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관계대명사절의 수 일치를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수능과 토익은 물론 관계대명사에 관한 모든 시험에서 출제 1순위입니다. 확실하게 익혀 두시기 바랍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관계대명사절의 수 일치 원칙 2. 선행명사가 관계대명사 바로 앞에 있는 경우 3. 선행사가 관계대명사와 떨어져 있는 경우 4. 자주 묻는 질문 (FAQ)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관계대명사절의 수 일치 원칙
관계대명사절은 앞에 있는 선행사를 설명하는 수식어절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관계대명사절의 동사는 선행사에 일치시켜야 합니다. 관계대명사 절에서 수일치가 복잡해 지는 선행사와 관계사절 사이에 수식어절이 끼어들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수식어구와 절은 주어-동사 일치에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관계대명사절 내의 동사는 반드시 선행사와 수를 일치시켜야 합니다.
관계대명사절의 수 일치 원칙
선행사에 일치 시킨다.
수식어구와 절은 주어 동사의 일치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선행사에 맞춘다
2. 선행사가 관계대명사 바로 앞에 있는 경우
선행사가 관계대명사 바로 앞에 있는 경우에 수 일치는 아주 쉽습니다. 관계대명사절의 동사와 문장의 동사를 관계대명사 바로 앞에 있는 명사(선행사)의 인칭과 수에 맞추면 됩니다.
선행사가 관계사 바로 앞에 있음
ex) The personwho trusts(1) meis(2) my friend.
나를 믿는 사람은 내 친구이다.
예문에서 동사는 두 개입니다. 관계대명사 절의 trust, 문장의 동사인 is가 그것들입니다. 두 동사의 주어는 선행사인 the person입니다. 그리고 'the person'이 단수이므로 단수동사를 썼습니다. 관계대명사절의 동사는 바로 앞의 선행사에 일치시킨다고 기억하시면 됩니다.
관계대명사절의 동사와 문장의 동사: 선행사에 일치시킨다.
3. 선행사가 관계대명사와 떨어져 있는 경우
문제는 선행사와 관계대명사가 떨어져 있는 경우입니다. 이럴 경우에는 해석을 해서 내용상 연결이 되는 것을 찾아야 합니다.
선행사와 관계대명사가 떨어져 있음
(1) People are happy who have true friends.
사람들은 행복하다/ 진정한 친구를 가진.
위 문장에서 관계대명사절을 선행사 다음으로 옮겨 보겠습니다.
관계대명사를 선행사 다음으로 옮기기
(2) Peoplewho have true friends are happy.
주어가 너무 길어서 산만해 보입니다. 관계대명사절을 뒤로 보낸 (1)번이 훨씬 더 간결하고 깔끔합니다.
관계대명사절의 위치는 다르지만, (1), (2)번은 의미상 같은 선행사(people)을 설명합니다. 그러므로 관계대명사절에서는 복수 동사 have를 썼습니다.
주의
관계대명사절이 주어자리에 오면 주어가 길어져서 의미가 문장이 산만해 집니다. 이때 의미를 간결하게 전달하기 위해 관계대명사절을 문장 끝으로 보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도 반드시 의미를 파악하여 선행사와 수를 일치시켜야 합니다. 결국 해석을 못하면 문법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위에서 공부한 것을 규칙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관계사절의 수일치 ★
주격 관계대명사절의 동사는 반드시 선행사와 일치시킨다.
※ 주격관계대명사란 관계대명사 다음에 주어가 없이 동사가 바로 오는 경우를 말합니다.
선행사 찾기
4.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관계대명사절의 동사는 항상 선행사에 맞추나요? 네. 관계대명사절의 동사는 언제나 선행사의 수와 일치합니다.
