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형식 문장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4형식 문장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영어 4형식 문장의 수여동사,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를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다양한 예문과 함께 학습하고 문장 전환 연습도 진행해보세요. 중학교 내신때부터 주구장창 봐왔던 것들이라 다들 익숙하실 겁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예상 읽기 시간
○ 퀴즈를 해결한 실력자 → 이글은 쉬세요. 😄
○ 예문을 천천히 확인하면서 읽으면 5분
○ 내용을 찬찬히 소화하면서 읽으면 10분
→ 글 작성 + 영상 촬영 + 코딩까지 6시간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0. Quiz
- 다음 수여동사를 각각 올바른 전치사(to, for, of)와 연결하여 분류하고, 예외적으로 전치사를 사용하지 않는 동사 두 개를 제시하세요.
award
,bake
,ask
,owe
,spare
,lend
,buy
,require
,cost
,promise
- 다음 문장은 수여동사
cost
를 사용한 예문입니다. 잘못된 부분을 바르게 고치세요.
ex) The small garden cost a little effort my son .
전형적인 한국식 문법 퀴즈입니다. 위 두 문제를 가볍게 해결하신 영어의 고수분들께는 이 글이 필요 없습니다. 다른 글을 읽거나 머리를 식히시기 바랍니다. 본듣도 한데 자신이 없는 대다수의 여러분들은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확실하게 정리해서 4형식을 익힐 수 있으니 얼마나 좋습니까? 세상만사 보기 나름입니다.
1. 수여동사의 개념
4형식 문장을 만드는 동사를 ‘수여동사’라고 합니다. ‘수여’는 ~을 주다’라는 의미입니다. ‘상장을 수여하다’에서 사용되는 ‘수여’와 같습니다. 문법용어에는 유독 한자가 많습니다. 세종대왕께는 죄송하지만 개념어를 표현하는데는 한자가 더 편해합시다.
대표적인 수여동사 give가 들어간 예문을 봅시다.
ex) I gave my son a praise.
나는 내 아들에게 주었다/ 칭찬을/
이 문장에서 보듯이 give라는 수여동사는 행위를 받는 사람(my son)과 행위자체(a praise)가 필요합니다. 이렇게 행위를 받는 사람과 행위가 모두 필요한 동사를 수여동사라고 합니다.
수여동사: '주다'라는 의미를 가진 4형식 동사
2. 간접목적어 (Indirect Object)
이 4형식 문장들에서 수여동사는 ‘행위를 받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다음 문장들을 봅시다.
(1) I gave my son a praise.
나는 내 아들에게 주었다 / 칭찬을.
(2) She gave me a present.
그녀는 나에게 주었다 / 선물을.
여기서는 'my son, me' 가 행위를 받는 사람입니다.
이렇게 수여동사가 하는 행위를 받는 사람을 ‘간접 목적어(Indirect Object)"라고 하며, 줄여서 IO라고 표시하기도 합니다.
간접 목적어는 인칭대명사의 목적격을 쓰며, ‘누구에게(to whom), 누구를 위해(for whom)’로 해석됩니다.
간접목적어
- 수여동사의 행위를 받는 사람
- 누구에게(to whom), 누구를 위해(for whom)로 해석
3. 직접목적어 (Direct Object)
수여동사가 하는 행위의 대상으로 ‘사물’입니다. 직접목적어 (Direct Objective)라고 하며, 줄여서 'DO'라고 쓰기도 합니다. 사실 4형식 문장에서 진짜 목적어는 "직접목적어"입니다. 간접목적어는 목적어로 분류는 되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동사의 행위의 대상은 아닙니다. 직접목적어는 우리 말로 ‘~을, ~를‘로 해석됩니다.
다음 예문들을 봅시다.
(1) I gave my son seeds.
나는 내 아들에게 주었다 / 씨앗을 .
→ give라는 행위의 대상 'seed'
(2) I built my son a small garden.
나는 내 아들에게 만들어 주었다 / 작은 정원을 .
→ built라는 행위의 대상 'a small garden'
(3) My son asked me some questions.
