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이나 결과를 나타내는 부사절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목적이나 결과를 나타내는 부사절을 보겠습니다.



(1) 목적절


목적절을 이끄는 표현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that, so that, in order that, etc.


①  He died that we might live.

     (그는 죽었다/ 우리를 살리려고)

② I will take care nobody will be hungry.

    (나는 신경 쓸 것이다/ 어떤 사람도 굶주리지 않도록)

③ She works hard that she may live comfortably.

    (그녀는 열심히 일한다/ 편안하게 살기 위하여)

④ We threw our baggage overboard, so that the balloon could rise up.

    (우리는 짐을 밖으로 던졌다, 기구가 올라가게 하려고)

⑤ We saved enough money, in order that our kids may go to the college.

(우리는 충분한 돈을 저축했다\, 우리 아이들을 대학에 보내기 위하여)

 

목적을 나타낼 때, that절에서는 ‘may, can’을 시제에 맞게 사용합니다. 현대 영어에서는 may대신에 can을 더 많이 사용하니 참고하길 바랍니다.


부정적 의미의 목적절을 이끄는 표현은 ‘lest - should'입니다

의미는 ‘~하지 않도록입니다.


Pay attention lest you fall.

   (주의해라/ 떨어지지 않도록)

⑦ I am afraid lest I should disappoint you.

   (걱정이다/ 내가 너를 실망시키지 않으려고)



(2) 결과절


다음과 같은 표현들이 결과절을 이끕니다. 

'so - that', 'such - that' 

 ‘~해서 ~하다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① He recovered from illness, so that he can work now.

    (그는 병에서 회복했다, 그래서 그는 일할 수 있다)

② The town was near the volcano, so that it was destroyed completely.

    (그 마을은 화산 가까이 있었다, 그래서 파괴되었다/ 완전히)

③ Neo was attacked so suddenly that he couldnt escape.

    (네오는 갑자기 공격을 받았다/ 그래서 그는 탈출 할 수 없었다)

④ His antipathy against her was so apparent that everyone saw it.

    (그의 그녀에 대한 반감은 아주 명백해서 모든 사람이 그것을 알았다)

⑤ We were so much alike that we became friends immediately.

    (우리는 아주 비슷해서 친구가 되었다/ 금새)

⑥ You make such a noise that I cannot hear the music.

    (네가 소리를 심하게 내서 음악을 들을 수 없어)

 


(3) 목적이나 결과를 나타내는 that절


목적이나 결과를 나타내는 that 절들은 문장에서의 명사절이 될 수도 있습니다.

 

① I demand that you should go now.   [목적어]

    (나는 요구한다/ 당신이 당장 가야 한다고)

② The general ordered that the people should not be harmed.   [목적어]

    (장군은 명령했다/ 사람들이 다치지 않아야 한다고)

③ The prisoner begged that his face might be seen.   [목적어]

    (죄수는 간청했다/ 얼굴을 보이지 않게 해달라고)

④ My intention is that you should be free .   [주격보어]

    (내 의도는 당신이 자유로워지는 것이다)

⑤ The result is that he is injured.   [주격보어]

    (결과는 그가 부상을 입은 것이다)

⑥ His recklessness brought the result that he was injured.  [동격명사절]

    (그의 부주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가 부상을 입은)



이상으로 목적과 결과를 나타내는 부사절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명사 주어  (0) 2014.06.06
양보 부사절  (0) 2014.05.31
정관사의 의미  (0) 2014.05.29
조건절 접속사  (0) 2014.05.26
부정관사 용법 정리  (0) 2014.05.21

정관사의 의미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정관사의 의미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1. 정관사의 의미


 정관사는 앞에서 살펴 보았듯이 대상을 특정합니다. 그리고 그 대상을 화자와 청자 모두가 알고 있어야 합니다. 상황을 통해서든, 상식을 통해서든, 논리를 통해서든 서로가 그 대상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익숙한 예문을 봅시다.


(1) Open THE door.

     (문 열어라)

밑도 끝도 없이 ‘the door’라고 말해도 청자는 알아듣고 문을 엽니다화자와 청자 모두 어떤 문을 말하는 지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다음 상황은 어떨까요?

(2) A: Open THE door.

        (문 열어라)

   B: Which door? There are two doors.

       (어떤 문? 문이 두 개인데.)

   A: THE one on your left.

        (너 왼 쪽에 있는 것)

   B: Ah, THE door!

        (, 이 문!)


 처음에 B A가 말하는 ‘the door’를 모르고 있습니다. 그래서 ‘Which door?’라고 물어 보았습니다. 그러나 A의 설명을 들어서 어떤 문인지 알게 되자 ‘the door’라고 합니다. 이렇게 정관사 ‘the’는 화자와 청자가 서로 알고 있는 특정한 대상을 언급합니다.



2. 특정, 불특정


처음 나온 말은 부정관사 a’, 다시 나온 말은 정관사 the’를 씁니다. 이것도 서로 알고 있는 것에는 the’를 쓴다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예문을 봅시다.

(1) A boy fell on the street. THE boy was hit by a truck.

   (한 소년이 길에 쓰러 졌다. 그 소년은 트럭에 치였다)


(1)번에서 ‘A boy’는 화제에 처음 등장했으므로 부정관사를 썼습니다. 그렇지만 ‘the boy’는 앞에 나왔기 때문에 서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특정을 의미하는 정관사 ‘the’를 썼습니다. 


이렇게 정관사는 서로가 알고 있는 특정한 대상에 사용합니다.



이상으로 정관사의 의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보 부사절  (0) 2014.05.31
목적 결과 부사절  (2) 2014.05.30
조건절 접속사  (0) 2014.05.26
부정관사 용법 정리  (0) 2014.05.21
수식어 형용사  (2) 2014.05.18


slash, cut, trim 의미 구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자르다’라는 동사들을 보겠습니다.