Q2. 관계대명사절이 문장 끝에 있으면 어떻게 수를 일치시키나요? 문장 끝에 관계대명사절이 있어도 의미상 설명하는 선행사를 찾아 수를 일치시킵니다. 선행사를 찾기 위해서는 해석을 통해 의미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관계대명사는 제한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 두 가지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제한적 용법은 한정적이라고도 합니다. 그다지 어려운 내용이 아닙니다. 단지 위압적인 한자 문법용어 때문에 실제보다 더 어려워 보이는 것 뿐입니다. 이 글에서는 예시와 함께 두 용법의 차이를 명확하게 정리하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제한적(한정적) 용법
2. 계속적 용법
3. 제한적 용법 vs 계속적 용법
4. FAQ (자주 묻는 질문)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제한적(한정적) 용법
여기서 제한이나 한정은 "수식 or 설명"한다는 말입니다. 제한적(한정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앞에 나온 선행사를 설명합니다. 이 형식에서 관계대명사가 없으면 문장의 의미를 알 수 없게 됩니다. 제한적(한정적) 용법의 관계대명사 앞에는 쉼표(",")가 없습니다.
(1) This is the boywho stole my bicycle.
이 소년이다/ 내 자전거를 훔친 사람은.
위 예문에서 "who stole my bicycle"을 생략해 봅시다.
(1-1) This is the boy.
이 소년이다.
관계사절을 생략하고 보니 어떤 소년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제한적(한정적) 용법에서 관계대명사절이 생략되면 문장의 의미가 분명하지 않게 됩니다. 즉, 제한적(한정적) 용법에서는 의미상으로 관계사절을 생략할 수 없습니다. 내용상 선행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 제한적(한정적) 용법 특징
관계대명사 앞에 쉼표(,)를 쓰지 않음
생략하면 의미가 불명확함
제한적(한정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의미상 문장에 반드시 필요합니다.
제한적, 한정적 용법
2. 계속적 용법
계속적 용법은 선행사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추가합니다. 관계대명사절을 생략해도 문장의 주된 의미는 분명합니다. 글에서는 관계대명사절 앞뒤에 반드시 쉼표(,)를 사용합니다.
2-1. 계속적 용법 관계대명사 특징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쉼표(,)와 함께 사용합니다.
1) My grandfather, who is 92, is energetic.
할아버지는, 아흔 둘이신데, 정정하시다.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생략해도 문장의 주된 의미를 해치지 않습니다.
1-1) My grandfatheris energetic.
내 할아버지는 정정하시다.
물론 "who is 92"가 있는 것이 정정함을 강조할 수는 있습니다. 그렇지만 "who is 92"를 생략해도 의미가 통합니다.
✅ 계속적 용법 특징 요약
관계대명사절이 부가적인 정보
관계대명사 앞뒤에 쉼표(,)를 반드시 씀
생략해도 의미 전달에 지장이 없음
주의:글로 쓸 때, 계속적 용법에서는 반드시 쉼표(“,”)를 사용합니다.
계속적 용법 정리
2-1. 계속적 용법의 "which"
계속적 용법에서 특히 자주 사용되는 것은 ",which"입니다.
(1) Seoul, which is the capital of Korea, is very crowded.
서울은, 한국의 수도인데, 매우 혼잡하다.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접속사를 이용해서 다시 쓸 수 있습니다. 접속사 and를 이용하여 (1)번 문장을 바꾸어 써 보겠습니다.
(1-1) Seoul is the capital of Korea, and it is very crowded. 서울은 한국의 수도이고, 매우 혼잡하다.
계속적 용법의 which
주의:계속적 용법의 which는 that으로 바꾸어 쓸 수 없습니다.
(X)Seoul, that is the capital of Korea, is very crowded.
4. FAQ (자주 묻는 질문)
수업 시간에 자주 들었던 제한적, 계속적 용법에 대한 질문입니다.
Q1. 제한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요? 제한적 용법은 필수적인 정보로, 생략하면 문장의 의미가 불명확해지며 쉼표(,)를 쓰지 않습니다. 반면 계속적 용법은 부가적인 정보로 생략 가능하며 반드시 쉼표(,)를 사용합니다.
Q2. 관계대명사절을 생략할 수 있는지 쉽게 확인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관계대명사절을 빼고 문장의 의미가 명확하면 계속적 용법이고, 의미가 불명확하거나 달라지면 제한적 용법입니다.
5.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이번 글에서는 영어 문법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 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복잡한 문장에는 "거의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관계대명사가 들어갑니다. 다시 말하면, 초등학생 수준의 영어를 졸업하게 되면 관계대명사를 접하게 됩니다. 이번 기회에 제대로 정리해 봅시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관계대명사의 역할
2. 선행사란?