내 아들은 나에게 했다 / 몇 가지 질문을.
→ asked라는 행위의 대상 'some questions'
(4) The task cost me a little effort.
그 일은 나에게 들게 했다 / 약간의 노력을 .
→ cost라는 행위의 대상 'a little effort'
위 예문들에서 직접목적어는 각"seeds, a small garden, some questions, a little effort" 가 됩니다.
직접목적어
- 수여동사의 행위의 대상
- '~을 / ~를'로 해석
4.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위치
4형식 문장에서 간접목적어는 동사뒤, 직접목적어 앞에 위치합니다.
예문을 다시 한 번 보겠습니다.
(1) I built my son a small garden.
나는 내 아들에게 만들어 주었다/ 작은 정원을.
→ 간접목적어 my son은 직접목적어 a small garden 앞에 옵니다.
그렇지만 (1)번 문장은 전치사구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쓸 수도 있습니다.
(2) I built a small garden for my son.
나는 작은 정원을 만들었다/ 내 아들을 위해서.
→ 'for + 간접목적어'를 직접목적어 뒤로 이동
4형식 문장은 전치사구를 이용하여 3형식 문장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4형식 문장 전환은 다음 글을 참고 하세요.
5. 수여동사 리스트
다음은 영어에서 대표적인 4형식 동사들입니다. 이들은 전치사를 이용하여 3형식 문장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4형식 동사들이 3형식으로 바꿀 때 전치사 "to"를 사용합니다. 그러므로 to를 사용하는 동사들은 외울 필요가 없습니다. 몇 안 되는 'for, of'를 이용하는 동사들 위주로 기억해 두면 됩니다.
1. to group
3형식으로 바꿀 때 전치사 to를 이용하는 동사들입니다.
award, bring, deny, feed, give, hand, lend, offer, owe, pass, promise, read, sell, send, show, take, teach, tell, throw, write
2. for group
3형식으로 바꿀 때 전치사 for를 이용하는 동사들입니다.
bake, build, buy, cook, design, do, get, find, hire, make, save, write
3. of group
3형식으로 바꿀 때 전치사 of를 이용하는 동사들입니다.
ask, beg, inquire, require
4. no group
3형식으로 바꿀 수 없는 4형식 동사들입니다. 예외적인 동사들이라서 '전치사 없음'으로 분류했습니다.
allow, bet, charge, cost, spare, wish
위에서 언급한 대부분의 수여동사들은 ‘누구에게 무엇을 해주다’라고 해석됩니다.
(주: hire는 4형식으로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어느 분의 예리하신 지적덕분에 수정합니다.) (^^)
6. 자주 묻는 질문 (FAQ)
수업 시간에 자주 들었던 질문입니다.
Q1. 수여동사란 무엇인가요?
A1. 수여동사는 4형식 문장을 만들 때 쓰이는 동사들입니다. '누구에게 ~을 주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간접목적어(IO, 사람)와 직접목적어(DO, 사물)가 필요합니다.
Q2. 간접목적어(IO)와 직접목적어(DO)의 위치는 어떻게 되나요?
A2. 4형식 문장에서 간접목적어(IO)는 직접목적어(DO) 앞, 즉 동사 바로 뒤에 위치합니다. 그리고 전치사(to, for, of)를 이용해서 순서를 바꿀 수도 있습니다.
7. 연습문제 다운로드
글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 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이상으로 4형식 문장에 대한 기나긴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update on 2025-05-19 by Song SSam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4형식 문장] 수여동사 예문 및 사용법 정리 (6) | 2025.05.21 |
---|---|
영어 문장 쉽게 쓰기: 4형식 vs 3형식 선택하는 법 (8) | 2025.05.20 |
의미가 달라지는 타동사들 (attend, believe, enter, leave, reach) (5) | 2025.05.17 |
3형식 타동사 완벽 정리 (목적어 해석 주의사항 포함) (10) | 2025.05.16 |
자동사를 타동사로 활용하기 | 3형식 동사 활용법 (6)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