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 명사 복수형 (compounds plural)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합성명사(복합명사)의 복수를 보겠습니다.



합성명사(合成名詞)란 두 개 이상의 말이 결합된 명사입니다. 합성명사(compound nouns)는 복합명사라고도 합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 합성명사의 복수형을 만드는 방법 

1. 마지막 단어에 '-s'를 붙이는 경우

2. 첫 번째 단어에 ‘-s를 붙이는 경우

3. 'man, woman'이 포함된 합성명사

 


항목별로 살펴보겠습니다.

 


1. 마지막 단어에 '-(e)s'를 붙이는 경우


합성명사는 한 단어로 취급됩니다. 그러므로, 보통은 뒤에 있는 말에 ‘-(e)s'를 붙여서 복수형을 만듭니다. 특히 구어에서 이러한 경향이 강합니다.


(1) 명사+명사

‘명사+명사’로 이루어진 합성어는 보통 맨 뒤의 명사에 ‘-(e)s'를 붙여 복수형을 만듭니다.


 단수

 복수

 단수

 복수

 deputy director deputy directors (부회장들) air balloon air balloons (공기 풍선들)
 baby sitter baby sitters firefly fireflies (반딧불들)



(2) 명사+다른 품사, 다른 품사+다른 품사

다른 품사들과 결합되어 이루어진 합성어들도, 보통은 맨 뒤의 단어에 ‘-(e)s'를 붙여 복수형을 만듭니다.


 단수

 복수

 단수

 복수

 breakdown  breakdowns (고장들) close up close ups (근접촬영 장면들)
 driving license driving licenses (운전 면허들) forget-me-not forget-me-nots (물망초들)
 grown-up grown-ups (성인들) hen-pecked hen-peckeds (공처가들)
 high brow high brows (인텔리들) hyper-link hipe-links (하이퍼 링크들)
 merry-go-round merry-go-rounds (회전목마들) old-time old times (옛날들)
 overbold 

 overbolds (무모한 사람들)

 outlier outliers (특이한 녀석들)
 red skin red skins (인디언들) rise and fall  rise and falls (흥망성쇠)
 setback setbacks (후퇴) stand-by  stand-bys (대기자들)
 strong-willed  strong-willeds (의지가 강한 사람들) sun rise sun rises (일출들)

 sun set

 sun sets (일몰) take off  take offs (이륙들)
 take over take overs (매입들) touch-me-not 

 touch-me nots (봉선화들)




2. 첫 번째 단어에 ‘-(e)s'를 붙이는 경우


(1) 앞에 있는 명사에 ‘-(e)s'를 붙이는 경우

명사가 후치수식어(전치사구, 분사 등)와 결합할 경우에는, 보통은 앞에 있는 명사에 ‘-(e)s’를 붙여서 복수형을 만듭니다.


 단수

 복수

 commander-in-chief commanders-in-chief (사령관들)
 editor-in-chief 

 editors-in-chief (편집장들)

 hanger-on hangers-on (식객들)
 man-of-word men-of-word (약속을 잘 지키는 사람들)
 passer-by

 passers-by (통행인들)



(2) 뒤에 있는 명사에도 ‘-(e)s'를 붙일 수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말들은 보통은 앞에 있는 말에 ‘-(e)s'를 붙입니다. 그렇지만 비격식체에서는, 뒤에 있는 말에도 ‘-(e)s'를 붙일 수 있습니다.


 단수

 복수

 attorney general attorneys general, attorney generals (법무장관들)
 court-martial courts, martial, court martials (군사법정들)
 mother-in-law  mothers-in-law, mother-in-laws (장모들)
 father-in-law  fathers-in-law, father-in-laws (장인들)
 son-in-law 

 sons-in-law, son-in-laws (사위들)

 daughter-in-law daughters-in-law, daughter-in-laws (딸들)

 


3. 'man, woman'이 포함된 합성명사


'man, woman'이 포함된 합성명사는 의미에 따라 복수형이 달라집니다.


(1) 복수형(men, women)으로 바꾸는 경우

'man, woman'이 들어간 합성명사가 ‘동격(A=B)’를 이룰 경우 ‘men, women'으로 바꾸어 줍니다.


 단수

 복수

 a woman teacher women teachers (여자 선생님들) (woman = teacher)
 a gentleman friend gentlemen friends (신사 친구들) (gentleman = friend)
 a manservant menservants (남자 하인들) (man = servant)



(2) 복수형 (men, women)으로 쓰지 않는 경우

‘man, woman'이 들어간 합성명사가 동격을 이루지 않을 경우(A≠B)에는 ’man, woman'을 그대로 씁니다.


 단수

 복수

 a woman lover

 woman lovers (여자를 밝히는 남자들) (woman ≠ lover)

 a man hater man haters (남자를 싫어하는 사람들) (man ≠ haters)


합성명사의 복수형들은 상당히 까다롭습니다. 한 번에 외우려 하지 말고, 큰 원칙만을 익혀 두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말하거나 글을 쓸 때마다 익혀 나가면 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합성명사의 복수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의 부정문  (2) 2014.04.14
항상 복수 취급하는 명사들  (6) 2014.04.13
외래어 복수  (0) 2014.04.11
불규칙 복수형  (2) 2014.04.10
명사의 복수형  (0) 2014.04.09

외래어 복수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외래어 복수형을 보겠습니다.



영어 명사의 복수형은 대부분 ‘-(e)s'를 붙여서 만듭니다. 그런데 외래어(Latin, Greek, French)에서 온 명사들은 원래 복수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러 외래어 기원 명사들 중에서, 지금도 많이 쓰이는 ’라틴, 그리스‘ 계열을 중심으로 설명하겠습니다. 굳이 외울 필요는 없는 것들이니 가볍게(?) 읽어 보기 바랍니다.


공부할 내용입니다.


1. '-us'로 끝나는 라틴어

2. ‘-um'으로 끝나는 라틴어

3. '-a'로 끝나는 라틴어

4. ‘-ex, -ix'로 끝나는 라틴어

5. '-is'로 끝나는 그리스어

6. '-on'으로 끝나는 그리스어


라틴, 그리스 계열의 단어들은 ‘원래 복수형’과 ‘-(e)s' 복수형을 가질 수 있습니다. 보통, 학술적으로 사용되면 ’원래 복수형‘을, 일상적으로 사용되면 ’-(e)s'를 씁니다. 




그럼 항목별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us'로 끝나는 라틴어


(1) -us → -i

‘-us'으로 끝나는 라틴어들은 ’-us'를 ’-i'로 바꾸어 복수형을 만듭니다. 

이 때 복수형 어미 ‘-i'는 /ai/로 발음 됩니다.


 단수

 복수

 단수

 복수

 alumnus

 alumni (남자 졸업생들)

 bacillus

 bacillui (바실루스 균들)

 calculus 

 calculi (담석들)

 focus

 foci (초점들)

  locus

 loci (장소들)

 nucleus

 nuclei (핵들) 

 radius

 radi (반지름들)

 stimulus

 stimuli (자극들)


(2) focus → foci, focuses

다른 ‘-um'으로 끝나는 라틴어들처럼, focus도 ‘focuses'라는 복수형이 가능합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학문적이라면 'foci', 일상적이라면 ’focuses'를 쓰면 됩니다.


(3) -us → -a

다음 '-us'로 끝난 다음 단어들은 다른 복수형을 갖습니다.

 단수

 복수

 단수

 복수

 corpus corpora (말뭉치들)   genus genera (생물속들)


corpus는 'corpuses'를 복수형으로 취할 수도 있습니다.



2. ‘-um'으로 끝나는 라틴어


(1) -um → -a

‘-um'으로 끝나는 라틴어들은 ’-um'을 ‘-a'로 바꾸어 복수형을 만듭니다.


 단수

 복수

 단수

 복수

 aquarium aquaria (수족관들) curriculum curricula (교육과정들)
 datum data (자료들) forum fora (포럼들)
 maximum maxima (최고들) minium minima (최소들)

 medium

 media (매체들) memorandummemoranda (메모들)
 millennium millennia (천년들)

 spectrum

 spectra (범위들)
 stratum strata (층들) 

 stadium

 stadi


(2) forum → forums, stadium → stadiums

'-um'으로 끝나는 라틴말들은,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es)’ 복수형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특히 ‘forum, stadium'은, ’-a'형보다, ’forums, stadiums'가 복수형으로 더 자주 사용됩니다.


(3) data, media

원래 복수형이었던 ‘data, media’는 문맥에 따라 단수로도 사용되니 주의해야 합니다.

① data, media 복수

a. These data show interesting points.

    (이들 데이터들은 보여준다/ 흥미로운 점들을)

b. The media have a large impact on society.

    (매체들은 커다란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사회에 대하여)


a에서는 ‘data'를 복수 취급해서, 복수 한정사 ’these', 복수 동사 ‘have'를 썼습니다.

b에서도 ‘media'를 복수 취급해서 복수 동사 ’have'를 썼습니다.


② data, media 단수

    a. This data is trustworthy.

       (이 자료는 믿을만 하다)

    b. The media often distorts data.

       (그 매체는 자주 자료들을 왜곡한다)


a에서는 data를 단수 취급해서 단수 한정사 ‘this', 단수 동사 ’is'를 썼습니다.

b에서는 media가 단수이기 때문에 단수동사 ‘distorts'를 썼습니다.