3. 연습문제 다운로드
그럼 시작합니다!
1. 관계대명사의 역할
여느 책에서 하듯이 문법적으로 어렵게 관계대명사를 정의해 보겠습니다.
어려운 정의
"관계대명사: 앞에 있는 명사를 대신하는 대명사의 역할과 두 문장을 이어주는 접속사의 역할을 한다."
이 "어려운 정의"를 읽고 관계대명사를 이해하는 것은 돌을 소화시키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조금 더 친절하고 쉽게 정의해 보겠습니다.
쉬운 정의
"관계대명사는 앞에 나온 명사(선행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거나 꾸며주는 역할을 한다."
간단히 말해서, 관계대명사는 형용사처럼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정도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문을 보면서 확실하게 정리해 봅시다.
(1) I know a boy. 나는 한 소년을 안다.
→ 어떤 소년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이 문장만으로는 의미가 불분명하지만 관계대명사를 사용하면 명확해집니다.
(2) I know a boy who runs fast. 나는 빨리 달리는소년을 안다.
소년을 설명하는 "who runs fast"가 의미를 분명하게 합니다.
관계대명사는
관계대명사: 앞에 나온 명사(선행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다.
관계대명사: 앞에 나온 명사 설명
2. 선행사란?
2-1. 선행사의 정의
앞서 "선행사"라는 용어가 나왔습니다. 웬지 어렵게 어렵게 보이지만 한자말이라서 그렇습니다. 선행사를 한자로 쓰면 다음과 같습니다.
선행사(先行詞)
한자를 아는 분들이라면 금새 짐작할 수 있는 쉬운 말입니다. 풀어 보면 "앞 선, 다닐행, 말 사"입니다. 앞에서 정의했던 "앞에 나온 말"을 한자로 옮긴 것 뿐입니다. 좀 더 간결하고 있어보인다는 이유에서입니다. 그러므로 선행사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선행사(先行詞): 관계대명사 앞에 나온 명사
선행사라는 용어를 이용하여 관계대명사를 좀 더 문법적으로 정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관계대명사: 앞에 나온 선행사를 설명하는 형용사 역할을 한다.
2-2. 선행사의 종류
관계대명사가 설명하는 명사인 선행사는 크게 다음과 같은 네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선행사의 종류에 따라 관계대명사가 달라 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간략하게 정리하겠습니다.
(1) 사람 선행사
관계대명사가 사람을 설명합니다.
ex) He is the manwho helped me. 그는 나를 도와준 사람이다. → 선행사: the man
→ 선행사가 사람일 경우에는 관계대명사 who를 씁니다.
(2) 동물 선행사
관계대명사 동물을 설명합니다. ex) This isthe dogwhich won the competition. 이 개가 대회에서 우승한 개다. → 선행사: the dog
→ 선행사가 동물일 때는 관계대명사 which가 원칙입니다. 그렇지만 that를 써도 됩니다.
(3) 사물 선행사
관계대명사가 사물을 설명합니다.
ex) This is the camerawhich(that) I bought yesterday. 이것이 내가 어제 산 카메라다. → 선행사: the camera
→ 선행사가 사물일 때는 관계대명사 which가 원칙이지만 that도 가능합니다.
주의:
현대영어 -특히 구어- 에서는 관계대명사 which 대신에 that을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선행사에 맞게 다른 관계대명사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마구잡이로 that을 쓰게 되면 의미가 뚜려하게 전해지지 않습니다. 공식적인 글을 쓸 때는 선행사에 알맞는 과계대명사를 쓰시기 바랍니다. 문법을 지켜서 손해 볼 일은 없습니다. 외국인이 우리는 더욱 그렇습니다.
선행사 설명
3.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관계부사와 관계대명사는 둘 다 공통적으로 선행사(앞에 나오는 명사)를 설명하고 문장을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뒤에 오는 문장에서 하는 역할이 다르다는 점에서 구별됩니다. 최근에는 영어 시험에서는 이러한 문법 요소를 문맥에서 이해하고 있는지 묻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문법적 역할뿐만 아니라 실제 해석과 실생활에서의 예문까지 꼼꼼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는 뒤에 오는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즉,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문장 자체가 선행사를 꾸며주는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동시에 문장 내에서 주어, 목적어 역할을 수행합니다.
