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대명사의 격 강의

관계대명사의 격

관계대명사의 격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관계대명사는 문장의 의미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합니다. 관계대명사란 말만 들어도 머리가 복잡해지는 분들을 놀리는 것 같기도 합니다만 사실입니다. 관계대명사를 제대로 알아야 길고 복잡한 문장을 해석하고 쓸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관계대명사의 격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이름처럼 그렇게 "격"하게 어렵지 않은 내용이니 잘 들 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관계대명사의 격이란?

2. 주격 관계대명사 (Subjective Case)

3. 목적격 관계대명사 (Objective Case)

4. 소유격 관계대명사 (Possessive Case)

5. 자주 묻는 질문(FAQ)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관계대명사의 격이란?

1-1 격이란?

질문: 격이란 무엇일까요?

대답: 문장에서 하는 역할입니다.

 

그렇습니다. 격이란 어떤 표현 -단어·구·절- 등이 문장에서 하는 역할을 말합니다. 주어 역할을 하면 주격, 목적어 역할을 하면 목적격, 소유의 의미가 있으면 소유격이라고 합니다. 어렵지 않습니다.

  • 주격: 주어 역할
  • 목적격: 목적어 역할
  • 소유격: 소유의 의미

1-2. 관계대명사의 격

관계대명사의 격도 마찬가지입니다.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는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역할을 하고 소유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즉 관계대명사는 주격, 목적격, 소유격으로 사용됩니다. 

관계대명사의 격: 주격, 소유격,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격: 주격, 목적격, 소유격


 

각 격별 쓰임과 의미를 간단한 예문과 함께 정확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2. 주격 관계대명사 (Subjective Case)

관계대명사가 관계사절에서 주어 역할을 합니다. 어렵게 생각할 것 없습니다.

 

ex) Socrates is the one who shows me the way.

      소크라테스다/ 나에게 길을 알려준 것은.

→  (who는 show의 주어 역할을 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o는 주어 자리에 있습니다. 그러므로 주격 관계대명사입니다. 쉽게 생각합시다. 동사 앞에 있는 관계대명사는 주어역할을 하는 주격 관계대명사입니다.

주격 관계대명사: 관계사절에서 동사의 주어 역할

주격 관계대명사


3. 목적격 관계대명사 (Objective Case)

관계대명사가 관계사절에서 동사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ex) This is my daughter whom I love.

      내 딸이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은.

→  (관계대명사 whom은 타동사 love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om은 관계사절에서 목적어 자리에 있습니다. "whom I love"를 보면 타동사 love의 목적어가 없습니다. whom이 목적어이므로 생략한 것입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를 찾는 요령입니다. 관계대명사절에서 끝에 있는 동사를 봅시다. 그 동사의 목적어가 없으면 목적격 관계대명사입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 관계사절에서 동사의 목적어 역할

 

Note:

현대 영어에서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 대신에 who를 자주 씁니다. 그렇지만 문법을 지켜서 나쁠 것은 없습니다. whom을 쓰는 것이 딱딱해 보여도 정확한 표현입니다. 글이나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목적격을 쓰는 것도 좋습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


4. 소유격 관계대명사 (Possessive Case)

소유격 관계대명사는 소유나 소속 관계를 나타냅니다. 소유격은 주격, 목적격에 비해 약간 까다롭습니다. 정확한 해석이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에는 "of which, whose"가 있습니다.

 

 ex) I have a house of which / whose roof is blue.

       나는 집이 있다/ 집의 지붕은 파란색이다.

→  (집의 지붕이라는 뜻이므로 소유격 관계대명사를 써야 합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의 해석은 "선행사의 ~"이라고 합니다. 예문에서는 선행사가 house입니다. 그러므로 "집(house)의 지붕"이라고 해석합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 다음에는 대개 "명사"가 옵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 소유나 소속을 나타낸다.

 

Note:

선행사가 사물일 때 소유격 관계대명사는 원칙적으로 "of which"를 씁니다. 그렇지만 whose도 허용됩니다. 사물 다음에 오는 whose가 거슬려 보이지만 제대로 된 표현입니다. 오히려 "of which"가 더 딱딱하고 경직된 표현입니다. 지나치게 격식을 차린다는 느낌마저 줍니다.

 

단, 사람의 소유격은  다음과 같이 당연히 whose를 써야 합니다.

 

ex) I know the girl whose hair is red.

