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명사 (material noun)

 

 

 

 

셀 수 없지만 셀 수 있는?

 

물질 명사 종류

 

물질 명사는 형태는 있지만 일정하지 않아 '셀 수 없는 명사(Uncountable Nouns)'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물질 명사를 편의상 고체, 액체, 기체로 분류하여 살펴보겠습니다.

 

 

(1) 고체

    ex) chalk, meat, paper, stone, salt, soap 등

(2) 액체

    ex) coffee, milk, oil, water, wine 등

(3) 기체

    ex) air, gas, smoke, wind 등

 

 

 

 

물질명사 세는 방법

 

형태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셀 수 없습니다.’ ‘셀 수 없으므로’ 부정관사를 붙일 수도 없고, 복수형을 만들 수도 없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물질명사는 어떻게 '셀‘까요?

 

 

(1) 고체 물질명사 

 

    한 조각                                    두 조각

a piece of chalk  (분필 한 조각)    two pieces of chalk   (분필 두 조각)

a sheet of paper (종이 한 장)       two sheets of paper  (종이 두 장)

a piece of stone (돌맹이 한 개)     two pieces of stones (돌맹이 두 개)

a spoon of salt   (소금 한 숟가락)  two spoons of salt    (소금 두 숟가락)

a bar of soap     (비누 한 덩어리)  two bars of soap      (비누 두 덩어리) 

 

물질 명사는 여전히 복수가 되지 않지만, 덩어리나 담는 그릇은 복수가 됩니다. 좀 더 어렵게 설명하자면 물질 명사 자체는 복수형이 없으나, 수량을 나타내는 단위(piece, sheet, bar 등)는 복수형이 가능합니다.

 

                                                (2) 액체 물질명사

액체 물질명사 역시 자체로는 셀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다음 예에서 보듯이 '그릇'에 담아서 세는 것은 가능합니다. 

 

     한 잔(?)                                     두 잔

a cup of coffee   (커피 한 잔)       two cups of coffee   (커피 두 잔)

a glass of milk    (우유 한 잔)       two glasses of milk   (커피 두 잔)

a gallon of oil     (석유 1갤런)      two gallons of oil     (석유 2갤런)

a bucket of water (물 한 통)         two buckets of water (물 두 통)

a bottle of wine   (와인 한 병)      two bottles of wine   (와인 두 병)

 

(3) 기체 물질명사    

 

    한 통                                      두 통

  a pail of air       (공기 한 통)      two pails of air       (공기 두 통)

 

※ 현실적으로 기체를 담는 용기는 다양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는 'pail'보다는 현실적인 단위인 'tank' 또는 'container' 등을 사용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pail은 저도 잘 안씁니다)

 

2. 셀 수 없는 말을 수식하는 수량 형용사와 함께 사용

 

(1) 셀 수 없는 말을 수식하는 수량 형용사

 

물질명사와 같은 셀 수 없는 명사는 few, many와 같은 '수를 나타내는 형용사'와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대신 little, much와 같은 '양을 나타내는 형용사'와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다음은 양을 나타내는 형용사들입니다. 

 

little, much + 불가산명사

an amount of, a great deal of + 불가산 명사

a lot of, lots of, plenty of + 불가산 명사

 

ex) There is little salt left.
       (소금이 거의 남지 않았다.)

ex) She has plenty of water.
      (그녀는 물이 많이 있다.)

 

(2) 물질명사의 보통명사화

 

물질명사는 제품이나 구체적인 사건을 나타낼 때는 보통명사처럼 관사나 복수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제품을 나타낼 때

 

제품

(1) Wine is made of grapes.         (물질명사, 와인 전체를 의미)

    (와인은 포도로 만들어 진다.)

(2) I bought a rare wine in French. (보통명사, 와인 한 병을 의미)

    (나는 희귀한 와인을 한 병 샀다/ 프랑스에서.)

 

 

2. 사건을 나타낼 때

 

사건

(1) Fire burns everything down. (물질명사, 불 전체를 의미)

    (불은 모든 것을 태운다.)

(2) Many fires break out from mischief. (보통명사, 개별 화재 사건을 의미)

    (많은 화재들이 발생한다/ 장난 때문에.)

 

 

 

이렇게 물질명사들은 구체적인 제품이나 사건을 의미하면 보통명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모든 사례들을 다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단지, ‘셀 수 없는 명사’들이라도 상황에 따라 ‘셀 수 있는 명사’가 될 수 있다는 정도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물질명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길고 어려운 내용,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다음은 제가 쓴 "관사의 달인"책 입니다. 이 정도 어려운 내용을 공부하시는 분들이라면 한 번 쯤 볼만합니다.

