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 if, as though


as if, as though 의미차이 (핵심정리 079)  동영상 강의





as if, as though 가정법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as if, as though의 차이에 대하여 간단히 말씀 드리겠습니다.


as if(as though): 마치 ~처럼


as if와 as though는 의미상의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서로 호환 가능합니다. ‘가능성’에 더 초점을 맞추고, ‘as if’가 ‘as though'보다 가능성이 낮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여러 사전들을 종합해 보면 큰 의미차이는 없습니다. 그래서 둘은 의미가 같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as if(as though) 예문


as if(as though)다음에는 주어 동사가 있는 절이 옵니다. 접속사이기 때문이죠. 그런데,


그 절에 있는 동사 시제에 따라서 내용이 달라집니다. 


한 번 봅시다.

(1) He acts as if(as though) he knew the answer.    (과거형)

    (그는 행동한다/ 자기가 답을 아는 것처럼.)

(2) He acts as if(as though) he knows the answer.   (현재형)

    (그는 행동한다/ 자기가 그 답을 아는 것처럼.)




as if(as though) 예문 설명


(1)번과 (2)번은 의미가 다릅니다. 어떻게 다를까요? 


                    (1)번은 ‘사실의 반대’를 나타내고 

                    (2)번은 ‘사실일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뉘앙스를 살려 해석해 보겠습니다.

(1) He acts as if(as though) he knew the answer. (가정)

    그는 행동한다/ 답을 아는 것처럼.                 (실제로는 답을 모르는데.)

(2) He acts as if(as though) he knows the answer. (사실일 가능성)

    그는 행동한다/ 답을 아는 것처럼.                  (웬지 알고 있는 것 같아...)

이런 의미차이가 있습니다. 


 다들 이해하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정리합시다.


(1) as if(as though) + 현재동사 ⇒ 사실일 가능성 있음

(2) as if(as though) + 과거동사 ⇒ 사실의 반대 (가정법)


그럼 다음 시간에는 as if(as though) 가정법에 대하여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if 가정법 미래  (16) 2013.03.13
as if, as though 가정법  (23) 2013.03.11
wish 가정법  (13) 2013.03.11
hope, wish 의미차이  (6) 2013.03.09
wish 용법  (2) 2013.03.09

wish의 용법






가정법에 쓰이는 wish를 공부하기에 앞서 동사 wish의 쓰임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wish의 세가지 용법


동사 wish는 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1) wish to do (~하고 싶다)

(2) wish A B (A에게 B를 바라다)

(3) wish that S 과거형 (가정법, 사실에 대한 반대)




각 항목별로 예문을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1) wish to do (~하고 싶다)


ex) I wish to be a scientist. (나는 과학자가 되고 싶다.)

여기서 'wish to be'는 ‘~이 되고 싶다’로 쓰였습니다. ‘want to be'로 바꾸어도 됩니다.





(2) wish A B (A에게 B를 바라다)


ex) I wish you a merry Christmas. (나는 당신에게 즐거운 크리스마스를 바랍니다.)

              A            B

wish A B는 이 예문을 보면 잘 이해되실 겁니다. 이 때 wish는 ‘바라다’로 쓰였습니다. hope나 desire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3) wish that S 과거형 (가정법, 사실의 반대)


이 항목은 가정법에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여기에서는 간단한 개념정리만 하겠습니다.


① I wish (that) I were beautiful.       (현재 사실의 반대)

   (나는 바란다/ 내가 아름답기를)

② I wish (that) I had been beautiful. (과거 사실의 반대)

   (나는 바란다/ 내가 아름다웠었기를)


①번을 보면 that 절에 과거동사 were가 왔습니다. 이렇게 wish that절에 과거동사가 오면 가정법 과거가 됩니다. 그러므로 현재사실의 반대가 됩니다. ‘현재 아름답지 않은 것을 아쉬워 하고 있습니다.