      나는 소녀를 안다/ 그녀의 머리카락이 붉은.

관계대명사 소유격


5. 자주 묻는 질문(FAQ)

Q. 관계대명사 whom을 꼭 써야 하나요?
A. 아닙니다. 현대 영어에서는 일상적 대화나 글에서 목적격 whom 대신 who를 흔히 씁니다.

 

Q. 사물에도 whose를 사용할 수 있나요?
A. 네, 사물의 소유격 표현에서도 whose가 자연스럽고 널리 쓰입니다.


6.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관계대명사의 격 연습문제.pdf
0.16MB
관계대명사의 격 연습문제 정답.pdf
0.15MB


 

이상으로 관계대명사 격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4-23 by Song SSam

 

계대명사 총정리

 

 

총정리 시간입니다.

이번시간에는 관계대명사를 총정리 해보겠습니다.실전적용을 목표로 하는 강좌이니 기초적인 설명은 생략합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링크와 아래에 올린 해당동영상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 관계대명사의 개념 (핵심정리 035, 037)

 

(1) 관계대명사는 “접속사 + 대명사” 역할을 합니다.

     관계대명사는 앞뒤의 문장을 이어주므로 접속사입니다.

     관계대명사는 선행사를 대신하므로 대명사입니다.

 

(2) 관계대명사는 선행사를 설명합니다.

    선행사가 사람이면 who를 씁니다.

    선행사가 사물이면 which를 씁니다.

 

 

 

 관계대명사와 의문사 (핵심정리 035)

 

 관계대명사 (핵심정리 037)

 

 

 

 

 

 

2. 관계대명사의 격 (핵심정리 036)

 

관계대명사절에서 관계대명사가 하는 역할이 ‘격’입니다.

 

(1) 관계대명사가 주어역할을 하면 ‘주격’입니다.

(2) 관계대명사가 소유대명사 역할을 하면 소유격입니다.

(3) 관계대명사가 목적어 역할을 하면 목적격입니다.

 

① She is the person who loves me.

    (그녀가 사람이다/ 나를 사랑하는)          주어 역할, 주격

② I am the man whose love never changes.

   (나는 남자다/ 사랑이 결코 변하지 않는)   소유 대명사, 소유격

③ We are the couple whom others envy. 

   (우리는 커플이다/ 남들이 부러워하는)     목적어 역할,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격 (핵심정리 036)

 

 

 

 

3. 관계대명사의 해석 (핵심정리 038)

 

 

관계대명사는 앞에 나온 대상(선행사)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해줍니다. 따라서 문장 순서대로 해석을 합니다. 선행사가 사람일 때에는 ‘그런데 그 사람은, 그 사람을’이라고 해석하고, 선행사가 사물일 때에는 ‘그런데 그것은, 그것을’이라고 해석합니다.

 

 

(1) I have a wife who acts my boss.

    (나는 아내가 있다/ (그런데 그 와이프는) 내 상사이다)

 

(2) She casts a glance which freezes me.

    (그녀는 눈길을 날린다/ (그런데 그 눈길은) 나를 얼어붙게 한다)

 

 

 관계대명사 해석 (핵심정리 038)

 

 

 

4. 관계대명사 that만 쓰는 경우

 

관계대명사 that만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1) 선행사가 사람 + 사물

 

ex) The tsunami swept away people and buildings that were on the shore.

     (해일이 사람과 건물을 모두 쓸어갔다/ 해변에 있던.)

 

 

(2) 특정한 선행사

   형용사의 최상급, 서수, all, every, no, some, any, the only, the very, the last,          

   something, anything, somebody, anybody 등

ex) It was the worst tsunami that struck the area ever.

    (그것은 최악의 쓰나미였다/ 그 지역을 강타했던 중에서)

 

ex) She is the very one that survived the waves.

     (그녀가 바로 그 사람이다/ 그 파도에서 살아남았던)

 

 

(3) 의문사가 있을 때

의문사 who, whom, which, what 등이 있으면 관계대명사 that을 씁니다.

 

ex) Who is the woman that escaped the disaster?

    (누구냐, 그 여자가/ 그 재앙을 피했던?)

 

 

 

관계대명사 that에서 주의할 점 (002)

관계대명사 that (001)

 

 

 

 

 

 

5. 관계대명사 what (핵심정리 041)

 

 

 

관계대명사 what은 ‘~하는 것’이라고 해석합니다. 그리고 선행사를 포함하므로, 관계대명사 what 앞에는 선행사가 올 수 없습니다.