 

slash, cut, trim 등은 모두 ‘자르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자르는’ 정도가 다릅니다.


먼저 각 단어별로 예문을 보겠습니다.


 

slash, cut, trim


1. slash : 날카로운 것으로 길게, 난폭하게 자르다.

(1) Some pervert slashed her dress.

    (어떤 변태가 난폭하게 잘라 버렸다/ 그녀의 옷을)


(2) He had a slash across his left cheek.

    (그는 길게 베인 자국을 가지고 있다/ 왼쪽 뺨에)


2. cut : 베다, 자르다

(1) The tailor cut the cloth to fit the skirt length.

    (재단사가 천을 잘라냈다/ 스커트 길이를 맞추기 위하여)


(2) He cut his skin with a knife.

    (그는 피부를 베었다/ 칼로)


3. trim : 잘라내어 다듬다.

(1) The tailor trimmed one centimeter off the hem of the skirt.

    (재단사가 1센티미터를 잘라냈다/ 스커트 솔기 가장자리를)


(2) He trims his hair himself.

    (그는 머리를 스스로 다듬는다)



자르는 정도


위에서 보듯이 slash, cut, trim은 ‘자르는 정도나 강도’가 다릅니다. 이 세 단어를 ‘자르기의 강도’에 따라 도식화 해 봅시다.





정리해 봅시다.

1. slash : 난폭하게 잘라 버리다

2. cut : 보통 자르다

3. trim : 살짝 다듬다



그럼 이상으로 slash, cut, trim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조건절  접속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조건절 접속사를 공부하겠습니다. 



(1) 조건문의 정의


If나 이와 같은 의미를 지닌 말들이 이끄는 절을 조건절이라고 하며, 조건절이 포함된 문장을 조건문이라고 합니다.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 참고)


① If it is fine, we will play outside.

    (날씨가 좋으면, 우리는 밖에서 놀 것이다)


② I will attend the meeting if I am free.

    (나는 회의에 참석할 것이다/ 한가하면)


③ I will take this one, if you please.

    (이것 가질 게요, 괜찮으시다면)



(2) 조건문의 구성


조건문은 간단히 보면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a. If가 이끄는 종속(부사)로서, 조건을 표현합니다.

b. 결론을 나타내는 주절로서, 조건절에서 말한 내용이 사실일 경우 일어날 사건을 표현합니다.


If it is fine, we will play outside.’을 보면, If it rains,'가 조건 부사절이고, we will play outside.'이 주절이 됩니다.


조건문에서 주절은,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또는 감탄문이 될 수 있습니다.

① If you go to China, where will you stay?   [의문문]

   (중국에 간다면, 어디에 머무를래?)

②  Sit here, if you are O.K.   [명령문]

  (여기 앉아, 괜찮다면)

③ If you fail the test, how sorry I will be!   [감탄문]

   (네가 시험에 실패하면, 얼마나 유감일까!)


(3) if외에 다음과 같은 말들도 조건절을 이끌 수 있습니다.

provided (or provided that),  granted that,  supposing (or suppose),  on

condition that, etc.  (가정법 if 대용어구 참고)


① I will permit you to games, on condition that you finish it in an hour.

   (게임해도 된다, 한 시간 후에 끝낼 거라면)

② You may go to the top college, provided you try your best.

   (너는 일류 대학에 갈 수도 있다, 최선을 다하기만 하면)

 Suppose (or supposing) you succeed, what shall you do?

   (성공한다면, 무엇을 할래?)


사실상, Suppose는 명령문이고, supposing은 분사로서 다음에 오는 절이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3) 부정 조건절 ‘if . . . not’ 또는 ‘unless.


(1) I will not marry him, if my parents don’t approve.

   (나는 그와 결혼하지 않을 거야, 만약 부모님이 허락하지 않는다면)


(2) Unless you save money, you will be in trouble.

   (만약 저축하지 않는다면, 문제에 처할 거야)



이상으로 조건절 접속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적 결과 부사절  (2) 2014.05.30
정관사의 의미  (0) 2014.05.29
부정관사 용법 정리  (0) 2014.05.21
수식어 형용사  (2) 2014.05.18
대명사 other 깔끔하게 정리해 봅시다!  (0) 2014.05.16

영어 속담 명언 (1-20)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자주 사용되는 영어 속담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오늘은 20개의 영어 속담을 보겠습니다. 



영어 속담 정리 (1-10)


1. A rolling stone gathers no moss.

직역 구르는 돌은 이끼가 끼지 않는다.

의역 부지런히 움직이는 사람은 깨끗하고 신선하다.


2. A drowning man will catch a straw.

직역 물에 빠진 사람은 지푸라기라도 잡는다.

의역 위험한 순간에는 어떤 것이라도 한다.


3. A little knowledge is a dangerous thing.

직역 조금 알고 있는 것이 위험한 것이다.

의역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


4. A stitch in time saves nine.

직역 제 때 한 번 바느질 한 것이 아홉 번을 던다.

의역 일을 제때하면 많은 수고를 덜 수 있다.


5. A bad workman always blames his tools.

직역 서투른 일꾼이 연장을 탓한다.

의역 자신의 부족함을 남의 탓으로 돌린다.


6. All is not gold that glitters.

직역 반짝인다고 다 금은 아니다.

의역 모든 것이 다 겉보기만큼 가치 있는 것은 아니다.


7. A bird in the hand is worth two in the bush.

직역 내 손안의 새 한 마리가 숲 속의 새 두 마리 가치가 있다.

의역 확실하게 가지고 있는 것이 불확실한 큰 것보다 낫다.