다음 예문을 봅시다.
① 관계대명사 -주어역할-
You have just met the boy/너는 방금 소년을 만났어/
whohacked the FBI. 그런데 그 소년이 FBI를 해킹했어
관계대명사 'who'는 뒤 문장에서 'hacked'라는 동사의 주어 역할을 합니다.
관계부사 -부사 역할-
I visited the place/ 나는 그 장소를 방문했다/
where Lincoln was killed (그런데 거기서) 링컨이 죽음을 당했다.
이 문장에서 관계부사 ‘where’는 뒤 문장의 동사구 'was killed'를 수식하는 장소부사 역할을 합니다. 관계대명사와 달리 부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주의할 것이 있습니다. 관계대명사나 관계부사는 기본적으로 앞에 있는 선행사를 설명하는 형용사절입니다. 관계대명사니 관계부사니 하는 명칭은 뒤에 있는 문장에서 하는 역할에 따라 결정되는 것입니다. 뒤에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 역할을 하면 ‘관계 대명사’, 부사 역할을 하면 ‘관계부사’가 되는 것입니다.
관계부사의 해석
해석은 관계대명사와 마찬가지로 ‘그런데’를 넣어서 이어가십시오. 선행사와 관계부사절이 자연스럽게 연결됩니다.
다음 예를 봅시다.
This is the day/ 그날이다/
when Lincoln was killed. (그런데 그 날에)링컨이 죽음을 당했다.
최근 출제 경향은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해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합니다. 막연히 '감'에 기대지 말고, 정확히 구조를 분석해 내는 훈련이 필수입니다. 문법적으로 이해한 후에는 자연스럽고 빠르게 문장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기본이 되는 이 해석 틀은 여러분의 영어 실력이 성장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내면화 되어갑니다.
그럼 다음에 뵙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관계부사 직전정리" 책입니다. 관계부사에서 꼭 알아야 할 내용들만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말(회화)의 문장 구조는 글보다 복잡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오늘 공부할 삽입절은 복잡한 구조이지만, 글보다는 말에서 더 자주 쓰입니다. 어려운 부분이므로 주의해서 익혀두길 바랍니다.
항목별로 설명하겠습니다.
1. 삽입절이란?
삽입절이란 러시아 인형 마트료시카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인형 속에 인형이 들어있는 것처럼 문장 속에 문장이 들어 있는 것입니다. 간단한 삽입절들을 보겠습니다.
예문을 봅시다.
■ 기본문장
(1) There are so many things that I don know.
(아주 많은 것들이 있다/ 내가 알지 못하는)
(1)번에 [I think]라는 삽입절을 추가해서 다음과 같은 문장들을 만들 수 있습니다.
■ [I think] 삽입절
(1-1) [I think], there are so many things that I don't know.
[내 생각에], 많은 것들이 있다/ 내가 알지 못하는.
(1-2) There are so many things that [I think] I don't know.
(아주 많은 것들이 있다 /[내 생각에] 내가 알지 못하는)
(1-3) There are so many things that I don't know, [I think].
(아주 많은 것들이 있다/ 내가 알지 못하는, [내 생각에])
위와 같은 삽입절은 말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복잡해 보이지만 이해하는데 별 어려움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 중에서 (1-2)번과 같이 관계대명사절과 삽입절이 함께 쓰인 것을 ‘관계대명사의 삽입절’이라고 합니다.
2. 관계대명사 삽입절 예문
관계대명사 삽입절 예문을 몇 개 더 보겠습니다.
(2) I met the lady who [I'm sure you like her] is gorgeous.
(나는 여자를 만났어 [난 너가 그녀를 사랑할 걸로 확신하는데] 끝내줬어)
(3) You did something which [I think] you shouldn't have done.
(너가 한 짓은 [내 생각에] 해서는 안 되는 것이었어)
관계대명사 삽입절은 말에서 주로 쓰이고, 글에는 잘 안 쓰입니다. 말로 할 때는 자연스럽지만 글로 쓰면 어색하고 의미에 혼동을 초래하기 때문입니다.
3. 삽입절에서 주의할 사항
관계대명사의 삽입절에서는 관계대명사의 격과, 동사의 수·인칭에 주의해야 합니다.