 

 

ex) I will do what I can do.

    (제가 할 수 있는 일을 하겠습니다.)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 what의 구별 (핵심정리 041)

 

 

 

 

6. 관계대명사와 전치사

 

 

(1) 관계대명사가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전치사가 관계대명사 앞에 오면 생략할 수 없고, 전치사가 문장 뒤에 있으면 관계대명사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ex) Everybody glances the lady (whom) I date with. (생략 가능)

ex) Everybody glances the lady with whom I date.   (생략 불가)

    (모두가 그녀를 힐끔거린다/ 내가 데이트하고 있는)

 

(2) 전치사 다음에는 관계대명사 that을 쓸 수 없습니다.

 

ex) This is my friend with that I drink.    (X)

ex) This is my friend with whom I drink. (O)

    (얘가 내 친구이다/ 같이 술 마시는)

 

 

 

 

7. 관계대명사의 생략

 

관계대명사는 다음 경우에 생략할 수 있습니다.

 

 

(1) 주격 관계대명사 + be

 

주격 관계대명사와 be동사를 함께 생략할 수 있습니다.

ex) I know the men (who are) in all black.

    나는 그 사람들을 안다/ 검은 옷을 입은.

 

 

(2) 목적격 관계대명사

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이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ex) They are agents (that) Aliens try to avoid.                       (동사 avoid의 목적어)

     (그들은 요원들이다/ 외계인들이 피하려고 하는)

 

ex) The aliens escaped their planets which they were expelled from.

     (그 외계인들은 그들의 행성을 탈출했다/ 그들이 추방당했던)  (전치사의 목적어) 

 

 

 

 

(3) 관계대명사를 생략할 수 없는 경우

전치사 + 관계대명사,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없습니다.

 

 전치사 + 관계대명사

ex) These are guns with which the agents capture aliens.

    (이것들이 총이다/ (그것을 가지고) 요원들이 외계인을 잡는다.)

 

 계속적 용법

ex) One agent lost the laser gun, which aliens use.

     (요원 한 명이 레이저 총을 잃어 버렸다, 그런데 그것을 외계인들이 사용한다.)

 

 

 

 

8. 제한적 용법, 계속적 용법 (핵심정리 038)

 

관계대명사의 용법에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1) 제한적 용법

관계대명사 앞에 콤마(,)가 없습니다.

 

ex) There were two aliens whom the agents captured.

    (두 외계인이 있었다/ 요원들이 잡은)

    (속뜻 요원들이 잡은 외계인들만 두명이다, 외계인이 더 있을 수 있다)

 

 

(2) 계속적 용법

관계대명사 앞에 콤마(,)가 있습니다.

 

ex) There were two aliens, whom the agents captured.

    (두 외계인이 있었다, 그런데 그들을 요원들이 잡았다)

    (속뜻 외계인들이 2명만 있었고, 그들을 요원들이 다 잡아냈다)

 

 

관계대명사 제한적, 계속적 용법 (핵심정리 038)

 

 

 

9. 복합관계대명사 (핵심정리 042)

 

관계대명사 + -ever의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복합관계대명사는 선행사를 포함합니다.

 

(1) 복합관계사는 해석이 중요합니다. 확실히 익혀 두시길 바랍니다.

 

whatever   (~하는 것은 무엇이나)

whoever   (~하는 누구나)

whomever (~하는 누구나)

whichever (~하는 어느 것이나)

 

 

ex) Whatever you do, I'm on your side.

    (네가 무엇을 하더라도, 나는 네 편이야.)

ex) I will love whoever will love me.

    (나는 사랑할거야/ 누구든 나를 사랑하는 사람을)

ex) I will devote myself whomever I love.

    (나는 헌신할 거야/ 누구든 내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ex) My darling, you can have whichever you choose.

    (자기, 자기는 가질수 있어/ 어느 것이나 골라도)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복합관계대명사, 복합관계부사

 

 

 

 

10 관계대명사, 관계부사의 구별

 

 

관계대명사 다음에는 불완전한 문장이 옵니다. (주어, 목적어 중 하나가 없습니다.)

관계부사 다음에는 완전한 문장이 옵니다.      (주어, 목적어 다 있습니다.)

