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이나 결과를 나타내는 부사절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목적이나 결과를 나타내는 부사절을 보겠습니다.



(1) 목적절


목적절을 이끄는 표현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that, so that, in order that, etc.


①  He died that we might live.

     (그는 죽었다/ 우리를 살리려고)

② I will take care nobody will be hungry.

    (나는 신경 쓸 것이다/ 어떤 사람도 굶주리지 않도록)

③ She works hard that she may live comfortably.

    (그녀는 열심히 일한다/ 편안하게 살기 위하여)

④ We threw our baggage overboard, so that the balloon could rise up.

    (우리는 짐을 밖으로 던졌다, 기구가 올라가게 하려고)

⑤ We saved enough money, in order that our kids may go to the college.

(우리는 충분한 돈을 저축했다\, 우리 아이들을 대학에 보내기 위하여)

 

목적을 나타낼 때, that절에서는 ‘may, can’을 시제에 맞게 사용합니다. 현대 영어에서는 may대신에 can을 더 많이 사용하니 참고하길 바랍니다.


부정적 의미의 목적절을 이끄는 표현은 ‘lest - should'입니다

의미는 ‘~하지 않도록입니다.


Pay attention lest you fall.

   (주의해라/ 떨어지지 않도록)

⑦ I am afraid lest I should disappoint you.

   (걱정이다/ 내가 너를 실망시키지 않으려고)



(2) 결과절


다음과 같은 표현들이 결과절을 이끕니다. 

'so - that', 'such - that' 

 ‘~해서 ~하다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① He recovered from illness, so that he can work now.

    (그는 병에서 회복했다, 그래서 그는 일할 수 있다)

② The town was near the volcano, so that it was destroyed completely.

    (그 마을은 화산 가까이 있었다, 그래서 파괴되었다/ 완전히)

③ Neo was attacked so suddenly that he couldnt escape.

    (네오는 갑자기 공격을 받았다/ 그래서 그는 탈출 할 수 없었다)

④ His antipathy against her was so apparent that everyone saw it.

    (그의 그녀에 대한 반감은 아주 명백해서 모든 사람이 그것을 알았다)

⑤ We were so much alike that we became friends immediately.

    (우리는 아주 비슷해서 친구가 되었다/ 금새)

⑥ You make such a noise that I cannot hear the music.

    (네가 소리를 심하게 내서 음악을 들을 수 없어)

 


(3) 목적이나 결과를 나타내는 that절


목적이나 결과를 나타내는 that 절들은 문장에서의 명사절이 될 수도 있습니다.

 

① I demand that you should go now.   [목적어]

    (나는 요구한다/ 당신이 당장 가야 한다고)

② The general ordered that the people should not be harmed.   [목적어]

    (장군은 명령했다/ 사람들이 다치지 않아야 한다고)

③ The prisoner begged that his face might be seen.   [목적어]

    (죄수는 간청했다/ 얼굴을 보이지 않게 해달라고)

④ My intention is that you should be free .   [주격보어]

    (내 의도는 당신이 자유로워지는 것이다)

⑤ The result is that he is injured.   [주격보어]

    (결과는 그가 부상을 입은 것이다)

⑥ His recklessness brought the result that he was injured.  [동격명사절]

    (그의 부주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가 부상을 입은)



이상으로 목적과 결과를 나타내는 부사절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명사 주어  (0) 2014.06.06
양보 부사절  (0) 2014.05.31
정관사의 의미  (0) 2014.05.29
조건절 접속사  (0) 2014.05.26
부정관사 용법 정리  (0) 2014.05.21

부사절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




부사절: 절이 문장에서, 동사, 형용사, 부사를 수식하면 부사절입니다.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


미래시제는 보통 미래를 뜻하는 조동사(will, shall, would)나 be going to 등을 이용해서 표현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표현을 쓰지 않고서도 미래를 나타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흔히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이라고 부르는 표현입니다.


시간이나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사가 들어있는 절이 ‘부사’ 역할을 할 때에는 내용은 미래이더라도 동사는 현재형태로 써야합니다. 부사역할을 한다는 것은 문장에서 동사, 형용사 부사를 수식하는 것을 말합니다.




미래를 현재로써 표현하는 ‘예외적인’ 경우이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 예


예를 봅시다.

(1) When the music plays, everyone will be touched.

    (음악이 연주될 때), 모든 사람이 감동 받을 것이다.)

(2) If he arrives on time, we will make it.

    (만약 그가 제시간에 온다면, 우리는 그것을 해낼 수 있어.)


(1)번에서 'when the music plays'는 ‘will be touched'라는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절입니다. 시간 부사절이므로 plays라는 현재시제를 썼습니다.

(2)번에서 'If he arrives on time'절은, 'will be able to make'라는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절입니다. 조건의 부사절이므로 현재시제 'arrives'를 썼습니다.




시간과 조건의 접속사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시간 접속사 when, after, as soon as, before, once, until, while 등

조건 접속사 if, unless, in case, providing(ed) that, so long as 등


아주 어려운 내용입니다. 

그렇지만 그냥 넘어갈 수 없는 내용들입니다. 


힘드시다라도 잘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여러분들은 잘 하실 겁니다.


이렇게 멀리까지, 제 글을 봐주시는 여러분.

정말 고맙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