3. '-a'로 끝나는 라틴어


'-a'로 끝나는 라틴어들은 ‘-e'를 추가해서 복수형으로 만듭니다.

-a → ae

 단수

 복수

 단수

 복수

 alga algae (조류들) antenna antennae (더듬이들)
 formula formulae (공식들) larva larvae (유충들)
 nebula nebulae (성운들) vertebra  vertebrae (척추뼈들)


'forum, antenna'의 경우,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forums, antennas'도 자주 복수형으로 사용됩니다. 그렇지만 학문적인 말이나 글에서는 아직도 원래 복수형(antennae, formulae)을 더 많이 씁니다.



4. ‘-ex, -ix'로 끝나는 라틴어


(1) -ex, -ix → -ices

‘-ex, -ix'로 끝나는 라틴 명사들은 단어의 끝을 ’-ices'로 바꾸어 복수형을 만들어 줍니다.


 단수

 복수

 단수

 복수

 appendix   appendices (부록들) index  indices (지수들) 
  matrix  matrices (모체들)  


(2) indices, indexes

    index의 복수형은 의미에 따라 달라집니다.

① indices → (수학적) 지수

    a. Dow Jones Indices (다우 존스 지수)

    b. stock market indices (주식 시장 지수)

    c. red blood cell indices (적혈구 지수)


현대에서는, 수학적) 지수에도 흔히 ‘indexe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② index → (책의) 색인

    a. book indexes (책의 색인들)

    b. online library indexes (온라인 도서관 색인들)



5. '-is'로 끝나는 그리스어


'-is'로 끝나는 그리스어 기원 명사들은 ‘-is'를 ’-es'로 바꾸어 복수형을 만듭니다.

-is → -es


 단수

 복수

 단수

 복수

 analysis analyses (분석들) axis  axes (축들)
 crisis crises (위기들) diagnosis diagnoses (진단들)
 hypothesis hypotheses (가설들) oasis oases (오아시스들)
 thesis theses (논문들)  

 


6. '-on'으로 끝나는 그리스어


'-on'으로 끝나는 그리스어 명사들은 ‘-on'을 ’-a'로 바꾸어 복수형을 만듭니다.

-on → -a


 단수

 복수

 단수

 복수

 automaton automata (자동 장치들) criterion criteria (기준들)
 ganglion ganglia (신경절들) phenomenon phenomena (현상들)



외래어 복수들을 유형별로 나누어 외울 필요까지는 없습니다. 개략적으로 알아 두고 쓸 때마다 익혀가면 됩니다. 너무 무리하면 영어가 지겨워 질수도 있습니다(^ ^).

 

그럼 이상으로 외래어 복수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상 복수 취급하는 명사들  (6) 2014.04.13
합성명사 복수형 (compounds plural)  (0) 2014.04.12
불규칙 복수형  (2) 2014.04.10
명사의 복수형  (0) 2014.04.09
수량사 (quantifiers)  (0) 2014.04.08

불규칙 복수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불규칙 복수형을 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모음 변화

2. 자음 변화

3. 새로운 어미 추가 (ren, en)


명사들의 복수형은 대부분 ‘-(e)s'를 붙여서 만듭니다. 그러므로 철자와 발음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ex) cap → caps


그렇지만 소수의 명사들은 복수형태가 불규칙적입니다. 당연히, 이 말들의 철자와 발음은 예측할 수 없습니다.

ex) ox → oxen


불규칙 복수형들은 어쩔 수 없이 개별적으로 외울 수밖에 없습니다. 



불규칙 명사들은 보통 세 가지 방법으로 만들어 집니다. 

차례대로 살펴보겠습니다.



1. 모음 변화


명사의 뒤에 ‘-(e)s'가 붙는 것이 아니라, 명사의 모음이 변하여 복수형을 만듭니다.


(1) 모음 변화

 foot - feet  

 goose - geese

  louse -lice 

 mouse - mice

 tooth - teeth

 man - men 

 woman - women

 

('-oo-'가 들어간 말은 ‘-ee'로 바꾸어 복수형을 만듭니다)


(2) -man, -woman, child 합성어

‘-man, -woman'을 포함한 합성어의 복수는 '-men, women, children'이 됩니다.

 chairman - chairmen

 fireman - firemen 

 postman - postmen

 grandchild - grandchildren

 

 



(3) 컴퓨터 mouse

'mouse'가 생쥐가 아닌 ‘컴퓨터 마우스’를 의미할 때 복수형은 ‘mouses를 쓸 수도 있습니다.

A: Which is right?

   Computer mouses or computer mice?

B: Both can be correct.


A: 어느 것이 맞지?

   ‘Computer mouses, computer mice' 중에서.

B: 둘 다 맞아.



2. 자음 변화


(1) f → ves

'-f'로 끝나는 몇 단어들은, 발음의 편의를 위해서, ‘-f'를 ’-v'로 바꾸어 '-es'를 붙입니다.

 calf → calves (송아지들) 

 elf → elves (요정들)

 half → halves (반쪽들)

 knife → knives (칼들)

 leaf → leaves (잎들) 

 life → lives (인생들)

 loaf → loaves (덩어리들) 

 scarf → scarves (스카프들)

 self → selves (자아들)

 shelf → shelves (선반들)

 thief → thieves (도둑들)

 wife → wives (아내들)

 wolf → wolves (늑대들)

 

 


(2) f, ff → fs, ffs

대부분의 ‘-f'로 끝나는 말들과, 모든 ’-ff'로 끝나는 말들은 ‘-s'를 붙여 복수형을 만듭니다.

ex) beliefs, chefs, chiefs, cliffs, proofs, puffs, reefs, roofs, safes, serfs, staffs, surfs


(3) f → ves, fs

다음 단어들은 두 가지 복수형(-ves, fs)이 모두 가능합니다.

 dwarf → dwarves

 dwarfs (난쟁이들)

 hoof → hooves

 hoofs (발굽들) 

 wharf → wharves

 wharfs (선창들)

 

 



3. 새로운 어미 추가 (ren, en)


'child, ox'는 새로운 어미(ren, en)를 추가해서 복수형을 만듭니다.

child → children (-ren 추가)        ox → oxen (-en 추가)

 


그럼 이상으로 불규칙 복수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성명사 복수형 (compounds plural)  (0) 2014.04.12
외래어 복수  (0) 2014.04.11
명사의 복수형  (0) 2014.04.09
수량사 (quantifiers)  (0) 2014.04.08
전치 한정사, 후치 한정사  (1) 2014.04.04

명사의 복수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명사의 복수형을 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입니다.


1. 복수형의 발음

2. 복수형의 형태


영어 명사의 대부분은 ‘셀 수 있는(가산)’명사로서, 단수형과 복수형을 가집니다. 단수형은 사전에서 볼 수 있는 형태이며, 특별한 표시가 없습니다. 복수형은 보통, 단수명사에 ‘-(e)s'를 붙여서 만듭니다.



명사의 복수형을 발음과 형태로 나누어 설명 하겠습니다.


 

1. 복수형의 발음


복수형 어미 (e)s는 /s/, /z/, /iz/ 세 가지로 발음 됩니다.


(1) /s/로 발음

무성자음 /p/, /t/, /k/, /f/, /θ/ 다음에서는 /s/로 발음됩니다.

발음 

단어 

 복수형

 복수형 발음

 /p/

 cap 

 caps

 /kӕps/

 /t/

 cat  

 cats

 /kӕts/

 /k/

 truck  

 trucks

 /trʌks/

 /f/ 

 handcuff

 handcuffs

 /hӕndkʌfs/

 /θ/ 

 death

 deaths

 /deθs/   


※ 주의

paths, mouths 등에서 's'는 ‘z'로 발음됩니다.

 

(2) /z/로 발음

단수명사가 모음이나 유성음으로 끝날 경우에는 /z/로 발음됩니다.

ex) heroes /hɪroʊz/

    beds /bedz/


(3) /iz/로 발음

단수명사가 자음이나 ‘-e'로 끝날 때는 /iz/로 발음됩니다.


발음 

단어 

 복수형

 복수형 발음

 /s/

 kiss  kisses  /kɪsɨz/

 /ʃ/

 bush bushes /bʊʃiz/

 /z/

 prize prizes/praɪziz/

 /ʒ/

 message messages /məsɑ:Ʒiz/

 /dʒ/

 bridge bridges /brɪdƷiz/

 /tʃ/

 watch  witches /wɪtʃiz/



2. 복수형의 형태


명사의 복수형은 일반적으로 ‘-s'를 붙여서 만듭니다.

ex) cars    computers    beds    horses


그렇지만 복수형 어미 '-s'는 앞에 오는 명사에 따라 형태가 바뀝니다.


(1) /s/, /z/, /ʃ/, /tʃ/ + '-es'

/s/, /z/, /ʃ/, /tʃ/로 발음이 끝나는 명사들은 ‘-es'를 붙여 복수형을 만듭니다.