 

 

(1) This is the place which is known for Lincoln's death.   (주어 없음)

(2) This is the place where Lincoln was killed.                (다 있음)

 

(1)번은 관계대명사입니다. which 다음에 동사가 바로 왔습니다. is의 주어가 없으므로 주격관계대명사입니다.

(2)번은 관계부사입니다. where 다음에 문장에서 생략된 말이 없습니다. 보통 '주어 + 수동태‘는 완전한 문장이 됩니다.

 

 

 

관계대명사 관계부사의 구별 (핵심정리 040)

 

 

 

 

 

해당 동영상입니다. 

 

 

1. 관계대명사의 개념 (핵심정리 035, 037)

 

 

 

 

2. 관계대명사의 격 (핵심정리 036)

 

 

 

3. 관계대명사의 해석 (핵심정리 038)

 

 

4. 관계대명사 that만 쓰는 경우 (나중에 업로드합니다)

 

5. 관계대명사 what (핵심정리 041)

 

 

6. 관계대명사와 전치사 (나중에 업로드합니다)

7. 관계대명사의 생략 (나중에 업로드합니다)

 

 

8. 제한적 용법, 계속적 용법 (핵심정리 038)

 

 

9. 복합관계대명사 (핵심정리 042)

 

 

10 관계대명사, 관계부사의 구별 (핵심정리 040)

 

 

이상으로 관계대명사 총정리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관계대명사 직전 정리
이 책은 10분 동안에 '관계대명사'를 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시험이 얼마 남지 않은 학생들을 위해, 자세한 문법 설명 대신 핵심적인 내용을 간결하게 정리했습니다. 핵심 문법 정리: '관계대명사'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문법만을 모아놓았습니다. 간결한 구성: 불필요한 설명 없이 필요한 내용만 담았습니다 편리한 학습: 스마트폰으로 10분 동안 간편하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저자
송성태, 서정석
출판
남과 다른 나
출판일
2024.09.03

 

'송성태 영문법 > 총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 부정사 형용사적 용법 총정리  (1) 2025.04.17
전치사 의미 총정리  (0) 2025.04.03
현재완료 총정리  (12) 2025.04.03
영문법 용어 정리  (0) 2014.08.16
수동태 총정리  (10) 2013.03.18

관계대명사의 격





격이란?


격이란 문장에서 그 말이 하는 역할을 의미합니다. 어떤 말이 주어로 쓰인다면 주격, 목적어로 쓰인다면 목적격, 그리고 소유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면 소유격이 됩니다. 관계 대명사나 의문사가 쓰인 문장에서의 격은 반드시 그 관계대명사나 의문사절 내에서 결정됩니다.




의문사의 격


(1) I saw (who, whom) was there.    (나는 보았다/ 누군가 거기에 있는 것을.)

(2) (Who, whom) was it you saw?    (누구였니/ 너가 본 사람은?)


(1)번에서, ( )안에는 주격 who를 써야 합니다. saw라는 동사의 목적어 자리에 있다고 목적격 whom을 쓰면 안 됩니다. 왜냐하면 (who)는 ‘(who) was there'라는 절에서 주어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2)번 역시 ( )는 밑줄 친 문장에서 주어 역할을 하므로 ’주격‘을 써야 합니다.



관계대명사의 격


(1) She is the girl (who, whom) loves me.    (그녀가 소녀이다/ 나를 사랑하는.)

(2) She is the girl (who, whom) I love.        (그녀는 소녀이다/ 내가 사랑하는.)


(1)번에서 '( )'는, 밑줄친 부분에서 동사 love의 '주어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주격 (who)를 써야 합니다. 그렇지만 (2)번에서 괄호는, 밑줄 친 부분에서 동사 love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목적격 ‘whom'이 와야 합니다.




정리해 봅시다.



관계대명사의 격


관계대명사의 격은 관계대명사절 내에서 결정이 됩니다. 주어 역할을 하면, 주격, 목적어 역할을 하면, 목적격, 소유의 의미가 있으면 소유격이 됩니다. 그리고 각각의 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격     who

목적격  whom

소유격  whose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대명사 해석  (0) 2013.02.19
관계대명사  (2) 2013.02.19
관계대명사와 의문사  (10) 2013.02.18
to부정사와 전치사 to  (6) 2013.02.16
동명사 의미상 주어  (4) 2013.02.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