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등위접속사 bu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but은 주로 반대, 대조의 의미로 사용되지만, 경우에 따라서 전치사로도 쓰입니다. 형태는 같지만 의미가 다르므로 함께 정리하겠습니다.

 

1. but: 반대되는 내용을 연결할 때 사용

등위접속사 but은 앞에서 언급한 내용과 반대되거나 대조되는 내용을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but의 가장 기본적이고 자주 쓰이는 용법입니다.

 

ex) He is young, but he is wise. 

      그는 젊지만, 현명하다.

 

ex) I tried to understand him, but I can't. 

       나는 그를 이해하려고 했지만, 할 수 없었다.

 

 

 2. but: '제외하고(except)'의 의미로 사용

but은 전치사로도 쓰이며, 이 경우 '~을 제외하고'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주로 all-, every-, any-로 시작하는 단어와 함께 쓰입니다. 

 

예시 

ex) I like every subject but math. 

       나는 수학을 제외하고 모든 과목을 좋아한다. 

       (= I like every subject except math.) 

 

ex) You can have all but her. 

       너는 그녀를 제외하고는 모두 가질 수 있다. 

       (= You can have everything except her.) 

 

ex) He can be anything but a gentleman. 

       그는 신사만 빼고 무엇이든 될 수 있다. 

       (= He can be anything except a gentleman.) 

 

여기서의 butexcept(제외하고)와 같은 의미로 쓰이며, 전치사이기 때문에 명사가 뒤에 옵니다. 

 

⚠️ 주의사항 

'anything but''결코 ~이 아닌(never)'의 의미로 자주 쓰입니다. 

       ex) He can be anything but a gentleman. 

       (그는 결코 신사가 될 수 없다.) 

 

 

 3. but: 'only(오직)'의 의미로 사용

부정어와 함께 쓰인 but'오직(only)'의 의미를 가집니다. 이 경우, but 앞에는 부정어가 위치하며, '부정어 + but = only'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주 쓰이는 부정어 

Nobody -,  no one - , none -, nothing -, nowhere - 

 

예시 

ex) I want nothing but love from you. 

       나는 너에게서 사랑만을 원한다. 

       (= I want only love from you.) 

 

ex) He has lived nowhere but Seoul. 

       그는 오직 서울에서만 살아왔다. 

       (= He has lived only in Seoul.) 

 

이 경우, but 앞의 부정어와 함께 only(오직)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이상으로 등위접속사 및 전치사로서의 bu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접속사 직전 정리"입니다. 접속사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들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교보문고에서 바로 확인하고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등위접속사 and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등위접속사 and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and의 기본적 의미

2. and의 주의할 용법

3. and의 특수 용법

 

1. and의 기본적 의미


접속사 and는 문맥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두 문장이 있을 때,

(1) 두 문장이 시간적으로 연속될 때

   ex) I shopped at the store, and I went home.

       (나는 가게에서 쇼핑했다, 그리고 집으로 갔다)


(2) 두 문장이 원인과 결과 관계일 때

   ex) It rained last night, and the road was wet.

       (어제 저녁에 비가 왔다, 그래서 길이 젖었다)


(3) 두 문장이 대조 관계일 때

   ex) Koreans like vegetables, and Chinese like meat.

   = Koreans like vegetables, but Chinese like meat.

cf) 대조를 나타낼 때는 but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의미가 분명하기 때문입니다.


(4) 한 문장이 다른 문장을 부연 설명할 때

   ex) I failed the exam, and that's the least of my problems.

      (나는 시험을 망쳤다, 그리고 더 큰 일들이 많다)

   ex) You have to do one thing now, and that is to beat it.

      (너는 한 가지를 당장 해야한다, 그것은 꺼지는 것이다)


(5) 한 문장이 다른 문장에 대하여 양보적 의미를 가질 때

   ex) We tried our best and (yet) we lost the game.

   = We tried our best ,but we lost the game.

   = Although we tried our best, we lost the game.

cf) 양보를 나타낼 경우에는 but, although를 쓰는 것이 더 낫습니다. 의미가 더 분명하기 때문입니다.


(6) 한 문장을 ‘그냥’ 다른 문장에 덧붙일 때

   ex) She has beautiful eyes and she likes sports.


이렇게 정리해 놓고 보니 만만했던 and가 어려워 졌습니다. 그렇다고 모든 의미들을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그저 한 번쯤 정리한다는 기분으로 보시길 바랍니다.

 


2. and의 주의할 용법


(1) 의미의 구별

다음 예를 봅시다.


① Young man and lady

①번은 한 명일까요, 두 명일까요? 당연히 'Young man + Young lady' 두 명입니다. 남성과 여성이 동시에 한 사람이 될 수는 없으니까요.


다음도 당연히 둘을 의미합니다.