발음 

단어 

 복수형

 복수형 발음

 /s/

 kiss  kisses  /kɪsɨz/

 /ʃ/

 bush bushes /bʊʃiz/

 /z/

 prize prizes/praɪziz/

 /dʒ/

 bridge bridges /brɪdƷiz/

 /tʃ/

 watch  witches /wɪtʃiz/



(2) 'y'를 '-ies'로

① ‘자음+y'

‘자음+y'로 끝나는 명사는 ’y'를 ‘i’로 바꾸어서 ‘-es'를 붙입니다.

ex) spy    spies

     lady    ladies


② '모음+y', 고유명사

그러나, ‘모음+y'로 끝나는 명사에는 ’-s'만 붙입니다.

ex) boys    days

 

'자음+y'로 끝나는 고유명사에도 ‘-s'만 붙입니다.

ex) Kennedys    Germanys


(3) '-o'로 끝나는 명사

'-o'로 끝나는 명사는 ‘-s'를 붙여서 복수형으로 만듭니다.

ex) pianos    photos


그러나 다음 말들은 다음과 같이 ’-es'를 붙여 복수형으로 만듭니다.

ex) echoes, heroes, negroes, potatoes, tomatoes, vetoes 등


그리고 다음 말들은 ‘-s', '-es'를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ex) buffalo(e)s, cargo(e)s, mosquito(e)s, motto(e)s, volcano(e)s 등



명사의 복수형은 예외가 많아서 까다롭습니다. 그러므로 단순한 규칙 암기보다는 사용해 가면서 익혀가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그럼 이상으로 명사의 복수형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래어 복수  (0) 2014.04.11
불규칙 복수형  (2) 2014.04.10
수량사 (quantifiers)  (0) 2014.04.08
전치 한정사, 후치 한정사  (1) 2014.04.04
비교급으로 최상급 표현하기  (1) 2014.04.03

수량사 (quantifiers)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수량사를 살펴 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나 개별 : all, both, every, each

2. 많은 수량 : many, a great many, a good many

                  much, a great deal of, a good deal of

3. 일부나 소수량 : some, any, (a) little, (a) few

4. 선택, 부정 : either, neither, no


일부 한정사들은 명사 앞에서 수나 양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것들을 수량사(quantifiers)라고 합니다. 여러 수량사가 있지만 자주 쓰이는 것 위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전체나 개별  

(all, both, every, each)


(1) 전체 : all, both

all은 어떤 집단 전체(보통 셋 이상)를 나타냅니다. all은 복수명사에도, 단수명사에도 사용됩니다.

① All my friends are students. (all + 복수명사)

    (모든 내 친구들은 학생들이다)

② All water is drinkable. (all + 단수명사)

    (모든 물이 마실 수 있다)


both는 ‘두 대상 모두’를 나타내며 다음에는 복수명사만 옵니다.

③ Both my friends are foreigners.

    (내 두 친구 모두 외국인들이다)


(2) 개별 : every, each

every, each는 어떤 집단의 개별 구성원을 나타내며 반드시 ‘단수명사’와 함께 써야 합니다. every는 ‘모든’, each는 ‘각각의’라는 뜻을 가집니다. 비슷한 의미지만 'every'는 집단 전체에, ‘each'는 구성원 각각을 더 강조합니다.


① Every one has a phone. (모든 사람)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다/ 전화를)


② Each one has their own number. (개별 번호)

   (각각은 가지고 있다/ 고유한 번호를)

①번에서는 ‘사람들 전체’를 의미하므로 ‘every’를 썼습니다. 이에 대하여 ②번에서는, 전화번호는 ‘개인마다 각각’ 가지고 있는 것이므로 ‘each’를 썼습니다.



2. 많은 수량  

(수) many, a great many, a good many

(량) much, a great deal of, a good deal of

(수량) a lot of, lots of, plenty of


(1) many, much

'many, much'는 많은 수나 양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many 다음에는 복수형, much 다음에는 ‘셀 수 없는 말의 복수형’이 옵니다. 주의할 것은 'many, much'가, 부정문이나 의문문에서 주로 쓰인다는 것입니다.


① I don't have many friends. (부정문)

    (나는 친구가 많지 않다)

② Do you have much money? (의문문)

    (너 돈 많니?)


긍정을 나타내는 경우, 특히 구어에서는 ‘a lot of, lots of'를 씁니다.

③ He has a lot of girl friends.

    (그는 많은 친구들을 가지고 있다)

④ His father has lots of money.

    (그의 아버지는 가지고 있다/ 많은 돈을)


물론, ‘many, much’는 긍정문에도 사용됩니다. 특히 격식을 갖춘 상황이나 글이라면, ‘a lot of, lots of' 대신에 ’many, much'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2) (a great many, a good many) + 복수명사

(a great deal of, a good deal of) + 셀 수 없는 명사

 

'a great many, a good many'는 ‘셀 수 있는 명사의 복수형'과 함께 사용됩니다.

① A great(good) many people live on earth.

    (아주 많은 사람들이 산다/ 지구에)


‘a great deal of, a good deal of'는 ’셀 수 없는 명사의 단수형‘과 함께 쓰입니다. 이 들 표현 다음에는 셀 수 있는 말은 올 수 없습니다.

② I've done a great deal of thinking on the question.

    (나는 아주 많은 생각을 했다/ 그 문제에 대하여)


(3) a lot of, lots of, plenty of + 수량

'a lot of, lots of, plenty of' 다음에는, ‘셀 수 있는 명사의 복수형’, ‘셀 수 없는 명사’가 모두 쓰입니다.

① The bottle contains (a lot of / lots of / plenty of) things.

    (그 병은 담고 있다/ 많은 것들을)

② The bottle contains (a lot of, lots of, plenty of) water.

    (그 병은 담고 있다/ 많은 물을)



3. 일부나 소수량 

(some, any, (a) little, (a) few)


(1) some, any

'some, any'는 ‘약간’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셀 수 있는 말에는 some을, 셀 수 없는 말이는 any를 씁니다.


some은 주로 긍정문에서 씁니다.

① I need some help.

    (나는 필요하다/ 약간의 도움이)


긍정의 대답을 예상할 경우에는 의문문에도 some을 씁니다.

② Do you want some water?

    (물 좀 마실래?)


any는 주로 부정, 의문문에서 쓰입니다.

③ Do you need any help?

    (도움이 좀 필요하니?)

④ I don't eat any fish.

    (나는 생선은 조금도 못 먹어)


any가 긍정문에 쓰일 때는 ‘어떤 ~라도’의 뜻을 가집니다.

⑤ Any advice will do.

    (어떤 충고라도 좋아)



4. 선택, 부정 

 (either, neither, no)


(1) either

either는 ‘둘 중의 하나’를 나타내며, 반드시 단수명사와 함께 써야합니다.

ex) You can sit either side of me.  (sides x)

     (너는 앉아도 된다/ 어느 한 쪽에)


(2) neither, no

'neither, no'는 ‘부정’을 나타냅니다. no는 ‘전체’를, neither는 ‘둘’을 부정합니다. neither 다음에도 '단수 명사'를 써야 합니다. 그렇지만 'no' 다음에는 복수 명사가 올 수 도 있습니다.

① Neither method works.  (method x)

    (어느 방법도 안 된다) ) (두 개의 방법 중에서)

② No method works.  

   = No methods work. 

    (어느 방법도 안 된다) (세 개 이상의 방법 중에서)

 


그럼 이상으로 수량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규칙 복수형  (2) 2014.04.10
명사의 복수형  (0) 2014.04.09
전치 한정사, 후치 한정사  (1) 2014.04.04
비교급으로 최상급 표현하기  (1) 2014.04.03
원급으로 최상급 표현  (4) 2014.04.02

hard, difficult 구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hard, difficult를 보겠습니다.


난이도

★★★☆☆


공부할 내용입니다.


1. hard, difficult : 상호교환 (O)

2. hard, difficult : 상호교환 (X)


hard, difficult는 서로 바꾸어 쓸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차례로 살펴 봅시다. 



1. hard, difficult : 상호교환 (O)


'어려운, 힘든‘을 나타낼 때는 hard와 difficult를 서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hard, difficult'는 의미차이가 없습니다. 단지 hard는 비격식체, difficult는 격식체라는 것만 다릅니다. 다시 말하면,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hard'를,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difficult'를 주로 씁니다.


두 단어를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hard : 이해하기 힘든, 경제적으로 힘든

    hard는 ‘정신적으로 이해하기가 힘들거나, 경제적으로 힘든 상황’을 표현합니다.

 To answer the question was really hard.

    (그 질문에 답하는 것은 정말 어려웠다)

To say no to her is really hard.

    (그녀에게 '아니오'라고 하는 것은 정말 어렵다)

③ hard times (어려운 시기)  (hard = difficult)


hard가 들어간 문장은 '가주어(it)'로 시작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to 부정사’가 주어 자리에 있으면 웬지 ‘무거운’ 문장이 됩니다.


①-1. It is hard to answer the question.

      (그것은 어렵다/ 그 질문에 답을 찾기가)

②-1. It is hard to say no to her.

      (그것은 어렵다/ 그녀에게 '아니오'라고 하는 것은)


(2) difficult : 이해하기 어려운, 힘든(힘겨운)

    difficult 또한 ‘정신적으로 이해하기 힘들거나, 경제적으로 힘든 상황’을 표현합니다.

To answer the question was really difficult.

    (그 질문에 답하는 것은 정말 어려웠다)

To say no to her is really difficult.

    (그녀에게 '아니오'라고 하는 것은 정말 어렵다)

③ difficult times (어려운 시기)  (difficult = hard)


difficult가 들어간 문장에서도 ‘to 부정사 주어’보다는 ‘가주어(it)'로 시작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①-1. It is difficult to answer the question.

      (그것은 어렵다/ 그 질문에 답을 찾기가)

②-1. It is difficult to say no to her.