8. Beggars should be no choosers.

직역 거지는 고르는 사람이 아니다.

의역 빌어먹는 놈이 콩밥을 마다할까.


9. Don't make a mountain out of a molehill.

직역 두더지 무덤으로 산을 만들지 마라.

의역 별 것 아닌 일을 크게 만들지 마라.


10. Even Homer sometimes nods.

직역 호머도 때로는 꾸벅꾸벅 존다.

의역 누구나 결점은 있다.



영어 속담 정리 (11-20)


11. Every dog has his day.

직역 모든 개는 전성기가 있다.

의역 한 번은 기회가 찾아온다.


12. God helps those who help themselves.

직역 신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의역 최선을 다한 후에는 신에게 맡겨라. (진인사 대천명)


13. It never rains but it pours.

직역 비가 내리면 퍼붓는다.

의역 엎친데 덮친다.


14. It is no use crying over split milk.

직역 엎질러진 우유에 대해 울어봐야 소용없다.

의역 이미 끝난 일 가지고 슬퍼하지 마라.


15. It takes all sorts(kinds) to make a world.

직역 모든 종류의 것이 세상을 만든다.

의역 세상에는 별의별 사람들이 다 있다.


16. Little pitchers have long ears.

직역 작은 주전자에는 귀가 있다.

의역 아이들 앞에서는 말 조심해야 한다.


17. Nothing succeeds like success.

직역 어떤 것도 성공처럼 성공하지 못한다.

의역 성공이 성공을 낳는다.


18. Rome was not built in a day.

직역 로마는 하루 아침에 건설되지 않았다.

의역 천릿길도 한 걸음부터.


19. Saying is one thing and doing is another.

직역 말하는 것과 행동하는 것은 별개이다.

의역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것은 어렵다.


20. The end justifies the means.

직역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 한다.

의역 모로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



그럼 이상으로 영어 속담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관용구 및 표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full of beans  (1) 2014.07.13
in the doldrums  (0) 2014.07.10
Curiosity killed the cat.  (0) 2014.04.28
영어 격언 (거짓말에 대하여)  (0) 2013.11.24
every dog has his day  (16) 2013.06.06

[3] 부정관사 용법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부정관사의 용법을 간단히 정리하겠습니다.



1. 부정관사+단수명사


부정관사는 단수 명사앞에서만 사용됩니다. 부정관사는 셀 수 없는 명사나 복수형 앞에는 쓸 수 없습니다.

(1) a book (o)

(2) a books  (x)  (부정관사 + 복수형)

(3) a milk  (x)  (부정관사 + 물질명사)

(4) a peace (x)  (부정관사 + 추상명사)

(5) a Lincoln (x)  (부정관사 + 고유명사)


(2)~(5)는 부정관사가 복수형이나 셀 수 없는 말 앞에 왔기 때문에 잘못되었습니다. 부정관사 다음에는 원칙적으로 셀 수 있는 명사의 단수형만 와야 합니다.


그러나 셀 수 없는 명사가 체성을 띠게 되면 부정관사를 쓸 수 있습니다.


(3)-1. We decided to produce a milk.  (구체적인 우유 제품’)

          (우리는 우유 제품 생산하기로 했다)


(4)-1. The two nations reached a small peace.  (구체적인 작은평화)

          (그 두 나라는 조그만 평화를 얻었다)


(5)-1. They will choose a Lincoln to be their ruler.  (구체적인 링컨 같은대통령)

          (그들은 링컨 같은 사람을 선택할 것이다/ 그들의 통치자로)


부정관사는 단수 명사 앞에서만 써야 하지만, 문맥에 따라서, ‘셀 수 없는 명사앞에서도 쓸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합니다.



2. 화제에 처음 등장하는 대상


부정관사는 화제에 처음 나오는 대상을 소개할 때 사용합니다.


(1) A boy fell on the street. The boy was hit by a truck.

    (한 소년이 거리에 쓰러졌다. 그 소년은 트럭에 치였다)

(1)번에서 ‘boy’는 이야기에 처음 등장했습니다. 그러므로 부정관사를 썼습니다. 그렇지만 두 번째 문장에 다시 나왔을 때는 정관사 ‘the’를 썼습니다. 이렇게 화제에 처음 나온 대상은 부정관사+단수명사,’ 그리고 다시 언급된 것은 정관사+명사형태를 취합니다.


그러나 실제 말이나 글에서는, (1)번 같은 형태가 너무 딱딱하기 때문에 정관사 대신에 대명사로 바꾸어 쓰기도 합니다.

(1-1) A boy fell on the street. He was hit by a truck.



이상으로 부정관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관사의 의미  (0) 2014.05.29
조건절 접속사  (0) 2014.05.26
수식어 형용사  (2) 2014.05.18
대명사 other 깔끔하게 정리해 봅시다!  (0) 2014.05.16
부사의 위치  (7) 2014.05.15
빈칸 추론 100제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저와 동료 선생님들이 작업한 교재를 소개합니다.
빈칸 추론 100제!



들어가면서


1. 왜 빈칸추문제가 중요한가?

빈칸추론 문제는 수험생들이 1등급으로 가기 위한 최종 관문이다. 아울러 언어영역화 되고 있는 최근 영어에서 빈칸추론은 그만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비록 2015학년도 수능에서 빈칸 추론문제는 줄었지만, 난이도와 배점이 높아졌기 때문에 빈칸추론에서 고득점을 얻지 못한다면 영어 영역에서 1등급을 달성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2. 빈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지문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해야 한다. 이 책의 빈칸추론 풀이 전략을 통해 연습한다면 어려운 빈칸 문제도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

 

3. 이 책은 빈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가?