② My wife and child

= My wife and my child

③ My bicycle and car

= My bicycle and my car

등위접속사 다음에서는 반복되는 말은 생략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①,②,③번에서는 and 다음에 반복되는 young, my를 써주는 것이 더 의미가 분명해 집니다.


조금 더 복잡한 예를 봅시다.


④ Kate and Jim got married.

    (Kate와 Jim은 결혼했다)

⑤ Both Kate and Jim got married.

    (Kate와 Jim은 모두 결혼했다)

④번에서 Kate와 Jim은 부부가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⑤번에서는 Kate와 Jim은 각각 다른 사람과 결혼했습니다. ‘and’는 ‘더하기’ 개념이고 'both A and B'는 'A‘와 ’B' 각각을 강조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익숙한 단어지만 정확히 쓰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2) 주어 동사의 일치

'and‘는 기본적으로 ’더하기‘ 개념이므로 복수 취급합니다. 하나 더하기 하나가 둘이 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① A boy and a girl ARE meeting. (A and B는 복수취급)

② To study and to play are both necessary. (A and B 복수취급)


원칙적으로 'A and B'는 복수취급을 합니다. 그러나 and로 연결된 두 대상이 밀접한 관계에 있을 때는 단수 취급합니다.


① Slow and steady wins the race. (단일 개념)

    (느리고 꾸준한 것이 결구 이긴다)

② Curry and rice is what I like best. (단일 대상)

    (카레밥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것이다)

③ Trial and error is a great teacher. (단일 개념)

    (시행착오는 위대한 스승이다)

④ All work and no play makes Jack a dull boy. (단일 개념)

    (공부만하고 놀지 않으면 애가 바보 된다)

 

(3) 수식어와 and

  1) 형용사들이 하나가 될 수 있는 경우: and를 쓰지 않는다.

명사 앞에 두 개 이상의 형용사가 올 때, 형용사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and를 쓰지 않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형용사들이 명사 안에서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① a beautiful shiny car (o)

    a beautiful and shiny car (x)

② rapid technological change (o)

    rapid and technological change (x)

①번에서 차는 ‘아름다우면서도 빛날 수’있습니다. ②번에서 변화는 ‘빠르면서도 기술적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형용사들이 명사를 수식하면서 ‘하나’가 될 때는 and를 쓸 필요가 없습니다.


  2) 형용사들이 하나가 될 수 없는 경우: and로 연결한다

그러나 형용사가 하나가 될 수 없는 경우에는 and로 연결해야 합니다.


▪ 색깔을 나타내는 형용사가 연속될 경우에는 and를 씁니다.

③ a black and white TV. (o)

    a black white TV (x)

④ wise and foolish people (o)

    wise foolish people (o)


③번에서 검정이면서 하얀색은 있을 수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and를 썼습니다. ④번에서도 '현명한 동시에 멍청한‘ 것은 있을 수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and를 썼습니다.

 

▪ 서로 다르거나 반대되는 형용사가 연속될 경우에도 and를 씁니다.

⑤ Korean and Chinese language (o)

    Korean Chinese language (x)

⑥ large and small cities (o)

    large small cities (x)

⑦ psychological and physical effects of alcohol (o)

    psychological physical effects of alcohol (x)


⑤번에서 한국어와 중국어는 하나가 될 수 없으므로 and로 연결했습니다. ⑥번에서도 large와 small은 동시에 존재할 수 없으므로 and를 썼습니다. ⑦번에서 'psychological과 physical은 하나가 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and로 연결했습니다.

 


3. and의 특수용법


(1) 명령문 + and

and는 명령문과 함께 쓰여 조건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① Get up early, and you will catch the plane.

 = If you get up early, you will catch the plane.

(일찍 일어나라, 그러면 비행기를 탈 수 있다)


② Smile, and the world will smile you back.

  = If you smile, the world will smile you back)

    (웃어라, 그러면 세상도 당신에게 웃을 것이다)

위에서 보듯이 ‘명령문 + and'는 'if 조건문’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명령문 + and'를 쓰는 것이 더 낫습니다. 간결한 표현을 놔두고 복잡한 표현을 쓸 이유가 없으니까요. 세상 모든 것과 마찬가지로 언어에도 경제성의 법칙이 적용됩니다.


(2) to 부정사 대신에 쓰이는 and

① I'll try and answer the question.

   = I'll try to answer the question.

② I'll wait and see what she is doing.

   = I'll wait to see what she is doing.