      (그것은 어렵다/ 그녀에게 '아니오'라고 하는 것은)


위 예문에서 보듯이, ‘hard, difficult'가 ‘어려운’일 때는 서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2. hard, difficult : 상호교환 (X)


hard difficult를 서로 바꾸어 쓸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1) 사람과 함께 쓸 때

    ‘difficult’가 사람과 함께 쓰일 때는, ‘까다로운, 까탈스러운’이라는 뜻을 갖습니다.

① The old man is difficult.

    (직역 : 그 노인은 어려운 사람이다)

    (의역 : 그 노인은 까탈스럽다)


‘hard'가 사람과 함께 쓰일 때는, ’냉혹한‘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② The old man is hard.

    (그 노인은 냉혹하다)

당연한 말이지만 ①,②번에서 'difficult, hard'는 서로 바꾸어 쓸 수 없습니다. 의미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2) 사물과 함께 쓸 때

    hard는 사물과 함께 쓰여서, ‘단단한’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① The concrete floor is very hard.

    (콘크리트 바닥은 매우 단단하다)


①번에서 hard는 ‘difficult'로 바꾸어 쓸 수 없습니다.

①-1. The concrete floor is very difficult. (x)



오늘 공부한 것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hard, difficult 상호교환 (O) : ‘어려운, 힘든’ 일 때는 바꾸어 쓸 수 있다.

■ hard, difficult 상호교환 (X) : '까다로운, 냉혹한, 단단한‘ 일 때는 바꾸어 쓸 수 없다.

 

그럼 이상으로 hard, difficul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단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ointment, promise 어떻게 다를까요?  (0) 2014.04.30
answer, reply 어떻게 다를까요?  (2) 2014.04.25
영어 필수어휘  (2) 2014.02.01
영어 접미사 정리  (4) 2014.01.31
ingenious, ingenuous  (2) 2014.01.30

전치 한정사, 후치 한정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전치한정사, 후치한정사’를 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입니다.


1. 한정사의 정의

2. 전치한정사

3. 후치한정사



1. 한정사의 정의


한정사는 명사 앞에서 그 명사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엄밀히 말하면 한정사 역시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한정사 ‘this’와 전업 형용사 ‘funny’를 비교해 봅시다.


(1) this book. (this, 한정사)

(2) funny books (funny, 형용사)


설명

(1)번에서 ‘this’는 ‘책(book)’의 특별한 속성을 설명하지는 않습니다. 그저 ‘여기 있는 책’을 가리킵니다. 이렇게 쓰인 this를 한정사라고 합니다. 그런데 (2)번에서 funny는 책의 속성을 나타내서, ‘재미있는’이라는 의미를 더해 줍니다. 형용사는 명사의 속성을 설명해 줍니다.

한정사라는 품사가 따로 존재하는 것은 아닙니다. this는 사물을 가리키는 대명사로도 쓰일 수 있습니다. 지시대명사 this가 (1)번과 같이 명사 앞에서 ‘그 명사를 가리킬 때’ 한정사라고 하는 것입니다.


영어의 한정사에는 다음 세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지시사 : this, that, these those, its

소유격 : my, your, his, her, our, its, their

수량사 : all, both, every, each, either, neither, any, no 등


보통 한정사들끼리는 연속해서 쓸 수 없습니다.

ex) this the book (x)



2. 전치 한정사, 후치 한정사


위에서 말한 것처럼 한정사들은 상호배타적입니다. 그렇지만 일부 한정사들은 다른 한정사들과 함께 쓰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다른 한정사 앞에 쓰이는 것을 ‘전치 한정사’, 뒤에 쓰이는 것을 ‘후치 한정사’라고 합니다.


(1) 전치 한정사

① 전치 한정사들

    전치 한정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all, both, half, twice, one-third, three-quarters, such, quite, what 등


② 활용

    전치 한정사들은 다음과 같이 활용 됩니다.

ex) all the boys, half an hour, twice the price, one-third the water. such a girl, what a surprise 등....


(2) 후치 한정사

다른 한정사 뒤에 쓰는 것들로서 주로 ‘수사나 수를 나타내는 것들’입니다.


① 후치 한정사들

   후치 한정사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one, two... first, second, few, little 등.


② 활용

    후치 한정사들은 다음과 같이 활용됩니다.

ex) my two friends, your first car, a few books, a little milk.




그럼 이상으로 전치 한정사, 후치 한정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사의 복수형  (0) 2014.04.09
수량사 (quantifiers)  (0) 2014.04.08
비교급으로 최상급 표현하기  (1) 2014.04.03
원급으로 최상급 표현  (4) 2014.04.02
무관사 용법 (1부)  (1) 2014.03.29

비교급으로 최상급 표현하기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비교급으로 최상급 표현'을 보겠습니다.



난이도

★★★★



공부할 내용입니다.


1. 비교급 than any one else

2. 비교급 than any other + 단수명사

3. 비교급 than all the other + 복수명사

4. 부정어 비교급 (than) ~


최상급을 반드시 ‘(e)st, most' 로만 표현하는 것은 아닙니다. 비교급을 이용해서도 최상급을 표현 할 수 있습니다.

 

비교급으로 최상급을 표현하는 것은 사실 ’논리‘입니다. 해석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는 것들이니 규칙으로 외울 필요까지는 없습니다. 



그럼 차례대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예문 ‘I love you.'를 이용해 최상급을 표현해 보겠습니다.



1. 비교급 than any one else  

(어떤 다른 사람보다 더 ~한)

 

예문을 봅시다.


(1) I love you more than any one else.

    (나는 당신을 더 사랑한다/ 어떤 다른 사람보다)

어떤 사람보다 더 사랑하니 ‘가장 사랑하는 것’입니다.

 

최상급으로 바꾸어 쓰면 다음과 같습니다.


(1-1) I love you most.

      (나는 당신을 가장 사랑한다)

 


2. 비교급 than any other + 단수명사

(어떤 다른 사람보다 더 ~한)


예문입니다.

(1) I love you more than any other person.

    (나는 너를 더 사랑한다/ 어떤 다른 사람보다)

어떤 다른 사람보다도 더 사랑하니 당연히 ‘가장 많이 사랑하는 것’입니다. 의미상 최상급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주의할 것이 있습니다. ‘any other’ 다음에는 (1)번과 같이, 주로 ‘단수’가 온다는 것입니다.


(1-1) I love you more than any other people. (x)(?)

(1-1)번과 같이, 'any other' 다음에는 복수를 잘 쓰지 않습니다. [‘any(어떤 ~라도)’가 가진 ‘개별적 의미’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3. 비교급 than all the other + 복수명사

(어떤 다른 사람들보다 더 ~한)


예문입니다.


(1) I love you more than all the other people.

    (나는 너를 더 사랑한다/ 모든 다른 사람들보다)

모든 다른 사람들보다 더 사랑하니 당연히 ‘가장 사랑하는 것’입니다. 최상급 표현입니다.


'all the other' 다음에는 복수를 써야 합니다. ‘all(모든)’이 복수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2번에 나왔던 ‘any other'와 잘 구별하기 바랍니다]


당연히 'all the other' 다음에 ‘단수’를 쓰면 안 됩니다.

(1-1) I love you more than all the other person. (x)



4. 부정어 비교급 than ~

(어떤 것도 더 ~하지 않다)


(1) 부정어 비교급 than

부정어와 비교급(than)을 이용하여 최상급을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예문을 봅시다.


① No other people love you more than I do.

    (어떤 다른 사람들도 너를 더 사랑하지 않는다/ 나보다)

역시 내용상 최상급을 표현합니다.


(1)번은 few를 사용하여 ‘거의 같은’ 뜻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①-1. Few people love you more than I do.

       (너를 더 사랑하는 사람들은 별로 없다/ 나보다)

①-1번은 최상급은 아니지만 ‘거의 최상급’입니다. few는 부정으로서 ‘없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2) 부정어 비교급

    than없이 ‘부정어와 비교급’ 만으로 최상급을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① I love you never more.

    (직역 : 나는 당신을 더 이상 많이는 사랑할 수 없다)

    (의미 1 : 더 이상 사랑할 수 없을 정도로 사랑한다)

    (의미 2 : 최고로 사랑한다)


② I can't agree more.

    (직역 : 나는 더 이상 많이 동의할 수 없다)

    (의역 1 : 더 이상 동의할 수 없을만큼 동의했다)

    (의역 2 : 완전히(최고로) 동의한다)


지금까지 보았듯이 비교급으로 최상급을 표현하는 것은 ‘문법’이라기 보다는 논리입니다. 굳이 외울 필요가 없습니다.



위에서 공부했던 예문들을 정리하겠습니다.


ex) I love you more than any one else.

    = I love you more than any other person.

    = I love you more than all the other people.

    = No other people love you more than I do.


ex) I love you never more.

ex) I can't agree more.

 

그럼 이상으로 비교급으로 최상급 표현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량사 (quantifiers)  (0) 2014.04.08
전치 한정사, 후치 한정사  (1) 2014.04.04
원급으로 최상급 표현  (4) 2014.04.02
무관사 용법 (1부)  (1) 2014.03.29
삽입절이란?  (4) 2014.03.28

원급으로 최상급 표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원급으로 최상급 표현’을 보겠습니다.