글의 중심 내용을 찾아 빈칸을 해결할 수 있게 하였다. 빈칸은 ‘막연느낌’이 아니라 주장을 찾으면 쉽게 풀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책의 특징


1. 인터넷 수능 독해연습에서 출제 가능성이 있는 지문을 선별하였다. 

1권과 2권에서 각각 50문제 씩 총 100개의 우수 지문을 선별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준에 중점을 두었다.

(1) 글의 흐름이 논리적인가?

(2) 글의 내용이 얼마나 참신한가?

(3) 글의 내용이 얼마나 교육적인가?

 

2. 평가원 원칙에 따라 선지를 구성하였다.

정확하게 내용을 이해하고 정리해야만, 정답을 찾을 수 있게 하였다.

 

3. 공부하기에 편리 하도록 해설을 구성하였다.

글의 중심 내용을 한 눈에 파악 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고, 또한 난이도가 높은 문제의 경우에는, 정답과 오답인 이유를 설명해 두었다.



 빈칸 추론 100제


CONTENTS


Part 1 빈칸풀이 전략 ---------------------------------- p.3

Part 2 실전 문제 100 --------------------------------- p.7

Part 3 정답 및 해설 ---------------------------------- p.58



 


빈칸 울렁증을 깨끗히 청소해 드립니다!



빈칸 100제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공부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익 독학으로 공부하기  (0) 2014.04.17
영어 듣기 공부법  (0) 2013.09.30
공부비법 (내신대비)  (4) 2013.09.03
영어영역 독해 (수능)  (4) 2013.07.12
영어문법공부 제대로 합시다!  (3) 2013.07.04

빈칸 변형 문제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인터넷 수능 빈칸 100제를 소개합니다. 


영어 1등급의 가장 큰 장애물은 단연코 빈칸입니다. 실제로 많은 학생들이 빈칸 때문에 좌절합니다. 그리고 이런 말을 합니다.

 

빈칸은 感이다.


 

1. 빈칸이 감이라고?


감이 좋아야 빈칸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합니다. 과연 그럴까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감은 학습할 수 없습니다. 학습이 불가능한 것을 ‘수학능력’ 시험에서 평가하지는 않습니다.

 


2. 빈칸은 논리다.


빈칸은 감이 아니라 논리입니다.

빈칸은 답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답은 누구나 인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것이어야 합니다. 수능 문제의 답이 객관적이지 못하다... 이건 상상할 수도 없는 일입니다. 답이 객관적이기 위해서는 논리적이어야 합니다. 논리는 학습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빈칸도 학습할 수 있습니다.

 


3. 빈칸 전략들?

전략씩이나...

영어 문제 푸는데 거창하게 전략까지 들먹일 필요는 없습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긴 글에서 하나만 질문한다면 무엇을 물어 볼까요? 당연히 가장 중요한 것을 물어 봅니다. 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주장’입니다. 거의 대부분의 빈칸 문제는 글의 주장을 찾으면 됩니다.

 


4. 문장형 빈칸이 중요하다.


단어 빈칸이나 접속빈칸은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문장형 빈칸이 어렵습니다. 더욱이 문장형 빈칸 문제는 선지가 전부 영어입니다. 문장형 빈칸 문제야 말로 진정한 빈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인의 영어 전문가들이 만든 문장형 빈칸 100제를 소개합니다.


인터넷 수능 1권과 2권에서, 각각 50개의 우수 지문을 선택하여, 문장형 빈칸을 만들었습니다. 뻔히 답이 보이는 선지는 만들지 않았습니다.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정리해야 풀 수 있는 수준 높은 선지들만 있습니다.


100제에 있는 선지들은 보통 다음과 같은 문장 길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선지를 영어로 만들었습니다. 

 

변형문제 5번 선지

① Reconstructing ancient world based on amber fossils is not science but art.

② Amber fossils play a key role to rebuilding the ancient earth environment.

③ Amber and other germstones can be used to study insects.

④ Thousands of jigsaw puzzles can be assembled with amber fossils.

⑤ Making inferences regarding ancient earth is not possible without amber fossils.

 

인터넷 수능 빈칸 100제는 이 정도로 수준 높은 선지들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인터넷 수능 빈칸 100제로 진정한 빈칸을 공부하십시오. 빈칸은 더 이상 두렵지 않습니다.


 


빈칸 100제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독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지, 요약 해결 전략  (0) 2014.08.15
영어 역역 빈칸 추론  (0) 2014.08.14
우정에 관하여 (on friendship)  (2) 2014.02.03
pun (언어 유희)  (1) 2013.11.24
영어 독해 공부법  (0) 2013.09.29

[4] 수식어 - 형용사적 용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형용사와 형용사적 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형용사를 어려워하는 이유는, 형용사와 형용사적 용법을 혼동하기 때문입니다. 형용사라는 것은, 품사의 하나로서,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들을 말합니다.



1. 형용사


품사로서의 형용사들: big, small, high, tall, good, bad

형용사들은, 비교급을 제외하고는, 문장에서 형태변화 없이 명사를 수식합니다.

(1) 한정적 용법

The big boy is crying. 

(2) 서술적 용법

   The crying boy is big.

(1),(2)번에서 형용사 ‘big’은 수식하는 위치에 상관없이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2. 형용사적 용법


문장에서 형용사의 역할을 하는 모든구나 절을 가리키며 수식어구()라고도 합니다. 형용사적 용법으로 쓰인 말은 형태가 일정하지 않으며 역할로서 판단합니다. 어떤 구나 절이 명사나 대명사를 수식하고 있으면 형용사적 용법이라고 합니다.


영어 문장이 길어지고 어려워지는 것은 대부분 수식어구 때문입니다. 수식어구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어야 정확한 문장이해가 가능해 집니다.


다음은 형용사적 용법으로 쓰이는 수식어구()들입니다.