구어에서 try, wait 다음에는 to 부정사 대신에 and를 쓰기도 합니다. ①번에서 'try and'는 약간 어색합니다. 그렇지만 ②번에서는 'wait and see'가 훨씬 자연스럽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and에 대한 중요한 사항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기본적인 사항보다는 실제 영어를 쓰고 말할 때 주의할 점 위주로 설명했습니다. 잘 읽어 보시고 활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다음에 뵙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위접속사 or  (0) 2014.01.23
접속사 but  (2) 2014.01.19
등위접속사 (coordinate conjunction)  (6) 2014.01.15
재귀대명사 (reflexive pronoun)  (9) 2014.01.09
either 용법정리  (6) 2014.01.08

등위접속사 (coordinate conjunction)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등위접속사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등위접속사 (coordinate conjunction)


등위접속사(coordinate conjunction)는 두 개의 대상을 문법적으로 대등하게 연결합니다. 문법적으로 대등하다는 말을 어렵게 생각할 필요는 없습니다. ‘형태가 같은’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영어에서 대표적인 등위접속사에는 and, but, or, nor, for, yet, so가 있습니다. 이들 접속사의 앞글자만 따서 ‘FANBOYS'라고 외우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보통 등위접속사라고 하면 ’and, but, or(nor)'를 말합니다. 나머지들은 종속접속사와 겹치는 부분이 있기 때문입니다.


순수한 등위접속사인가 그렇지 않은가는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중요한 것은 등위접속사를 문장에서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입니다.



등위접속사를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주의해야 합니다.



1. 문법적으로 대등한 대상을 연결한다.


등위접속사가 연결하는 대상은 문법적으로 같아야 합니다. 단어는 단어끼리, 문장은 문장끼리 연결해야 합니다.


(1) 단어와 단어를 연결할 때

    등위접속사로 단어와 단어를 연결할 때는 품사가 서로 같아야 합니다.

① 명사 ↔ 명사 : a boy and a girl

② 형용사 ↔ 형용사 : poor but happy

③ 부사 ↔ 부사 : slowly and carefully

④ 동사 ↔ 동사 : read or write


위 예들에서 보듯이 등위접속사로 연결되는 품사는 서로 같아야 합니다. 등위접속사로 서로 다른 품사를 연결하면 안됩니다.

 

(2) 구(phrase)와 구를 연결할 때

    등위접속사는, 문법적으로 같은 형태의 구와 구를 연결해야 합니다.

① to 부정사 ↔ to 부정사 : to work AND to play

② ~ing ↔ ~ing : selling OR buying

③ 전치사구 ↔ 전치사구 : at night BUT in the day

 

단어들끼리와 마찬가지로, 구끼리 연결할 때도 같은 형태끼리 연결해야 합니다.


(3) 문장과 문장을 연결할 때

    등위접속사는 문장과 문장을 연결합니다.

① I like tea, and my wife likes coffee.

② Life is hard on John, yet he doesn't give up.

(삶은 존에게 힘들다, 그렇지만 그는 포기하지 않는다)


등위접속사는 ‘문장 + 단어’, ‘문장+구’의 형태를 연결할 수 없습니다. 문장은 반드시 다른 문장과 연결해야 합니다.



2. 쉼표(,)의 사용


(1) 셋 이상을 연결할 때

세 개 이상의 항목을 등위접속사로 연결할 때는 쉼표(,)를 사용합니다. 이 때 등위 접속사 마지막 항목 앞에만 한번 써줍니다.

① 세 개 이상의 항목을 연결

   ex) I want love, peace, freedom ,and happiness.

    = I want love, peace, freedom and happiness.

       (이 경우 등위접속사 앞의 쉼표는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② 세 개 이상의 문장을 연결

   ex) They went to war, they fought the war, and they won the war.



(2) 두 문장을 연결하는 등위접속사 앞에는 쉼표(,)를 쓴다.

① I like an ice-cream, but my mom doesn't give it.

② I went to the library, and I borrowed books.


등위접속사로 연결된 독립적인(완전한) 문장 앞에서는 일반적으로 쉼표(,)를 사용합니다. 그렇지만 등위접속사 다음에 불완전한 문장이 오면 쉼표(,)를 쓰지 않습니다.


②-1. I went to the library and borrowed books.

위 문장에서는 등위접속사 and 다음에 주어 ‘I'가 생략되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등위접속사 앞에 쉼표(,)를 쓰지 않습니다.


(쉼표(,)에 대한 것은 다른 글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지금까지 등위접속사를 활용할 때 주의할 사항을 살펴 보았습니다. 다음 시간부터는 각각의 등위접속사를 살펴보겠습니다.


등위 접속사 문제풀이는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문제풀이] - 등위 접속사 문제풀이


그럼 안녕~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속사 but  (2) 2014.01.19
등위접속사 and  (4) 2014.01.16
재귀대명사 (reflexive pronoun)  (9) 2014.01.09
either 용법정리  (6) 2014.01.08
상호대명사 (each other, one another)  (0) 2014.01.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