난이도 

★★★★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as 원급 as any other 단수명사

2. as 원급 as ever

3. as 원급 as S can ~

4. 부정어 as(so) 원급 as ~


영어에서 최상급은 '(e)st'나 ‘most'를 써서 합니다. 그렇지만 원급을 써서 최상급을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원급으로 최상급을 표현할 때는, 주로 ’as 원급 as'를 사용합니다.


‘as A as B’ 구문의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주 A한다, B만큼(처럼)‘



그럼 차례대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1. as 원급 as any other 단수명사


'as 원급 as'를 any other' 구문과 함께 쓴 것입니다.


예문을 보면서 설명하겠습니다.

 

ex) Today is as good as any other day.

     (직역 : 오늘은 아주 좋다/ 어떤 다른 날만큼이나)

     (의미1 : 오늘은 아주 좋다)

     (의미2 : 오늘은 가장 좋다?)


많은 책들은 위 예문을 최상급(의미 2) 취급합니다. 그런데 'as ~ as'구문의 해석을 볼 때, 최상급 보다는 강조(의미 1)가 더 맞다고 봅니다. 참고하길 바랍니다.



2. as 원급 as ever


'as 원급 as'를 ‘ever'와 함께 쓴 것입니다. 여기서 'as ever'는 ’여태처럼(지금까지처럼)‘이라는 뜻입니다.


ex) Today is as good as ever.

     (직역 : 오늘은 아주 좋다/ 여태까지처럼)

     (의미1 : 오늘은 아주 좋다)

     (의미2 : 오늘은 역대급으로 좋다?)


‘의미2’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최상급이라고들 합니다. 그렇지만 역시 '의미 1‘이 더 낫습니다.



3. as 원급 as S can ~

(= as 원급 as possible)


'as 원급 as'를 ‘S can' 절과 함께 쓴 것입니다. 의미상 분명한 최상급입니다.


ex) Today is as good as it can be.

   = (Today is as good as it is possible.)

      (오늘은 아주 좋다/ 가능한 만큼)

      (의미 : 오늘이 가장 좋다)


‘가능한 한 좋은 것’이므로 ‘가장 좋다’는 의미가 됩니다. 그러므로 명백한 최상급이 됩니다.



4. 부정어 as(so) 원급 as ~


부정어(no, not 등)를 ‘as(so) ~ as' 구문과 함께 쓴 것입니다. 역시 의미상으로 최상급을 나타냅니다.


ex) No other day is as good as today.

  = No other day is so good as today.

     (어떤 날도 그렇게 좋지는 않다/ 오늘만큼)

      (의미: 오늘이 최고다)


해석에서 보듯이 ‘부정어 + (as 원급 as)' 구문은 최상급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위에서 보았듯이 'as 원급 as'이 무조건 최상급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그 의미는 문맥을 통해서 결정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as 원급 as'를 이용한 최상급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as A as B’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길 바랍니다)

[송성태 영문법/핵심정리 2부] - as 원급 as 용법정리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치 한정사, 후치 한정사  (1) 2014.04.04
비교급으로 최상급 표현하기  (1) 2014.04.03
무관사 용법 (1부)  (1) 2014.03.29
삽입절이란?  (4) 2014.03.28
the last thing I want 의미  (3) 2014.03.25

 least, not the least,  not in the least 의미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least 관련 표현을 보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least

2. not the least

3. not in the least


위 표현들은 자주 보는 것들이므로 잘 정리해 두어야 합니다. 

항목별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1. least


least : (한정사, 부사) 가장 적은

least는 little의 최상급으로서 크기·양·정도 등이 ‘가장 적은’ 것을 나타냅니다. 최상급이므로 정관사 ‘the'와 함께 사용합니다.


(1) I don't have the least idea what to do.

    (나는 전혀 알지 못한다/ 무엇을 할 지)

(2) He gave the least contribution to the project.

    (직역: 그는 가장 적은 공헌을 했다/ 그 계획에)

    (의역: 그는 별 공헌을 하지 못했다/ 그 계획에)

(3) It's the least we can do to help you.

    (이것이 최소한이다/ 우리가 너를 돕기 위해 할 수 있는)


예문에서 보듯이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최상급 least가 의미 그대로 쓰이기 때문입니다.




2. not the least


not the least

(1) 강세에 따라 의미가 달라짐

not the least는 보통 명사나, 형용사 앞에서 의미를 강조합니다. 주의할 것은, 같은 문장이라도 강세의 위치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① not' the least : (not을 강조) 적지않은                        

  ex) He showed [not]′ the least interest in my idea.

      (그는 상당한 ‘적지 않은’ 흥미를 보여주었다/ 내 아이디어에)

      (부정어를 강조하므로 ‘적지 않은’으로 해석합니다)


 not the least : (least를 강조) 전혀 ~않다

 He showed not the [least]′ interest in my idea.

    (그는 ‘조금도’ 흥미를 보여주지 않았다/ 내 아이디어에)

    (least를 강조해서 ‘전혀 흥미가 없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①번과 같이 ‘not'을 강조하는 것보다는 ②번과 같이 ’least'를 강조하는 것이 더 일반적입니다.


(2) ‘조금도 ~않다’

    'not the least'는 보통 'least'를 강조하여 ‘조금도 ~않다’라는 표현으로 쓰입니다.

① No, I'm not the least surprised.

    (아냐, 나는 조금도 놀라지 않았어)

② The rumor was not the least true.

    (그 소문은 조금도 사실이 아냐)



3. not in the least


not in the least : (부사) 전혀 ~않다, 조금도 ~않다

                      (부정적인 뉘앙스)

‘not in the least'는 부정적인 의미로서, ’전혀 ~않다‘라는 뜻입니다. 'not in the least'는 문장에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1) Really mom, I'm not in the least sleepy.

    (정말이에요 엄마, 저 조금도 안 졸려요)

(2) I'm not in the least interest in you.

    (난 너에 대해 조금도 관심이 없어)

(3) A: Do you mind opening the window?

        (창문 열면 신경 쓰이시겠어요?)

    B: No, not in the least.

        (아니요, 전혀요)



오늘 공부한 least 관련 표현을 간단히 정리해 봅시다.


1. least : 가장 적은

2. not the least : 조금도, 상당한

3. not in the least : 전혀 ~ 않다.


그럼 이상으로 least 관련 표현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last but not least, not least of which 관용표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least 관용 어구를 보겠습니다.

 

난이도

★★★★


공부할 내용입니다.

1. last but not least

2. not least of which A


최상급 'least(가장 적은)‘를 포함하고 있는 이 표현들은 자주 사용됩니다. 그렇지만 영어권 네이티브들도 어려워 하는 것들입니다. 어려운 표현들이라, 의미를 벗어나지 않은 선에서 의역을 했습니다.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차례로 살펴 보겠습니다.



1. last but not (the) least 


last but not (the) least : 아주 중요한

                               (=last but by no means least)


(1) 의미

'last but not least'는 연극에서 온 말입니다. 무대에서 배우를 소개할 때는 주연배우가 맨 나중에 등장합니다. 주인공은 마지막에 등장하는 것이죠. 당연히, 마지막에 등장한 주인공이 ‘아주, 또는 가장 중요한’ 사람입니다. 그래서 이 표현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게 되었습니다.


last but not least : (직역) 마지막이지만 결코 가장 적게 중요한 것은 아닌

                        (의미 1) 마찬 가지로 중요한

                        (의미 2) 아주 중요한

                        (의미 2) 가장 중요한


흥미롭게도 영어권 네이티브들은 ‘의미 1, 2’로, 비영어권 화자들은 ‘의미 3’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아주 중요한’이라고 쓰는 편입니다)


정관사(the)를 사용해서 ’last but not the least'로 쓰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주로 정관사 없이 사용됩니다.


(2) 예문

‘last but not least'는 주로 연설에서 사용됩니다. 즉, 약간 ’과장‘하는 뉘앙스를 가집니다. 일상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약간 ’무거운‘ 말입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① Joe, you are last but not least.

    (죠, 너가 마지막이지만, 마찬가지로 중요해)


Last but not least, I'm love you, Sue!

    (아주 중요한 것인데, 난 너를 사랑해, 수!)


Last but not least, It's the matter of money, Jack.

    (가장 중요한 것은, 돈의 문제라네, 잭)


예문에서 보는 것처럼 'last but not least'는 독립적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2. not the least of which A


‘not the least of which A' 역시 상당히 어려운 구문이므로 잘 보셔야 합니다.


(1) 의미

'not the least of which'는 ‘not the least'와 ’관계대명사(of which)가 결합된 표현입니다. 정관사 없이(not least of which)도 쓰이지만, 보통은 정관사와 함께 사용됩니다.


'not the least of which A‘는 ’A역시 다른 것들만큼 중요하다‘라는 뜻입니다. 의미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not the least of which A : (직역) 결코 A가 가장 적게 중요한 것은 아니다.

                                 (의미1) A도 아주 중요하다

                                 (의미2) A가 가장 중요하다


영어권에서는 ‘의미 1’로 쓰입니다. 그러나 영한사전에는 ‘의미 2’로도 나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아주 중요한’ 이라고 쓰고 있습니다)


(2) 예문

① There are many important things is life, not the least of which is health.

    (많은 중요한 것들이 인생에는 있다/ 그 중에서 건강도 다른 것 못지않게 중요하다)

     ('of which'는 'many important things를 받는 관계대명사입니다. 해석은 '그 중에서‘입니다)


② There are several reasons to learn English, not the least of which is to get a job.