(1) 전치사구

(2) to 부정사

(3) 현재분사, 과거분사

(4) 관계대명사, 관계부사


각 항목별로 살펴 보겠습니다.


(1) 전치사구

전치사구(전치사+명사)는 형용사적 용법으로 사용됩니다.


   전치사구 형용사 역할        같은 의미의 형용사

  A flower of great beauty.       A very beautiful flower.

②  A visitor from abroad.           A foreign visitor.

③  A cottage by the sea.           A seaside cottage.


,②,에서 각 전치사구는 앞에 있는 명사를 수식하므로 형용사적 용법입니다. 형용사 역할을 하는 전치사구는 같은 의미의 형용사로 바꿀 수 있습니다.


(2) to 부정사구

앞에서 보았듯이 to 부정사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사적 용법으로 사용됩니다.


 We have no water to drink.

   (우리는 마실 물이 없다)

 He has friends to rely on.

   (그는 의지할 친구들이 있다)

에서, 부정사 to drink는 명사인 water를 수식하여 ‘water for drinking, 또는 drinking water'의 의미를 갖는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에서 ‘to rely’는 명사 친구들(friends)’를 수식하는 형용사적 용법으로 쓰였습니다.


(3) 분사구

분사는 동사+형용사역할을 하기 때문에 명사를 수식할 수 있습니다.

 Look at the dancing girl.

   (춤추는 소녀를 보아라)

 Look at the excited audiences.

   (흥분된 청중들을 보아라)

에서 현재분사 dancing은 명사 소녀(girl)’을 수식하는 형용사적 용법입니다.

에서 과거분사 excited는 명사 청중들(audiences)를 수식하는 형용사적 용법입니다.

(분사에서 설명했듯이 현재분사는 능동, 과거분사는 수동의 의미를 갖습니다.)


(4) 관계대명사, 관계부사

관계대명사, 관계부사는 앞에 있는 명사(선행사)를 수식하여 설명하는 형용사절 역할을 합니다.

 He is the boy who is waiting for me.

  (그가 소년이다/ 나를 기다리고 있는)

 I have a vila where I can spend the holiday.

(나는 빌라가 있다/ 내가 휴일을 보낼 수 있는)

번에서 관계대명사 who은 앞에 있는 명사 ‘the boy’를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번에서 관계부사 where은 앞에 있는 명사 ‘a villa’를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위에서 설명한 형용사적 용법은 명사를 앞뒤에서 직접 수식하는 한정적 용법입니다.



실제로 영어 글에는 순수한 형용사보다 형용사적 용법이 훨씬 자주 사용됩니다. 또한 형용사적 용법은, 위에서 보았듯이, 문장을 복잡하게 만드는 주요한 원인입니다. 형용사적 용법만 정확하게 파악해도 대부분의 문장구조는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형용사, 형용사적 용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건절 접속사  (0) 2014.05.26
부정관사 용법 정리  (0) 2014.05.21
대명사 other 깔끔하게 정리해 봅시다!  (0) 2014.05.16
부사의 위치  (7) 2014.05.15
대부정사 (pro-infinitive)  (2) 2014.05.14

[13] 대명사 other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대명사로 쓰이는 other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1. one, the other (하나는, 나머지 하나는)


두 개의 대상을 가리킬 때는 ‘one, the other’를 씁니다. 의미는 하나는, 나머지 하나는입니다.


ex) I have two children. One is a son and the other is a daughter.

     (나는 두 아이들이 있다. 하나는 아들이고 나머지 하나는 딸이다)



2. the one, the other (전자, 후자)


두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하며, the one’은 전자the other’는 후자를 가리킵니다. 상당히 격식을 갖춘 표현입니다.


(1) Foods and books are both necessary; the one feeds our body and the other feeds our mind.

    (음식과 책은 둘 다 필요하다; 전자는 우리의 몸을 먹이고 후자는 마음을 먹인다)


(2) We keep a dog and a cat; I like the one better than the other.

     (우리는 개와 고양이가 있다; 나는 전자를 더 좋아한다/ 후자보다)




3. the others (그 나머지는)


정해진 것 중에서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전부를 표현할 때는 ‘the others’를 씁니다. 이 경우 반드시 전체가 정해져 있어야 합니다.


ex) They have 5 children. One is a girl and the others are boys.

      (그들은 아이들이 다섯 명 있다. 하나는 여자애고 그 나머지는 사내애들이다)



4. others (다른 사람들)


Others막연하게 다른 사람들이라는 의미를 가지는 대명사입니다. Other는 혼자서 대명사로 쓰일 수 없지만 others는 대명사로 쓸 수 있습니다.


ex) Having consideration for others is a must.

     (남들을 배려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5. (some, others) 몇몇은, (나머지 중) 다른 것들은

(some, the others)몇몇은, 그 나머지는


 여러 개가 있을 때, 몇몇은 ‘some,’ 그리고 나머지 중 일부는 ‘others, 나머지 전부는 ‘the others로 나타냅니다. ‘some, others’를 쓰면 다른 나머지가 더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some, the others’는 다른 나머지가 없습니다.


(1) I have many shirts. Some are red and others are blue. (나머지 중 일부)

    (나는 셔츠가 여러 벌 있다. 몇 벌은 빨간색이고 파란 색도 있다)

    (셔츠 색깔은 파란색, 빨간색, 그리고 다른 색깔도 있습니다)


(2) I have many shirts. Some are red and the others are blue. (나머지 전부)

    (나는 셔츠가 많다. 몇 벌은 빨간색이고 그 나머지는 파란색이다)

    (셔츠 색깔을 빨간색과 파란색 뿐입니다)



6. each other 둘 사이에 서로

one another셋 이상 사이에 서로


 each other’와 ‘one another’는 ‘서로’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each other’는 둘 사이에서 서로를 의미하고, one another’는 셋 이상에서 서로를 의미합니다. 그렇지만 엄격하게 격식을 따지지 않는 상황이라면 구별하지 않습니다.