(1) 삽입절은 관계대명사의 격과 무관하다.
① She is the one who [I think] will win the race. (whom 안 됨)
(그녀는 [내 생각에] 경주에 이긴다)
①번에서는 주격 관계대명사 ‘who'를 썼습니다. [I think]는 삽입절로서 선행사와 상관없기 때문입니다. 이 문장에서 관계대명사는, [I think]를 빼 버리면, 'will'의 주어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주격’who'를 써야 합니다. [I think]의 목적어라 생각하고 목적격 ‘whom'을 쓰면 안 됩니다.
삽입절은 일종의 부사절이므로 생략해도 의미의 변화가 없습니다.
'I think'가 삽입절로 쓰이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② She is the lady whom I think. [think의 목적어 whom]
(그녀는 여자이다/ 내가 생각하는)
②번에서 ‘I think’는 삽입절이 아닙니다. ‘I think'를 생략하면 말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관계대명사는 ’think'라는 동사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을 썼습니다.
(2) 관계대명사 삽입절에서 동사의 수·인칭
※ 다음에서 밑줄 친 부분을 바르게 고치시오.
ex) I met the people who [I'm sure]amnice. (am → are)
(나는 사람들을 만났다 [내가 확신하기에] 괜찮은)
관계대명사 문장에서 수나 인칭은 삽입절과 상관없이 결정됩니다. 위 문장에서 밑줄 친 'am'의 주어는 삽입절의 주어 ‘I'가 아니라 선행사 ’the people'입니다. 복수이므로 ‘am'을 ’are'로 고쳐야 합니다.
ex 1) What often appears to be a piece of worthless old junk may very well be quite valuable.
(선행사가 없으므로 관계대명사 what)
ex 2) The first thing (that, what) you learn in tennis is how to hold the racquet.
(선행사가 있으므로 that)
<필수예제>
(1) He always did (that, what) he believed was right.
(2) Since people generally like (that, what) they are good at, I propose that our children focus on areas in which they excel.
관계대명사 what 문제풀이
1. Some of these disadvantages are [that / what] the autos are expensive, are relatively slow, and require constant recharging.
해석 몇몇의 이러한 불편함들은 이 차들이 비싸고, 비교적 느리며, 지속적인 재충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해설 [ ] 다음의 문장은 완전 하다. 그러므로 접속사 역할을 할 수 있는 말이 와야 한다.
정답 that
단어 disadvantage: 불이익 relatively: 상대적으로 require: 요구하다 constant: 끊임 없는 recharging: 재충전
2. He now saw an opportunity [that / what] was sure to succeed.
해석 그는 성공할 것이 확실했던 기회를 지금 보았다.
해설 [ ] 다음에는 ‘주어’가 생략 되어 있다. 그러므로 관계 대명사가 와야 한다. [ ] 앞에 선행 명사인 ‘an opportunity’가 있으므로 선행사를 포함하는 what는 쓸 수 없다.
정답 that
단어 be sure to do: 반드시 ~하다
3. Looking at young chimpanzees at play, we find that /what their behavior is similar to that of our own children.
해석 놀고 있는 어린 침팬치들을 보고 있으면, 우리는 발견한다/ 그들의 행동이 우리 아이들의 그것과 비슷하다는 것을.
해설 [ ] 이하의 문장에는 생략된 말이 없다. 그러므로 접속사가 와야 한다.
정답 that
단어 similar: 유사한
■ [4-5] Correct an error.
4. Brainstorming is quickly writing down all the thoughts what come into your brain.
해석 브레인스토밍은 네 머리에 떠오르는 모든 생각들을 써 내려가는 것이다.
해설 ‘what’ 이하 문장에서는, 동사 ‘come’의 주어가 생략되어 있다. 그러므로 what은 관계 대명사 이다. 관계 대명사로 쓰인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하므로 what 앞에 선행명사가 없어야 한다.
정답 which(that)
단어 brainstorming: 브레인 스토밍(난상 토론)
5. Generally, when you meet people who are almost the same age as you, they will immediately tell you that they want to call.
해석 일반적으로, 네가 너와 거의 같은 연령의 사람을 만난다면, 그들은 연락하고 싶다고 즉시 너 에게 말할 것이다.
