014.05.29
조건절 접속사  (0) 2014.05.26
수식어 형용사  (2) 2014.05.18
대명사 other 깔끔하게 정리해 봅시다!  (0) 2014.05.16
부사의 위치  (7) 2014.05.15

2. 부정관사의 의미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부정관사의 의미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부정관사는 특별하게 정해지지 않은 것 중의 하나를 뜻합니다.



(1) 아무거나 하나 (막연하게 하나)


I need a pen.

  = I need ONE pen.

   (펜이 하나 필요해)


번에서는 아무 펜이나 상관없습니다. 이 경우 부정관사 ‘a’‘one(하나)’의 약한 의미를 가집니다. 예문에서 보듯이, ‘a’‘one’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I feel lonely. I need a lover.

-1. I feel lonely. I need ONE lover.

  (나 외로워. 나는 연인이 필요해)


번 역시 아무 연인이나 하나를 뜻합니다. 주의할 것은 ②-1번과 같이 말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이 경우에 one을 쓰면 뜻이 너무 강해집니다. 웬지 연인을 수단으로 생각하는 부정적 뉘앙스마저 줍니다.


위에서 보았듯이, ‘아무거나 하나는 부정관사 ‘a(n)’의 고유한 용법입니다.



(2) ~중의 하나 (집단 중에 하나)


‘a(n) + 단수명사는 어떤 집단 중의 하나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역시 ‘a(n)’정해지지 않은 하나입니다.


 My wife is a teacher in college.

-1. My wife is ONE teacher in college. (?)

-2. My wife is one of the teachers in college.  (o)

   (내 아내는 대학교 선생님이다)


번에서 ‘a teacher’는 특별한 선생님이 아닙니다. 그저 선생님이라는 집단 중에서 한 명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①-1에서 보듯이, 부정관사가 집단전체 중 한 명을 나타낼 경우에는 one으로 바꾸면 의미가 어색해 집니다①-2와 같이 ‘ one of the teachers’로 바꾸어야 의미가 통합니다.


(1)아무거나 하나일 때와 비교해 보면 (2)번의 의미가 더 잘 이해 됩니다.


‘~중의 하나를 뜻하는 ‘a + 단수명사예문들입니다.

 My son is an elementary student.

   (내 아들은 초등학생이다)

 He is a painter.

   (그는 화가이다)


예문에서 보듯이 ‘~중의 하나를 나타내는 ‘a + 단수명사는 대상의 정체성을 밝힐 때 자주 쓰입니다.



(3) 전부 다  - .(집단 전체, 종족 대표)


 A teacher is not always better than a student.

   (선생님이 항상 나은 것은 아니다/ 학생보다)


번에서 ‘a teacher’는 선생님 집단 전체를 나타냅니다. 이와 같은 ‘a + 단수명사, 집단 전체를 나타낸다는 의미로 종족 대표라고 합니다.


그런데 ‘a + 단수명사종족 대표로 쓸 경우 다음과 같은 경우 문제가 발생합니다.


 A teacher (is /are) respected people.

   (선생님은 존경 받는 사람들이다)


번에서 ‘A teacher’는 문맥상 선생님 한 사람이 아니라 선생님 전체입니다. 이러한 경우 단수로 취급할까요, 복수로 취급할까요?


이렇게 애매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영어에서는 집단 전체를 나타낼 때 부정관사 + 단수명사를 잘 쓰지 않습니다. 대신에 보통명사의 복수형을 씁니다.

ex) Teachers are respected people.



그럼 이상으로 부정관사의 의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 toward, towards 의미 차이  (6) 2014.02.25
형용사들의 순서  (8) 2014.02.24
부사들의 순서  (2) 2014.02.21
전치수식, 후치수식  (11) 2014.02.19
부정대명사 none  (8) 2014.02.18

부정관사 정관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은 관사(article)를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관사 동영상 강의



내용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개념정리] - 관사 (article) (부정관사, 정관사)



관사란?


예) AN oak, A boy

    THE oak, THE boy.

 

설명

- 이들 단어들, an, a, 그리고 the 들은 관사라고 불린다. 이들 예에서 관사들은,

(1) 여러 개 중에서 하나를 의미하거나,

    - an oak or a boy

 

(2) 특정한 것을 의미한다.

    - the oak, the boy.


※ 관사는 명사 앞에 놓여서 그 명사의 의미를 한정한다.

- AN apple ; A battleship ; THE man



EXERCISE


(a) 다음 문장들에서 관사를 찾아 표시하세요.