 

 

책이 필요하신 분들은 교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시제 (12 시제)  (6) 2025.04.04
수의 일치: 수식어구와 절  (0) 2025.04.03
관계부사  (3) 2025.04.02
수동태  (1) 2025.04.02
동사 시제  (0) 2013.10.06

추상명사의 보통명사화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추상명사의 보통 명사화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셀 수 있는 명사, 셀 수 없는 명사


명사를 공부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셀 수 있는가 셀 수 없는가 하는 것입니다. 조금 더 보고 싶으신 분들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셀수 있는 명사, 셀수 없는 명사 (핵심정리 089) (가산명사, 불가산명사)


참고로 이 글에서는 보통 명사라는 말보다는 ‘셀 수 있는 명사’라는 말을 쓰기로 하겠습니다. 보통명사라는 개념이 조금 어렵기 때문입니다.

 

어떤 명사를 ‘셀 수 있다’는 말은 일반적으로, (1) 부정관사를 붙일 수 있거나, (2) 복수형으로 만들 수 있다는 말입니다.

 


1.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행동을 나타낼 때


추상 명사는 보통 ‘셀 수 없는 명사’입니다. 그러나 추상명사가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행동이나 제품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셀 수 있는 명사가 됩니다.

 

예를 들어 kindness는 눈에 보이지 않는 ‘친절’을 나타내는 추상명사로서 셀 수 없는 명사입니다. 그렇지만 kindness가 개별적인 행동을 나타낼 경우에는 셀 수 있는 명사가 됩니다.

 

(1)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행동이나 사건

① Thank for your kindness.

    (친절에 감사합니다)

② You did me a kindness.

    (당신은 나를 친절하게 대해주었습니다)

③ I will always remember your many kindnesses.

    (나는 항상 기억할 것입니다/ 당신의 많은 친절한 행동들을)

 

①번에서 kindness는 일반적인 ‘친절’을 나타내기 때문에 셀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②번에서 kindness는 ‘친절한 행동’이므로 셀 수 있는 명사가 되어서 '부정관사 a'를 붙였습니다. ③번에서 kindnesses는 여러 번의 친절한 행동들이므로 셀 수 있는 명사가 되어 many의 수식을 받고 복수형이 되었습니다.

 

추상명사가 이렇게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행동이나 사건을 나타낼 때는 셀 수 있는 명사가 됩니다. 다음은 추상명사와, 그 추상명사가 셀 수 있는 명사가 되었을 때의 의미를 정리한 것입니다. 

 

■ 셀 수 있는 명사로 자주 사용되는 추상명사들


다음 추상명사들은 셀 수 있는 명사로 자주 사용됩니다.


① experience : 경험

    an experience (experiences) : (개인적으로 영향을 주는) 경험이나 체험

ex) I had a bad experience with knife.

    (나는 칼에 대해 안 좋은 경험이 있다)


② failure : 실패

    a failure (failures) : 실패자, 실패작

ex) He was a total failure as an artist.

    (그는 완전히 실패자였다/ 예술가로는)


④ help : 도움

    a help : 도움이 되는 것, 도움이 되는 사람

ex) You're a great help. Thank you!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⑤ hope : 희망

    a hope (hopes) : 바라는 것, 희망사항

ex) We have high hopes for our kids.

    (우리는 기대가 크다/ 우리 아이들에게)


⑥ liberty : 자유

    a liberty (liberties) : (합법적인 권리로서의) 자유

ex) Security camera can infringe liberties of privacy.

    (보안 카메라는 침해할 수 있다/ 사생활의 자유를)


⑦ success : 성공

    a success (successes) : 성공한 사람, 성공작

ex) His children's successes made him proud.

    (그의 아이들의 성공이 그를 자랑스럽게 만들었다)


⑧ surprise : 놀라움

    a surprise (surprises) : 놀라움

ex) Her visit was a surprise to me.

     (그녀의 방문은 놀라움 이었다/ 나에게)

 

■ 대부분의 추상명사는 셀 수 있는 명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추상명사들은 개별적인 행동이나 사건을 나타낼 때 셀 수 있는 명사가 됩니다.


① happiness : 행복

    a happiness (happiness) : (어떤 일에 대해 느끼는) 행복한 감정

ex) I got a happiness when I'm shopping.

    (나는 행복을 얻는다/ 쇼핑할 때)


② knowledge : 지식

    a knowledge (knowledges) : 특정 분야에 관한 지식

ex) He has a lot of knowledges on various fields.

     (그는 많은 지식들을 가지고 있다/ 여러 분야에 대하여)

 


(2) 개별적인 제품을 나타낼 때

추상명사가 개별적인 제품을 나타낼 때는 셀 수 있는 명사가 됩니다.


① aid : 원조, 지원

    an aid (aids) : 보조 기구, 보조물, 구호품

ex) The old man wears a hearing aid.

     (그 노인은 착용하고 있다/ 보청기를)


② fancy : 공상, 상상

    a fancy (fancies) : 멋있는 것, 맛있는 것

ex) You can taste various fancies at this restaurant.

     (당신은 다양한 맛있는 것들을 맛볼 수 있다/ 이 식당에서)


③ luxury : 사치

    a luxury (luxuries) : 사치품

ex) I love small luxuries like chocolate and flowers.