해설밑줄 친 부분에서 동사 ‘call’의 목적어가 없다. 그러므로 ‘that’는 목적격 관계 대명사이다. ‘that’은 관계 대명사 일 때 반드시 선행사와 함께 쓰인다. 밑줄 친 문장을 해석해 보면 ‘그들이 당신을 부르고 싶은 것’이라는 의미가 되므로, 사람인 ‘you’는 수식할 수 없다. 그러므로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 대명사가 와야 한다.
정답 what
단어 immediately: 즉시
6. His two children followed him inside, interrupting each other to tell him that they had done that day.
해석 그의 두 아이들은 그를 따라 안으로 들어갔다, 방해하면서/ 서로를/ 그들이 그 날 했던 것을 그에게 말하기 위하여.
해설 ‘that’ 이하에는 ‘done’의 목적어가 생략 되어 있다. 그러므로 ‘that’은 관계 대명사이다. ‘that’이하 문장을 해석해 보면 ‘그들이 했던 것’이라는 의미가 되므로 사람인 ‘you’와는 맞지 않는다. 그러므로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가 와야 한다.
정답 what
단어 interrupt: 방해 하다
7. As he was very hungry, he ate all what they gave him.
해석 그는 매우 배가 고파서, 그는 그들이 그에게 준 모든 것을 먹었다.
해설 ‘what’ 다음에는 동사 ‘gave’의 직접 목적어가 생략되어 있다. 그러므로 ‘what’은 관계 대명사 이다.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하므로 ‘all’이라는 선행명사와 함께 쓰일 수 없다. 선행사를 취할 수 있는 관계 대명사를 써야 한다.
첫 번째 문장에서 ‘WHO'는, 앞에 있는 명사 man을 설명하는 대명사입니다. 이와 같은 'who'는 앞에 있는 명사 ’man'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man'은 관계 대명사 앞에 있는 명사인데, 선행사라고 합니다. 선행사는 ‘앞에 있는 말’이라는 의미입니다.
두 번째 문장에서 which는 ball을 설명하는 관계대명사입니다. 관계대명사 which 앞에 있는 ball은 which의 선행사입니다.
세 번째 문장에서 whom은 he를 설명하는 관계대명사입니다. 그리고 HE는 그것의 선행사입니다.
관계대명사 이끄는 절을 ‘관계대명사절’이라고 하며, 선행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절 역할을 합니다. 관계대명사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여기서는 기본형 -who, which-만을 설펴보기로 하겠습니다.
1. Mr. Lee is the obstinate man who has his own way.
(이씨는 완고한 남자다/ 자기 고집대로 하려고 하는.)
2. This is the car which you bought for me.
(이것은 차다/ 당신이 나에게 사준.)
1번에서, 관계대명사절 'who has his own way'는 주절에 포함된 선행사 ‘the obstinate man'을 설명하는 형용사 절입니다. 마찬가지로 2번 문장에서도, which you bought for me’는 ‘the car'를 설명하는 형용사 절이 됩니다.
한정적․ 계속적 용법
1. I have two daughters who are Drs. of Chemistry. (제한적)
(나는 두 명의 딸들이 있다/ 화학박사들인.)
2. I have two duaghters, who are Drs. of Chemistry. (계속적)
(나는 딸이 둘 있다. 그런데 그들은 화학박사들이다.)
1번과 2번은 ‘,’를 제외하고는 큰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의미는 다릅니다. 1번과 같이 ‘,’없이 쓰인 관계대명사절은, 제한적 용법이라고 하며 특정한 선행사 ‘two daughters'만 설명하고 있습니다. 1번 문장에서는 딸들이 ’두 명 이상‘일 수도 있습니다. ’화학자가 된 딸들만 두 명이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죠.
이에 반하여 ’,‘와 함께 쓰인 2번 문장은 계속적용법 이라고 하며, ’딱 두 명의 딸들‘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두 명의 딸이 있고, 그 딸들이 화학박사들이다‘라는 의미입니다. 제한적, 계속적 용법을 너무 어려워 할 필요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관계대명사는 제한적 용법으로 쓰입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계속적 용법으로 쓸 필요가 없습니다.