 

1. The boy is on the wall.

2. The girl is in the garden.

3. A man is on the roof.

4. A bear was roaring.

5. The lion devoured a man.

6. The smoke was rising from a chimney.

7. A fire heats the room.

8. Pat a candle in the bedroom.

9. The ink is thick.

10. The eagle can carry away a lamb.

11. The wind blew an apple down.

12. Mary is reading under an oak.

 

(b) (  ) 안에 알맞은 관사를 쓰시오.

( ) box. ( ) man. ( ) candles.

( ) pen. ( ) ink ( ) sun.

( ) bat. ( ) skipping-rope. ( ) ink-stand.

( ) cat ( ) dog. ( ) boat.

( ) church. ( ) bridge. ( ) eye.

( ) stone. ( ) bank. ( ) watch.

( ) ear. ( ) thrash. ( ) bird.

 

  이상으로 부정관사 정관사 문제풀이를 마치겠습니다.

안녕히 가세요!


'송성태 영문법 >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spite, in spite of, although  (9) 2013.09.10
형용사 명사 수식  (0) 2013.09.10
시간 조건 부사절  (3) 2013.09.09
used to 용법  (5) 2013.09.08
수동태 문제풀이  (0) 2013.09.06

관사(ARTICLES)




이번 개념정리 시간에는 관사(articles)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부정관사, 정관사


먼저 예문을 보겠습니다.

예) Give me AN apple. (사과 하나 주라.)

     I ate THE apple. (나는 그 사과를 먹었다.)

     A cat likes milk. (고양이는 우유를 좋아한다.)




설명


- 첫 번째 문장에서, ‘an apple'은 ’어떤 사과(any apple)'라도 상관없습니다. 그것은 특정한 사과를 지정하거나 가르키지 않습니다. 어떤 사과나 상관없이 사과이기만 하면 됩니다. 여기에서 'an'을 부정관사라고 합니다. 여기서 ‘부정’은 ‘정해지지 않았다‘라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the apple'은 아무런 사과가 아닌 ‘특정한 바로 그’ 사과를 의미합니다. 이와 같은 ‘the'를 정관사라고 합니다.


세 번째 문장에서 'a cat'은 어떤 고양이나 상관없습니다. 여기서 'a'는 정해지지 않은 대상중의 하나를 가르키는 부정관사입니다.




 ‘a(n)’은 부정관사이고, 'the'는 정관사이다.


중요한 것은 다음 두 가지입니다.


부정관사, a(n)은 여러 개중의 하나를 나타낸다.

정관사, the는 특정한 바로 그것을 나타낸다.



대충 개념은 잡으셨죠?

사실 이 부분은 영어를 공부하는 내내 어려운 부분입니다.

영어 네이티브들도 가장 어려워 하는 부분이니까요.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관사(ARTICLE)



이번에는 관사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관사의 자세한 용법보다는 가장 핵심적인 사항인 ‘관사의 의미’ 중심으로 설명하겠습니다.



1. 관사는 약한 형용사


기본적으로 관사는 명사 앞에 놓여서 그 명사의 의미를 한정합니다. 일종의 약한 형용사입니다.


- An apple        사과 한 개 

- A battleship     전함 한 척

The man         그 사람

      



2. 부정관사와 정관사


다음은 관사들이 사용된 예들입니다.

예) AN animal,      A boy

    The animal,     The boy.


설명

- 이들 단어들, an, a, 그리고 the 들은 관사라고 불립니다. 구체적으로, a(n)은 부정관사, the는 정관사라고 합니다.




3. 관사의 의미


이들 예에서 관사들은,

(1) 여러 개 중에서 하나를 의미하거나,

- a black phone    (여러 전화기 중에 하나)


(2) 특정한 것을 의미합니다. 

- the red phone   (바로 그 전화기)



4. 관사에 대한 정리

관사에 대해 정리해 봅시다.

1. 관사는 약한 형용사이다.

2. 관사에는 부정관사인 a(n), 정관사인 the가 있다.

3. 부정관사 a(n)은 ‘여러개중의 하나’, 정관사 the는 ‘바로 그것’을 의미한다.


 관사의 용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3번입니다.

부정관사는 ‘여러개 중의 하나’ 정관사는 ‘바로 그것’




어렵고 방대한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다음 기회에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시간 내 주셔서 감사합니다.



'송성태 영문법 > 개념정리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치사 (preposition)  (4) 2013.03.10
대명사 (pronoun)  (0) 2013.03.02
형용사 (adjective)  (4) 2013.02.26
명사란?  (4) 2013.02.18
문법이란? (grammar)  (6) 2013.02.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