(1) The two stars congratulated each other.

    (두 스타들은 축하했다/ 서로에게)


(2) A group of stars congratulated one another.

    (여러 명의 스타들이 서로를 축하했다)



그럼 이상으로 대명사 other에 대한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정관사 용법 정리  (0) 2014.05.21
수식어 형용사  (2) 2014.05.18
부사의 위치  (7) 2014.05.15
대부정사 (pro-infinitive)  (2) 2014.05.14
수혜자를 나타내는 for, to (수혜자)  (0) 2014.05.13

[2] 부사의 위치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부사의 위치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일반적인 부사의 위치


부사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문장 끝에 위치합니다.


(1) She helped me KINDLY.

   (그녀는 나를 도왔다/ 친절하게도)


그러나 부사는 문장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1)-1. KINDLY, she helped me.

     (친절하게도, 그녀는 나를 도왔다)

(2)-2. She KINDLY helped me.

     (그녀는 친절하게도 나를 도왔다)


예문에서 보듯이, 부사의 위치가 달라져도 문장의 의미는 크게 바뀌지 않습니다



문장에서 부사의 위치는 ,크게 보아 다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1. 문장 처음에 올 때

2. 문장 중간에 올 때

3. 문장 끝에 올 때


각 항목별로 살펴 보겠습니다.



1. 문장 처음에 오는 경우


대부분의 부사()는 문장 첫 머리에 올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자신의 생각을 도입하는 부사()’들은 문장 첫 머리에 놓는 것이 더 좋습니다.


(1) In my opinion, you’re wasting your life.

   (내 생각에, 너는 인생을 낭비하고 있어)

(1)-1. You’re wasting your life, in my opinion. (?)

   (너는 인생을 낭비하고 있어, 내 생각에)


(1-1)번은 문법적으로 틀린 것은 아니지만 어색합니다. 생각을 도입하는 부사() 다음에 생각의 내용이 오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습니다.


예문을 몇 개 더 보겠습니다.

(2) Generally, Koreans are hard working.

   (일반적으로, 한국인들은 근면하다)

(3) Wisely, he listened to my advice.

   (현명하게도, 그는 나의 충고에 귀를 기울였다)

 


2. 문장 중간에 오는 경우


부사가 문장 중간에 올 경우에는 대부분 동사를 수식합니다. 그러므로 동사를 기준으로 부사의 위치를 살펴 보겠습니다.

 

여러 부사 중에서 특히 빈도를 나타내는 부사 위주로 설명하겠습니다. 빈도 부사들은 자주 문장 중간에서 쓰이기 때문입니다. 빈도 부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빈도 부사

always, usually, often, sometimes, hardly(seldom), once, never

 

(1) be, 조동사, 일반동사

be 동사, 조동사가 있을 때 빈도 부사는 be동사나 조동사의 뒤에 위치합니다. 그리고 조동사는 일반동사 앞에 위치합니다.

 He is often late.  (be동사 뒤에 위치)

    (그는 자주 늦는다)

② He can sometimes come early.  (조동사 다음에 위치)

    (그는 가끔 일찍 올 수도 있다)

③  He hardly comes on time.  (일반동사 앞에 위치)

    (그는 거의 제 시간에 오지 않는다)


(2) 조동사가 포함된 복합 동사구문

조동사와 동사가 여러 개 포함된 동사구에서는 맨 앞에 있는 조동사 뒤에 빈도부사를 써 줍니다.

ex) He should always have been punctual.  (맨 앞에 있는 should 다음에 위치)

     (그는 항상 정시에 왔어야 했다)

 


3. 문장 끝에 올 때


부사구가 올 때는 주로 문장 끝에 씁니다.


(1) 부사구는 문장 끝에 놓는다.

부사를 쓰는 이유는 더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서 입니다. 그런데 다음 문장을 봅시다. 


① I under the table put my bag.  (?)

   (나는 테이블 아래에 가방을 놓았다)  

부사구가 문장 중간에 들어가서 의미가 더 혼란스럽게 되었습니다.


부사구를 문장 끝으로 보내 봅시다.

-1. I put my bag under the table.

이제 의미가 분명해 졌습니다. 보통 부사구는 문장 끝에 두는 것이 더 깔끔한 문장이 됩니다.


(2) 목적어가 길 때

목적어가 길 때는 부사()를 문장 중간에 두기도 합니다.


 I put my bag which my dad bought for me under the table.

위 문장은 목적어가 수식을 받아서 문장이 길어 졌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부사구를 문장 중간에 넣는 것이 더 났습니다.


-1. I put my bag under the table which my dad bought for me. 

목적어가 문장 중간으로 가서 더 깔끔한 문장이 되었습니다.



몇몇 부사의 위치는 문법적으로 고정되어 있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부사의 위치를 결정할 때는 문맥과 의미전달을 먼저 생각해야 합니다. 지엽적인 문법 규칙에 얽매이는 것 보다는 명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부사를 써야 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79] 대부정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대부정사를 공부하겠습니다. 



 앞에 나온 동사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to 부정사에서 동사를 생략하고 'to'만 남겨놓는 것을 ’대부정사라고 합니다. 


1. 반복되면 생략한다.  


대화 1

A: Would you like to drink beer?. 맥주 마시고  싶니?

B: Yes, I love to!  물론이지!