격이란 문장에서 그 말이 하는 역할을 의미합니다. 어떤 말이 주어로 쓰인다면 주격, 목적어로 쓰인다면 목적격, 그리고 소유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면 소유격이 됩니다. 관계 대명사나 의문사가 쓰인 문장에서의 격은 반드시 그 관계대명사나 의문사절 내에서 결정됩니다.
의문사의 격
(1) I saw (who, whom) was there. (나는 보았다/ 누군가 거기에 있는 것을.)
(2) (Who, whom) was it you saw? (누구였니/ 너가 본 사람은?)
(1)번에서, ( )안에는 주격 who를 써야 합니다. saw라는 동사의 목적어 자리에 있다고 목적격 whom을 쓰면 안 됩니다. 왜냐하면 (who)는 ‘(who) was there'라는 절에서 주어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2)번 역시 ( )는 밑줄 친 문장에서 주어 역할을 하므로 ’주격‘을 써야 합니다.
관계대명사의 격
(1) She is the girl (who, whom) loves me. (그녀가 소녀이다/ 나를 사랑하는.)
(2) She is the girl (who, whom) I love. (그녀는 소녀이다/ 내가 사랑하는.)
(1)번에서 '( )'는, 밑줄친 부분에서 동사 love의 '주어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주격 (who)를 써야 합니다. 그렇지만 (2)번에서 괄호는, 밑줄 친 부분에서 동사 love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목적격 ‘whom'이 와야 합니다.
정리해 봅시다.
관계대명사의 격
관계대명사의 격은 관계대명사절 내에서 결정이 됩니다. 주어 역할을 하면, 주격, 목적어 역할을 하면, 목적격, 소유의 의미가 있으면 소유격이 됩니다. 그리고 각각의 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6강에서는 관계사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첫 번째로 관계대명사와 의문사의 차이를 공부해 봅시다.
화자가 물어보는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모를 경우에는 who, which, 또는 what 등과 같은 의문사들을 사용합니다.
(a) 의문대명사
1. Who stole my money? (‘누가’ 내 돈을 훔쳤지?)
2. Whom do you love? (너는 ‘누구를’ 사랑하니?)
3. Which do you prefer, money or health? (너는 ‘어느 것’을 더 좋아하니, 돈이니 건강이니?)
4. What are you doing? (너는 ‘무엇’을 하고 있니?)
5. Whose book is this? (이 책은 ‘누구의’ 것이니?)
1번 문장에서, who는 ‘누가’라는 의미를 갖고, 2번 문장에서 whom은 ‘누구를’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3번 문장의 which는 ‘어느 것’이라는 의미이며, 4번 문장에서 what은 ‘무엇’이라는 분명한 의미가 있으며, 5번의 whose 또한 ‘누구의’라는 의미가 있죠. 이와 같이 의문사들은 문장에서 고유한 의미를 그대로 가지게 됩니다.
의문대명사와 관계대명사
이러한 의문사들은 그 형태 그대로 관계대명사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관계대명사란 ‘선행사를 대신하는 선행사를 대신하는 대명사 역할과 그 선행사를 설명하는 형용사절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관계대명사로 사용되는 의문대명사들은 원래 의미가 없어지게 됩니다.
(b) 관계대명사
1. He is the boy who is waiting for me. (그는 소년이다/ 나를 기다리고 있는.)
2. She is the girl whom I am waiting for. (그녀는 소녀이다/ 내가 기다리고 있는.)
3. I have a book which is very interesting. (나는 책이 있다/ 매우 재미있는.)
4. This is what I want. (이것이다/ 내가 원하는 것은.)
1번에서 who는 소년을 대신하고 그 소년에 대하여 설명하는 주어역할을 합니다. 2번에서 ‘the girl을 대신하고 설명하는 whom은 전치사 'for'에 대한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3번에서 which는 ’the book'을 대신하고 설명하면서 ‘is’의 주어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4번에서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하고 있으며 타동사 ‘want'의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는데, 관계대명사로 쓰인 what은 ’~것‘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정리]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의문대명사는 고유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관계 대명사는 의미가 없는 시그널로서 앞에 있는 선행사를 대신하고 설명합니다.'
의문대명사와 관계대명사
의문대명사는 원래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관계대명사는 아무런 의미를 가지지 않으며 앞에 있는 선행사를 설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