②번은 that절에 과거완료 'had been'이 왔습니다. wish that절에 과거완료가 오면 ‘가정법 과거완료’가 되어, ‘과거 사실에 대한 반대’가 됩니다. '과거에 아름답지 못했던 것을 아쉬워 하고 있습니다.





wish의 일반적인 용법은 이정도로 정리하겠습니다. 

wish에 대한 자세한 용법은 가정법 편에서 다루기로 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sh 가정법  (13) 2013.03.11
hope, wish 의미차이  (6) 2013.03.09
가정법 과거완료  (6) 2013.03.09
가정법 과거  (6) 2013.03.08
if (가정, 조건)  (12) 2013.03.08

if (가정과 조건)




if (만약 ~라면)


이번 시간부터는 가정법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가정법에 쓰이는 대표적인 말이 ‘if'입니다. 이 때 'if는 ’만약 ~라면‘이라는 뜻을 가집니다. 가정법에 대한 본격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이 시간에는 ‘만약 ~라면’의 ‘if’를 살펴보겠습니다. 가정법을 힘들어하는 이유 중 대부분이 ‘if'의 정체성을 명확히 하지 않아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if (만약 ~라면) ?


가정법이란 무엇일까요?

가정법의 시제와 형태가 무엇이던지, 가정법이 나타내는 것은 ‘사실의 반대’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의 반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표현이 ‘if(만약 ~라면)'인 것입니다. 그런데 'if(만약 ~라면)’이 사실의 반대만을 나타내지는 않습니다. 




먼저 ‘if(만약 ~라면)’에 대해 정리해봅시다.



if (만약 ~라면)

1. 조건

If it is fine tomorrow, we will go on a picnic.

(내일 날씨가 좋다면, 우리는 소풍을 갈 것이다.)


2. 가정

If I were a bird, I could fly to you.

(만약 내가 새라면, 나는 당신에게 날아갈텐데.)



가정법이 어려운 것은 조건과 가정을 구별하지 않고 쓰기 때문입니다. 이 두 문장의 차이를 설명해 보겠습니다.


조건과 가정


1. 조건

조건문장에서는 사실일 가능성, 즉 실현 가능성이 꽤 높습니다. 내일 날씨가 좋을 수도 있으니까요. 이렇게 ‘실현가능성이 높은 것’에 사용된 'if(만약 ~라면)‘을 ’조건의 if'라고 합니다. 그리고 내용상 미래라도 현재시제를 사용합니다.


2. 가정

가정문은 사실의 반대를 나타냅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극단적인 문장을 들었지만 원칙은 변함이 없습니다. 가정의 ‘if(만약 ~라면)’은 사실의 반대를 나타냅니다. (2)번 문장의 경우, 죽었다 깨어나도 새가 될수는 없습니다. 사실의 반대죠. 그러므로 가정입니다.



일단 조건의 if와 가정의 if가 구별이 되면 가정법은 쉬워집니다. 



지금까지 공부한 것을 간단한 문제를 통해서 적용해 보겠습니다.



문제 적용



※ 다음 if가 가정인지 조건인지 판단하세요.

(1) If you go abroad, enjoy other foods. (조건, 가정)

    (해외에 간다면, 다른 음식을 즐겨라.)

(2) If you went to the dead world, you could see your forefathers. (조건, 가정)

   (당신이 저승에 간다면, 조상들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1)번은 실현가능합니다. 그러므로 조건입니다. (2)번은 실현 불가능하므로 가정입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가정법은 점점 형식이 파괴되어 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세세하게 외우려고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조건과 가정을 나타내는 ‘if(만약 ~라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음 시간부터는 각 가정법에 대한 개별항목을 ‘시제’ 중심으로 공부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법 과거완료  (6) 2013.03.09
가정법 과거  (6) 2013.03.08
조동사 have pp  (13) 2013.03.07
must, must have p.p (추측)  (8) 2013.03.06
must, have to, should (~해야한다)  (14) 2013.03.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