이 대화의 B는 원래 ‘Yes, I love to drink beer!'였습니다. 그렇지만 ’drink beer'가 반복되므로 생략해 버리고 'to'만  남겨 두었습니다. 이렇게 'to 부정사'에서 동사를 생락하고 'to'만 남겨 놓은 것을 '대부정사(pro-infinitive)라고 합니다. 


그런데, 잘 보면 ‘부정사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입니다. ‘부정사부정사를 대신한다는 뜻이 되므로 to까지 생략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to는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어쨌든 대부정사에 대한 정의는 이정도로 알아 두면 됩니다. 

 

예문을 더 봅시다.


대화 2

A: Did you have to do this?  너 이럴 수밖에 없었니?

B: Sorry, but I had to (do this).  미안하지만, 그럴 밖에 없었다.

 

대화3

A : My mother arranged me to meet with a woman. 엄마가 나를 어떤 여자와 선보게 했어.

I really hate to (meet her)  , 정말 싫어.  


'to 부정사다음에 있는 동사를 무조건 생략하는 것은 아닙니다. 위 예문들에서 보듯이, 문맥을 통해서 동사를 알 수 있을 때만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영어의 대부정사는 자주, 다음과 같은 단어들과 함께 사용됩니다.

be going to, have to, like to, need to, love to, hope to, hate to, try to, used to .

 

이상으로 대부정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21] 수혜자를 나타내는 for, to (수혜자)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대상을 나타내는 for, to,를 보겠습니다. 



'for, to'는 둘다 '~에게'로 쓰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의미가 다릅니다. 


한 번 구별해 봅시다.

 

수혜자를 나타내는 for, to


전치사 to, for 다음에는 예문에서와 같이 어떤 것을 받는 수혜자’가 올 수 있습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1) I made a doll for my little daughter.   (~에게 주기 위하여)

    (나는 인형을 만들었다/ 내 어린 딸을 위해서)

(2) I gave the doll to my little daughter.  (실제로 ~에게 주었다)

    (나는 인형을 주었다/ 내 어린 딸에게)

예문에서 보듯이, for는 대상에게 주려는 의도를 나타냅니다. 이에 대하여 to는 대상에게 직접 건네줄 때 사용합니다


예문을 조금 더 보겠습니다.

 

(3) These books are for children.  (의도: 아이들을 위한)

   (이 책들은 아이들을 위한 것이다)

(4) We gave these books to children.  (실제로 아이들에게 주었다)

   (우리는 이 책들을 주었다/ 아이들에게)



이상으로 수혜자를 나타내는 to, fo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사의 위치  (7) 2014.05.15
대부정사 (pro-infinitive)  (2) 2014.05.14
형용사의 한정적·서술적 용법  (3) 2014.05.12
표현의 확장  (2) 2014.05.11
위치를 나타내는 전치사 close to, next to  (0) 2014.05.09

 [3] 형용사의 한정적·서술적 용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한정적 서술적 용법을 공부하겠습니다.



형용사는 두 가지 방식으로 명사를 수식합니다. 명사 앞뒤에서 직접 수식하는 경우와 보어로 사용되는 경우입니다. 한정적 용법이란 명사를 앞뒤에서 직접 수식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서술적 용법이란 형용사가 보어로 쓰이는 경우입니다.



1. 한정적 용법, 서술적 용법


(1) 한정적 용법

 Innocent man.   (앞에서 명사 수식)

(결백한 남자)

 The police wrongfully arrested someone innocent.  (뒤에서 명사수식)

(경찰이 잘못 체포했다/ 결백한 사람을)

번과 같이 형용사가 명사를 앞이나 뒤에서 직접 수식할 때, ‘한정적 용법이라고 합니다.


(2) 서술적 용법

 The man was innocent. (주격보어)

(그 남자는 결백했다)

 The judge found him innocent. (목적격 보어)

(판사는 선고했다/ 그 남자가 결백하다고)

번과 같이 형용사가 보어로 쓰일 때서술적 용법이라고 합니다.



2. 한정적, 서술적 용법으로 쓰이는 형용사들


대부분의 영어 형용사들은 한정적 용법으로도, 서술적 용법으로도 쓰입니다. 그러므로 모든 형용사를 한정적 용법, 서술적 용법으로 분류할 필요는 없습니다. 단지 용법이 고정된 몇 개 정도만 알아 두시면 됩니다.


(1) 한정적 용법으로 쓰이는 형용사들

 mere, former, main

 -al로 끝나는 형용사들

chemical, general, industrial, local, medical, national

이 형용사들은 명사를 주로 앞에서 수식합니다. 그리고 mere같은 경우는 보어로 쓰일 수 없습니다.

    a. a mere boy. (단지 한낱 소년)

    b. The boy is mere. (x)

그렇지만 대부분의 형용사들은 한정적·서술적 용법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굳이 예외적인 형용사를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2) 서술적 용법으로 쓰이는 형용사들

‘a-‘로 시작하는 형용사들

afraid, alike, alive, alone, amiss, ashamed, asleep, astray, awake, aware

‘a-‘ 시작하는 형용사들은 대부분 명사를 앞에서 수식할 수 없습니다. 이것들은 주로 be동사 다음에서 보어로 쓰입니다.

 asleep him.  (x)

 He is asleep.

   (그는 잠들어 있다)

‘-a’로 시작하는 형용사가 보어로 쓰일 경우 주로 상태를 의미합니다.