    (몇 가지 영어를 공부하는 이유가 있다, 그 중에서 직업을 구하는 것도 중요한 이유다)

     ('of which'는 ‘several reasons'를 받는 관계대명사입니다. 해석은 역시 ’그 중에서‘가 됩니다)



지금까지 공부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last but not least : 아주 중요한

2. not least of which A: A도 아주 중요하다


그럼 이상으로 least 관용표현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7] 무관사 용법 (1부)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무관사를 공부하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명사 앞에 관사가 생략된 무관사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내용이 많기 때문에 1,2부로 나누어 설명하겠습니다.

 

 

 1. 무관사의 의미

 

관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역설적으로 관사가 없는 경우입니다. 관사가 없이 쓰이지만 무관사 (명사 앞에 관사가 없는 경우를, 이 책에서는 무관사로 칭합니다)는 명백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I drink milk every morning.   (셀 수 없는 명사, 무관사)

(해석: 나는 우유를 마신다/ 아침마다)

(속뜻: 나는 약간의 우유를 마신다/ 아침마다)

 

(2) Books are my friend.  (복수형, 무관사)

   (해석 : 책들은 내 친구다)

   (속뜻 : 모든 책들은 내 친구다)

 

(1)번에서 무관사로 쓰인 ‘milk’우유 중의 일부를 말합니다. 이는 부정관사에서 ‘~중의 하나와 대응되는 의미입니다. (2)번에서 ‘books’는 특정한 책이 아니라 전체를 의미합니다. 역시 부정관사의 집단 전체와 대응됩니다.

 

위에서 보듯이 무관사는 관사와 대응되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집단 중 일부집단 전체를 나타냅니다.

 

 

2. 무관사를 쓰는 경우

 

일반적으로 무관사는 셀 수 없는 명사 앞’, ‘복수 명사 앞그리고 셀 수 있는 명사앞에 옵니다. 각 경우 별로 살펴 보겠습니다.

 

(1) 셀 수 없는 명사 앞

   ex) Fire burned everything in the mountain.

       (불은 모든 것을 태웠다/ 산에서)

Fire는 셀 수 없는 명사이므로 무관사입니다.

 

(2) 복수 명사 앞

   ex) Firefighters tried to save animals from the fire.

      (소방관들이 나무들을 구하려고 했다/ 그 화재로부터)

복수 명사이므로 무관사로 쓰였습니다.

 

(3) 셀 수 있는 명사 앞

   ex) Water was carried by helicopter to the burning forest.

      (물이 비행기에 의해서 운반되었다/ 불타는 지역에)

    

 

특히 (3)번에 주의해야 합니다. ‘helicopter’셀 수 있는 명사인데도 불구하고 무관사로 쓰였습니다. 관사에서도 가장 중요하고도 어려운 용법 중의 하나이므로 별도로 설명하겠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무관사 용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교급으로 최상급 표현하기  (1) 2014.04.03
원급으로 최상급 표현  (4) 2014.04.02
삽입절이란?  (4) 2014.03.28
the last thing I want 의미  (3) 2014.03.25
at most, at least 뜻  (1) 2014.03.24

삽입절이란?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관계대명사의 삽입절을 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삽입절이란?

2. 삽입절에서 주의할 사항

 

★★★★★

 

일반적으로 말(회화)의 문장 구조는 글보다 복잡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오늘 공부할 삽입절은 복잡한 구조이지만, 글보다는 말에서 더 자주 쓰입니다. 어려운 부분이므로 주의해서 익혀두길 바랍니다.

항목별로 설명하겠습니다.



1. 삽입절이란?


삽입절이란 러시아 인형 마트료시카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인형 속에 인형이 들어있는 것처럼 문장 속에 문장이 들어 있는 것입니다. 간단한 삽입절들을 보겠습니다.


예문을 봅시다.

 

■ 기본문장

(1) There are so many things that I don know.

    (아주 많은 것들이 있다/ 내가 알지 못하는)


(1)번에 [I think]라는 삽입절을 추가해서 다음과 같은 문장들을 만들 수 있습니다.


[I think] 삽입절

(1-1) [I think], there are so many things that I don't know.

       [내 생각에], 많은 것들이 있다/ 내가 알지 못하는.

(1-2) There are so many things that [I think] I don't know.

       (아주 많은 것들이 있다 /[내 생각에] 내가 알지 못하는)

(1-3) There are so many things that I don't know, [I think].

       (아주 많은 것들이 있다/ 내가 알지 못하는, [내 생각에])


위와 같은 삽입절은 말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복잡해 보이지만 이해하는데 별 어려움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 중에서 (1-2)번과 같이 관계대명사절과 삽입절이 함께 쓰인 것을 ‘관계대명사의 삽입절’이라고 합니다.



2. 관계대명사 삽입절 예문


관계대명사 삽입절 예문을 몇 개 더 보겠습니다.

(2) I met the lady who [I'm sure you like her] is gorgeous.

    (나는 여자를 만났어 [난 너가 그녀를 사랑할 걸로 확신하는데] 끝내줬어)

(3) You did something which [I think] you shouldn't have done.

    (너가 한 짓은 [내 생각에] 해서는 안 되는 것이었어)


관계대명사 삽입절은 말에서 주로 쓰이고글에는 잘 안 쓰입니다. 말로 할 때는 자연스럽지만 글로 쓰면 어색하고 의미에 혼동을 초래하기 때문입니다. 



3. 삽입절에서 주의할 사항


관계대명사의 삽입절에서는 관계대명사의 격과, 동사의 수·인칭에 주의해야 합니다.


(1) 삽입절은 관계대명사의 격과 무관하다.

    ① She is the one who [I think] will win the race. (whom 안 됨)

        (그녀는 [내 생각에] 경주에 이긴다)

①번에서는 주격 관계대명사 ‘who'를 썼습니다. [I think]는 삽입절로서 선행사와 상관없기 때문입니다. 이 문장에서 관계대명사는, [I think]를 빼 버리면, 'will'의 주어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주격’who'를 써야 합니다. [I think]의 목적어라 생각하고 목적격 ‘whom'을 쓰면 안 됩니다.


삽입절은 일종의 부사절이므로 생략해도 의미의 변화가 없습니다.


    'I think'가 삽입절로 쓰이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② She is the lady whom I think. [think의 목적어 whom]

    (그녀는 여자이다/ 내가 생각하는)

②번에서 ‘I think’는 삽입절이 아닙니다. ‘I think'를 생략하면 말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관계대명사는 ’think'라는 동사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을 썼습니다.


(2) 관계대명사 삽입절에서 동사의 수·인칭

   ※ 다음에서 밑줄 친 부분을 바르게 고치시오.

ex) I met the people who [I'm sure] am nice. (am → are)

    (나는 사람들을 만났다 [내가 확신하기에] 괜찮은)


계대명사 문장에서 수나 인칭은 삽입절과 상관없이 결정됩니다. 위 문장에서 밑줄 친 'am'의 주어는 삽입절의 주어 ‘I'가 아니라 선행사 ’the people'입니다. 복수이므로 ‘am'을 ’are'로 고쳐야 합니다.



관계대명사 삽입절에서 중요한 사항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삽입절은 주로 회화에서 사용된다.

2. 삽입절은 관계대명사의 격과 수·인칭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그럼 이상으로 관계대명사의 삽입절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급으로 최상급 표현  (4) 2014.04.02
무관사 용법 (1부)  (1) 2014.03.29
the last thing I want 의미  (3) 2014.03.25
at most, at least 뜻  (1) 2014.03.24
round, around 의미정리  (0) 2014.03.22

for the most part, make the most of 활용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most’ 관용 표현을 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입니다.

1. for the most part

2. make the most of


'for the most part', ‘make the most of'는 ’최상급 most'가 들어간 관용 표현들입니다. 회화에는 자주 쓰이지 않지만, 독해에 자주 나오기 때문에 잘 알아 두길 바랍니다.



각 표현별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for the most part 


for the most part : (부사) 대개, 주로, 보통

                         (=generally, usually, in general, mostly, etc)


'for the most part'는 ‘대개, 주로’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부사입니다.


(1) For the most part, he is very kind.

    (대개, 그는 친절하다)

(1-1) For most part, he is very kind. (x)

(1-2) Generally he is very kind.

       = Usually he is very kind.

'for the most part'에서는 'most' 앞에 정관사 ‘the'를 써야합니다. ’most'가 최상급이기 때문입니다. (1-1)과 같은 표현은 쓰이지 않습니다.

회화에서는 보통 'for the most part' 대신에 (1-2)와 같이 'generally, usually'를 씁니다.


예문을 더 보겠습니다.

(2) He ,for the most part, talks about money.

    (그는, 주로, 돈 얘기를 한다)

(3) Mr. Song's class is boring, for the most part.

    (송샘의 수업은 지루하다, 대개는)

'for the most part'는 부사(구)이기 때문에 문장에서 자유롭게 위치할 수 있습니다. 'make the best of~'도 같은 뜻이지만, ‘make the most of'가 더 많이 사용됩니다.



2. make the most of


make the most of : (동사) ~을 최대한 이용(활용)하다.

                         (= make the best of)


(1) 동사구 'make the most of'

    'make the most of'는 동사이므로 다음과 같은 활용이 가능합니다.