     (나는 작은 사치품들을 사랑한다/ 초콜렛이나 꽃 같은)


④ necessity : 필요성

    a necessity (necessities) : 필수품

ex) Many people still live without basic necessities such as food and clothing.

     (많은 사람들이 아직도 기본적인 필수품 없이 산다/ 음식과 옷같은)

 


2. 어떤 성질의 소유자


추상명사가 어떤 성질을 소유한 사람을 나타낼 경우에는 셀 수 있는 명사가 됩니다.


‘젊음’이라는 의미를 갖는 추상명사 youth는 ‘젊은이(들)’이 되면 셀 수 있는 명사가 됩니다.


(1) youth, a youth, youths

① In youth, every one is wild.

    (젊었을 때는, 모두 격정적이다)

② A youth asked me some advice for life.

    (어떤 젊은이가 나에게 물어보았다/ 삶에 대한 조언을)

③ A group of youths fought each other.

    (한 무리의 젊은이들이 싸웠다/ 서로)


①번에서 youth는 ‘젊음’이라는 뜻으로, 셀 수 없는 명사입니다. 그렇지만 ②번에서 youth는 ‘젊은이’라는 뜻이기 때문에 부정관사를 쓸 수 있습니다. ③번에서 youths는 ‘젊은이들’이라는 뜻을 가지므로 복수형 어미 ‘-s'를 붙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추상명사가 어떤 성질을 소유한 사람을 나타낼 경우에는 셀 수 있는 명사처럼 쓸 수 있습니다.


예를 하나 더 보겠습니다.


(2) beauty, a beauty

① She is a woman of great beauty.

② She is a great beauty.

    (그녀는 대단한 미인이다)

 

추상명사는 ‘셀 수 없는 명사’에 해당합니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보았듯이 추상명사도 상황에 따라서 ‘셀 수 있는 명사’로 쓸 수 있습니다. 단순히 규칙만 외우지 말고 예문을 여러번 읽어 보면서 활용할 수 있도록 공부하셔야 합니다. 자주 쓰이는 표현들이니까요.

 

그럼 이상으로 추상명사의 보통 명사화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 one's 추상명사  (1) 2013.12.13
have the 추상명사 to do  (0) 2013.12.13
no, none 용법정리  (0) 2013.12.08
간접의문문  (32) 2013.12.05
부가의문문 (1부)  (9) 2013.12.02

고유명사 (proper noun)




공부하실 내용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1. 고유명사는 셀 수 없다.

2. 고유명사는 보통명사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고유명사는 셀 수 없다.


고유명사는 하나뿐인 (유일무이한)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입니다. 그러므로 셀 수없는 명사입니다. 셀 수 없기 때문에 관사를 붙일 수 없고 복수형으로 만들 수도 없습니다. 그리고 고유명사는 첫 글자를 항상 대문자로 표기합니다.


ex) Steve Jobs made I-phone the heart of Apple.

    (스티브 잡스는 아이폰을 애플사의 핵심으로 만들었다.)




위에서 보듯이 고유명사들은,

 관사나 복수형 없이 원래 형태 그대로 사용되는 것이 원칙입니다.



2. 고유명사의 보통명사화


그렇지만 고유명사는 문장에서 보통명사처럼 관사를 붙이거나 복수형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문을 보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1) He is an Einstein in physics.

  (그는 아인슈타인 같은 과학자이다/ 물리학계의)

(2) Two Picassos were stolen from the museum.

    (두 개의 피카소 작품이 도난을 당했다/ 박물관에서.)

(3) She comes from a Hamilton.

    (그녀는 해밀턴 가문 출신이다.)

(4) Three Wellingtons work at the same team.

    (세 명의 웰링턴이 같은 팀에서 근무한다.)

(5) The Norfolks are very proud.

    (Norfolk 집안 사람들은 매우 자부심이 강하다.)




고유명사는 위에서와 같이 부정관사나 정관사를 붙이고 복수형으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각각의 의미와 용도는 제한되어 있습니다.



고유명사의 보통명사화


(1)번에서 ‘an Einstein’은 아인슈타인 같은 과학자를 말합니다. 고유명사 앞에 부정관사가 붙붙으면 ‘~와 같은 사람’이나 ‘~의 작품’을 나타냅니다.

(2)번에서는 ‘Picaasso'다음에 복수형 어미 ’s'가 붙었습니다. 의미는 ‘피카소의 작품(들)’이 됩니다.

(3)번에서는 가문의 일원임을 의미합니다.

(4)번에서는 이름이 웰링턴인 사람이 세 명임을 나타냅니다.

(5)번에서는 가문 사람들 전체를 나타냅니다. Norfolks는 Norfolk 집안 사람들이라는 의미입니다.


이렇게 고유명사들은 제한된 의미에 한해서 셀 수 있는 명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용법은 중,고등학교 내신을 제외하고는 거의 시험에 출제되지 않습니다그렇지만 영어 말과 글에서는 빈번하게 사용됩니다. 그러므로 매끄러운 해석을 위해서 꼭 익혀두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상으로 고유명사의 보통명사화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