① 목적어를 취한다.

    ex) Make the most of your time. (your time 목적어)

        (시간을 잘 활용해라)

② ~ing를 붙일 수 있다.

    a. Making the most of your time is your life goal. (~ing 동명사)

       (당신의 시간을 활용하는 것이 당신의 인생 목표이다)

    b. Making the most of his time, he could achieve a great success. (~ing 분사)

       (그의 시간을 잘 활용하면서, 그는 성취할 수 있었다/ 커다란 성공을)

③ ~ed 형태로 사용됩니다.

    ex) Generally his time is made the most of.

        (보통, 그의 시간은 잘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make the most of' 형태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2) 예문

    'make the most of'가 들어간 예문을 몇 개 더 보겠습니다.

① Make the most of yourself.

    (자신을 최대한 활용해라)

    (가능성을 실현해라)

② Make the most of the today because nobody knows tomorrow.

    (오늘을 최대한 활용해라/ 내일은 누구도 모른다)_

③ We're in vacation so let's make the most of it.

    (우리는 휴가중이다/ 최대한 활용해 보자)




그럼 이상으로 'for the most part, make the most of‘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the last thing I want 의미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the last thing'이라는 표현을 보겠습니다.



'the last thing‘은 최상급으로서 ’마지막 일‘을 나타냅니다. 또한 과장법으로서 ’어떤 것을 결코 ~않는다‘는 의미로도 쓰입니다.


공부할 내용입니다.

1. the last thing : 최상급

2. the last thing : 과장법

3. the last man


항목별로 살펴보겠습니다.



1. the last thing : (최상급) 마지막 일


‘the last’가 최상급이기 때문에 ‘마지막’을 나타냅니다.


(1) What was the last thing you bought?

    (무엇인 마지막 물건이니/ 너가 구입했던?)

(2) You are the last thing I''ll think about.

    (너가 마지막 존재야/ 내가 생각할)

(3) The last thing I said was 'Don't worry.'

    (내가 했던 마지막 말은 ‘걱정마’였다)


'the last'는 대부분 ‘마지막’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the last question (마지막 질문)

  the last time (마지막 시간)

  the last dance (마지막 춤)

  the last love (마지막 사랑)



2. the last thing : 과장법


'the last thing'은 과장법으로서, ‘결코 하지 않을(never)'라는 뜻을 가집니다. 


예문을 보면서 익혀 보겠습니다.


(1) the last thing : 결코 ~하지 않을

    (가장 ~하기 싫은)


'the last thing'은 ‘결코 ~하지 않을’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① The last thing I want is to hurt you.

    (내가 결코 하고 싶지 않은 일은/ 당신에게 상처를 주는 것이다)


위 문장의 논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리는 보통 하기 싫은 일은 뒤로 미룹니다. 이 경우 가장 마지막으로 미룬 일일수록 가장 하기 싫은 일입니다. 그러므로 'the last thing'은 ‘가장 하기 싫은 일’에서 ‘결코 ~하지 않을’이라는 뜻을 가지게 됩니다.


예문을 조금 더 보겠습니다.

② I'm sorry. You are the last thing on my mind.

    (직역: 미안해. 너는 마지막 존재야/ 내 마음 속에서)

    (의역: 미안해. 너 따위는 생각도 안 해)


(2) the last thing : 과장법

    'the last thing'은 과장법이기 때문에 사실 그대로를 나타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ex) A: What's the menu?

    B: The roast chicken.

    A: What? It's the last thing I want to eat!

    

    A: 메뉴가 뭐야?

    B: 구운 닭인데.

    A: 뭐, 난 정말 싫단 말야.


위 대화에서, A가 평소에 ‘roast chicken'를 정말로 싫어한다고 보기는 힘듭니다. 그저 ’지금은 싫다‘는 것을 과장한 것으로 봐야 합니다.



3. the last man : 결코 하지 않을 남자(?)


예문을 먼저 보겠습니다.


ex) He is the last man to tell a lie.

 = He is above telling a lie.

    (그는 결코 거짓말하지 않을 남자다)


많은 문법책에 이와 같은 예문이 나와 있습니다. 그렇지만 검색해 보면, 영어권 문서에서는 이런 표현을 찾기 힘듭니다. 아시아(한국, 일본)권 문법책에만 자주 등장하는 표현입니다. 언어적 유통기간(?) 끝난 표현일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더 낫습니다. 'above telling a lie'도 마찬가지입니다. 영어권 네이티브들은 이 표현을 이해하지 못할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the last thing'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관사 용법 (1부)  (1) 2014.03.29
삽입절이란?  (4) 2014.03.28
at most, at least 뜻  (1) 2014.03.24
round, around 의미정리  (0) 2014.03.22
much more, much less, still more, still less  (7) 2014.03.19

at most, at least 뜻

안녕하세요, 송샘 입니다.

오늘은 'at most, at least'를 공부하겠습니다.



이 최상급 구문들은 자주 사용됩니다. 정확한 의미를 익혀두길 바랍니다.



1. at most


at most : 기껏, 많아 봐야, 최대한으로 잡아서

            (=at the most, at the very most, no more than)

'at most'는 ‘많아 봤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부정적까지는 아니더라도 ‘그렇게 많지는 않다’라는 뉘앙스를 줍니다.


(1) John is very stingy. He spends at most $10 on the lunch.

   = John is very stingy. He spends no more than $10 on the lunch)

     (존은 아주 짠돌이다. 그는 기껏 10달러를 쓴다/ 점심에)


    ''at most'는 'at the most', 'at the very most' 등으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1-1) John spends at the most $10 on the lunch.

(1-2) John spends at the very most $10 on the lunch.


그렇지만 ‘at the most', 'at the very most'는 자주 쓰이는 표현들이 아닙니다. ’at most'가 주로 쓰입니다.


예문을 조금 더 보겠습니다.

(2) You have at most two minutes to solve each question.

    (너는 기껏 2분을 가지고 있다/ 각 문제를 푸는데)

(3) He is at most a child.

   = He is only a child.

     (그는 기껏해야 어린 아이다)

 


2. at least


at least : 적어도, 최소한

            (at the least, at the very least, not less than)

'at least'는 ‘at most'와 대조적인 의미를 가지며, ’아무리 적게 잡아도‘라는 뜻입니다. 보통 ’많다‘는 뉘앙스를 줍니다.


(1) The latest smart phone cost you at least $1,000.

  = The latest smart phone cost you not less than $1,000.

    (최신 스마트폰은 적어도 100만원은 한다)


‘at least'는 ’at the least', 'at the very least' 등으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1-1) The latest smart phone cost you at the least $1,000.

(1-2) The latest smart phone cost you at the very least $1,000.

 

역시 'at least'가 주로 쓰입니다. ‘at the least'는 잘 쓰이지 않는 표현입니다. 'at the very least'는 자주 사용되는 편입니다.


예문을 몇 개 더 보겠습니다.

(2) At least 20 people attended the meeting.

    (적어도 20명의 사람들이 참석했다/ 그 회의에)

(3) You should lose at least 5kg to wear the dress.

    (너는 적어도 5kg은 빼야한다/ 그 드레스를 입으려면)

 


그럼 이상으로 ‘at most, at leas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삽입절이란?  (4) 2014.03.28
the last thing I want 의미  (3) 2014.03.25
round, around 의미정리  (0) 2014.03.22
much more, much less, still more, still less  (7) 2014.03.19
정관사 the 개념정리  (1) 2014.03.18

get the better of, get the best of

안녕하세요, 송샘 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get the better of, get the best of'를 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의미

2. 활용


'get the better of'는 관용어구로서, 주로 사람과 함께 사용됩니다. 여기서 better는 명사로서 ‘더 좋은 것(superiority)'이라는 뜻을 갖습니다. ’더 좋은 것을 얻다‘에서 ’능가하다‘라는 의미가 파생되었습니다.

 

항목별로 살펴보겠습니다.



1. 의미


(1) 경쟁에서 누군가를 이기다, 능가하다

    (=defeat, overcome, beat, win over a victory)

'get the better of 사람‘은 ’사람을 이기다‘는 뜻입니다. 특별히 어려운 의미는 없으므로 예문만 보기로 하겠습니다.


① He got the better of me in tennis.

    (=He defeated me in tennis)

    (그가 나를 이겼다/ 테니스에서)


② We fought hard, but the opponent got the better of us.

    (우리는 열심히 싸웠다, 그러나 상대가 우리를 제압했다)

 

(2)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다.

감정이 ‘get the better of 사람’의 주어로 올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감정이 사람을 이기다’ 즉,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다’라는 뜻이 됩니다.


① Anger got the better of me. Finally I blew it up.

    (화가 나를 이겼다. 마침내 나는 폭발했다)

② Curiosity got the better of her ,and she opened the box.

    (호기심이 그녀를 이겼다, 그래서 그녀는 상자를 열었다)




2. get the best of


'get the better of'의 동의어로는 다음과 같은 말들이 있습니다.


[gain the better of, have the better of, get the best of]


'gain the better of, have the better of'는 잘 안 쓰이는 표현들 입니다. 그러므로 ‘get the best of'만 보겠습니다.


get the best of : (완벽하게) 이기다, 제압하다

'get the best of'는 ‘get the better of'와 비슷한 의미를 지닙니다. 하지만 최상급 ’best'가 있으므로 ‘완벽하게, 흠잡을 데 없이’라는 뜻을 가지게 됩니다.


(1) Harvard got the best of Yale in football.

    (하버드는 예일을 완벽하게 제압했다/ 풋볼에서)


(2) Curiosity got the best of me and I opened the spam mail.

    (호기심에 완전히 굴복해서 나는 열었다/ 스팸메일을)




3. 사물도 올 수 있음.


'get the better of, get the best of' 다음에는 사물도 올 수 있습니다. 의미는 ‘~에서 이기다’가 됩니다.


(1) I got the better of the exam.

    (직역: 나는 시험을 이겼다)

    (속뜻: 시험을 통과했다)


(2) She always gets the best of an argument.

    (직역: 그녀는 논쟁을 제압한다)

    (속뜻: 그녀는 항상 논쟁에서 이긴다)

 


그럼 이상으로 ‘get the better of, get the best of’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round, around 의미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round, around, about를 공부하겠습니다.



1. round VS around


전치사나 부사로 사용될 때 round, around는 같은 뜻을 가집니다.


(1) 움직임을 뜻하는 round, around


   움직임을 뜻할 때 Round, around는 다음 두 가지 의미를 갖습니다.

① 축을 중심으로 도는 원운동

a. The earth moves round the sun. (round = around)

   (지구는 돈다/ 태양 주위를)

b. She wears a scarf round her head. (round = around)

   (그녀는 스카프를 하고 있다/ 머리 주위로)


‘~의 주위로’라는 원 운동의 의미가 있을 때, round와 around는 상호 교환할 수 있습니다.


② 여기저기를 불특정하게 돌아다니는 것

a. The children are playing round the town. (round = around)

   (아이들은 놀고 있었다/ 마을 여기저기서)

b. Can I just look around? (around = round)

   (그냥 둘러볼 수 있을까요?)

‘불특정하게 여기 저기’를 나타낼 때도 round, around는 상호 교환됩니다.

①,②에서 보았듯이, 움직임을 나타낼 때 round와 around는 같은 뜻을 갖습니다.


(2) 존재를 나타낼 때

    around는 존재나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① I opened the door but nobody was around. (존재의 around)

    (나는 문을 열었다/ 그러나 아무도 없었다)

② Opportunities were around those days. (존재의 around)

   (기회들이 있었다/ 그 당시에는)


around가 존재를 나타낼 때는 round을 대신 쓸 수 없습니다.



2. around VS about


around와 about는 ‘대략, 약’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1) She arrived around 4 P.M. (around = about)

    (그녀는 도착했다/ 대략 네 시에)

(2) There were around 40 people at the party. (around = about)

    (대략 40명 정도가 있었다/ 파티에는)


around가 ‘대략, 약’을 나타낼 경우에는 about와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대략’을 나타낼 때는, about보다 around를 더 많이 사용합니다.


 


그럼 이상으로 round, around, abou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well off, better off, badly off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well off, better off를 보겠습니다.


난이도

★★★☆☆


공부할 내용입니다.

1. well off

2. better off


well off, better off는 형편이나 사정이 좋은 것을 나타냅니다. 자주 쓰이는 표현이기 때문에 잘 정리해 두길 바랍니다. 


차례대로 살펴보겠습니다.



1. well off


well off는 주로 ‘재정상태’를 표현하는데 사용됩니다. 'off'라는 제거·박탈 전치사 때문에 부정적인 의미라고 생각하곤 합니다. 그러나 well-off는 긍정적인 뉘앙스로, 부유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1) well off VS rich

well off는 ‘먹고 사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로 부유한 것’입니다. 이에 대하여 rich는 '모든 사람이 다 알정도로 부자’입니다.


well off : 부유한, 먹고사는데 지장 없는

① I may not be rich, but I'm well off

    (나는 부자는 아닐지 모르지만, 먹고사는데 지장은 없다)

② He is well off. He owns his house and drives nice cars.

    (그는 잘 살아. 집도 있고 차도 괜찮아)


badly-off는 well-off와 반대 의미를 가집니다.


badly off : (경제적으로) 넉넉지 못한, 상황이 나쁜

③ They lost their job. So they are badly off.

    (그들은 일자리를 잃었다. 그래서 그들은 상황이 안 좋다)


rich : 부자인

① She is rich. She earns over a million dollars.

    (그녀는 부자다. 연봉이 백만 달러가 넘어)

② He is from a rich family. His dad is a chaebol.

    (그는 돈 많은 집안 출신이야. 아빠가 재벌이거든)


(2) well off for : (영국식) 충분한, 많은

    (=enough)

'well off for'는 영국식 표현으로서 ‘~이 충분한’이라는 뜻입니다. 그렇게 많이 쓰이는 표현은 아니니 참고로 알아 두길 바랍니다.

① Man U is well off for good players.

    (맨체스터에는 많다/ 좋은 선수들이)

② Economy is bad. So jobs are not well off for.

    (경제가 안 좋다. 그래서 일자리들이 많지 않다)



2. better off : 형편이 더 나은, 더 부유한

(best off)


better off는 well-off의 비교급입니다. 많이 쓰이는 표현으로, 두 가지 상태를 비교하는데 사용합니다.

 

(1) They are well off.

    (그들은 잘 산다)

(2) They are better off than us.

   (그들은 더 잘 산다/ 우리보다)

(1)번은 단순하게 상태를 묘사하고 있기 때문에 well-off를 썼습니다. 그렇지만 (2)번은 그들과 우리의 상황을 비교하기 때문에 better-off를 썼습니다.

 

위에서 보듯이 better off는 상황을 비교할 때 사용합니다.


(3) We are better off because our kids finished their college.

    (우리는 나아졌다/ 애들이 대학을 마쳤기 때문에)

(4) I'm better off in my new job. (better salary, better working condition, etc)

    (나는 더 나아졌다/ 내 새 직장에서)

 

best-off는 well-off의 최상급입니다.

(5) You are best off to marry her.

    (너한테는 최고로 좋아/ 그녀와 결혼하는 것이)


 


그럼 이상으로 ‘well off, better off'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know better than to do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know better' 구문을 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know better than to do

2. know better than that

3. know better


'know better‘ 구문은 위와 같이 3가지로 형태로 사용됩니다. 의미는 ’잘 알고 있다, ~할 정도로 어리석지는 않다‘입니다. 차례로 살펴 보겠습니다.



1. know better than to do

(~할 만큼 어리석지는 않다, 철이 들다)


이 구문에서 주의할 것은 다음 두 가지입니다.


(1) 'know better than to‘ + 동사원형

'know better than to‘ 구문에서 'to'는 'to 부정사입니다’ 그러므로 to 다음에는 ‘동사원형’이 와야 합니다.


ex) I know better than to smoke.

 → I know better than to smoking. (x)

    (나는 어리석지 않다/ 담배 피울 정도로)


예문에서 보듯이, to 다음에 (동)명사는 올 수 없습니다. to는 전치사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2) 활용

'know better than to do' 구문은 직역하면 ‘잘 알고 있다’가 됩니다. 그렇지만 실제 뉘앙스는 ‘~할 정도로 어리석지는 않다’입니다. ‘어리석지 않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① She knows better than to believe a playboy.

    (그녀는 어리석지 않다/ 바람둥이를 믿을 정도로)


①번은 같은 뉘앙스를 지닌 다양한 표현으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①-1. She definitely doesn't believe a playboy.

       (그녀는 결코 믿지 않는다/ 바람둥이를)

①-2. She is not so foolish to believe a playboy.

       (그녀는 그렇게 어리석지 않다/ 바람둥이를 믿을 정도로)

①-3. She is not such a fool to believe a playboy.

       (그녀는 그렇게 바보가 아니다/ 바람둥이를 믿을 정도로)

①-4. She is wise enough not to believe a playboy.

       (그녀는 충분히 현명하다/ 바람둥이를 믿지 않을만큼)


같은 의미의 표현을 모두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그저 이런 뉘앙스라는 정도로 알고 있으면 됩니다.



2. know better than that(this).

=know better

(그렇게 어리석지는 않다)


'know better than that(this)'은 대화에서 많이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여기서 ‘that(this)'은 대명사입니다.


다음 상황을 봅시다.


(1) 엄마와 아들

    (아들 Jack이 방을 카오스로 만들어 버렸습니다. 엄마가 버럭 합니다)

Angry mom : Jack. You know better than THAT. Clean up the mess, now!

                 (잭. 너 그 정도로 멍청하지 않잖아. 당장 치워!)

여기서 that은 ‘방을 어지른 것’을 가리키는 대명사입니다.


(2) 남편과 아내

    (남편의 화려한 카드 청구서에 아내가 열 받았습니다)

Angry wife : Dear. You know better than this. Cut the plastic, now!

this는 화려한 카드 사용을 가리킵니다.

                (자기야, 당신 이 정도로 멍청하지 않잖아. 당장 카드 잘라!)


많이 쓰이는 표현이므로 잘 익혀 두길 바랍니다.




3. know better

(철들다)


‘know better than that(this)’은 'know better'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ex) 바람둥이와 나

    (바람둥이에게 실연당해 좌절하고 있습니다)

Frustrated Me: I deserve this. I must know better.

                   (난 당해도 싸. 더 철들어야 해)



그럼 이상으로 'know bette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숙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t the better of, get the best of  (0) 2014.03.23
well off, better off, badly off  (0) 2014.03.21
영어 구문 정리 (31-80)  (4) 2013.11.29
영어 구문  (4) 2013.08.11
[all but] [~을 제외하고]  (1) 2013.08.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