(3) 용법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형용사들

certain, late, present

  certain

 a. Certain people don’t like driving.  (한정적 용법, 어떤)

    (어떤 사람들은 운전을 좋아하지 않는다)

 b. It is certain that they don’t like cars.  (서술적 용법, 확실한)

    (그것은 확실하다/ 그들이 차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거이)

 

 late

  a. Her late husband died saving their children.  (한정적 용법, 고인이 된)

      (그녀의 고인이 된 남편은 죽었다/ 아이들을 구하다가)

  b. The rescue was late for him.  (서술적 용법, 늦은)

      (구조가 늦었다/ 그에게)


 present

  a. He is the present owner of the company.  (한정적 용법, 현재의)

      (그가 현재 소유주이다/ 그 회사의)

  b. The owner is present for the board meeting.  (서술적 용법, 참석하다)

      (그 소유주는 참석했다/ 이사회에)

 

[정리]

형용사의 한정적 서술적 용법

형용사가 명사를 앞에서 직접 수식할 경우는 한정적 용법이라고 하고, 보어로 사용될 경우에는 서술적 용법이라고 합니다.


이상으로 형용사의 한정적 서술적 용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3] 전치사 표현의 확장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표현의 확장을 공부하겠습니다. 



1. into 표현의 확장


전치사는 구체적인 대상뿐만 아니라 추상적인 대상과도 함께 쓰입니다. 이것은, 우리말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영어만의 특성으로, 영어의 다양한 표현을 가능하게 해 줍니다. 전치사 into를 이용한 간단한 예문을 봅시다.


(기본 문장)

(1) She walked into my place. 

      (그녀는 걸어 들어왔다/ 내가 있는 곳으로)

이동을 나타내는 전치사 into를 이용한 간단한 문장입니다. (1)번에서 into 다음에는 구체적인 장소가 왔습니다. 다음 문장들은 ‘into’ 다음에 추상적인 대상을 사용하여 표현을 확장한 것입니다.


(2) She walked into my sense

   (직역: 그녀는 걸어 들어왔다/ 내 감각 속으로)

   (의역: 그녀의 존재를 알아차렸다)


(3) She walked into my life

   (그녀는 걸어 들어왔다 / 내 인생으로)

   (그녀가 내 인생에 의미 있는 존재가 되었다)


(4) She walked into my heart.

   (직역: 그녀는 걸어 들어왔다/ 내 마음 속으로)

   (의역: 그녀가 마음 속에 자리 잡았다)

 

(5) She walked into my day and night.

   (직역: 그녀는 걸어 들어왔다/ 내 낯과 밤 속으로)

   (의역: 밤이건 낯이건 그녀 생각이 난다)  


‘into’가 장소 안으로의 이동만을 나타낸다고 생각하면 (2)~(5)같은 표현은 쓸 수 없습니다. 전치사 다음에는 어떤 대상도 올 수 있다고 생각해야 위와 같은 다양한 표현들이 가능해 집니다.



2. 전치사 표현의 확장


into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기본(한 단어)전치사는 의미의 확장이 가능합니다. 전치사의 의미가 확장될 때는 기본 의미가 비유적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1) beneath (~의 아래에)

(기본) He was buried just beneath the ground.

         (그 새 온천은 있다/ 표면 바로 아래)

(확장) He considers everyone beneath him.

         (그는 생각한다/ 모든 사람이 자신보다 아래라고)


(2) beyond (~을 넘어서)

(기본) The plane disappeared beyond the mountain.

         (비행기가 사라졌다/ 언덕을 넘어서)

(확장) He succeeded beyond imagination.

         (그는 성공했다/ 상상을 넘어서)


(3) up (위로, 위쪽으로)

(기본) He climbed up the ladder.

         (그는 올라 갔다/ 사다리를)

(확장) He climbed up the ladder of success.

         (그는 올라 갔다/ 성공의 사다리를)


(4) over (위로, 위에)

(기본) He jumped over the fence.

         (그는 울타리를 뛰어 넘었다)

(확장) He jumped over the crisis.

         (그는 위기를 뛰어 넘었다)


(5) under (~의 아래에)

(기본) The cat sat under the table.

         (그 고양이는 앉아 있었다/ 테이블 아래에)

(확장) The cat was under spell.

         (그 고양이는 주문에 걸려 있었다)


위에서 보듯이 전치사의 의미가 확장될 때는 기본의미에서 추측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각 전치사의 다양한 의미들을 다 알 필요는 없습니다. 기본적인 의미를 알아둔 후에 문맥을 통해 확장시키면 충분합니다.

     


그럼 이상으로 표현의 확장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15] 위치를 나타내는 next to, close to  (~의 가까이에)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전치사 next to, close to를 공부하겠습니다.


 

'next to, close to'는 두 대상이 가까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그렇지만 ‘가까움’에 차이가 있습니다.

 

1. next to : ~의 바로 옆에

              (=by, beside)


'next to는 두 대상이 서로 맞닿을 정도로 가까이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1) stands next to .

    ( 서 있다/ 바로 옆에.)


(2) My phone is next to the bed.

     (내 전화기가 있다/ 침대 바로 옆에.)


예문에서 보듯이 ‘next to'는 ’by, beside'와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2. close to : ~의 가까이에

         (= near)


'close to'는 가까이 있지만 ‘붙어 있는 정도’는 아닙니다. 그저 ‘가까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stands close to .

    ( 서 있다/ 가까이)


(2) I live close to the store.

    (나는 산다/ 가게 가까이)

(1), (2)에서 'close to'는 ‘near'와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next to, close to'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12] the + 형용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이번 시간에는 the + 형용사를 공부하겠습니다.

 

 

the + 형용사

 

정관사와 형용사가 결합되어 명사 역할을 할 수도 있습니다. ‘the + 형용사는 명사 역할을 하며 주로 세 가지 의미를 갖습니다.

 

the + 형용사

1. 복수 보통명사

2. 단수 명사

2. 추상명사

 

 

각 항목별로 간단하게 살펴 보겠습니다.

 

 

1. (the + 형용사) 복수 보통명사

 

‘the +형용사는 일부 형용사와 결합하여 복수 명사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이 표현들은 많이 사용되어 관용구처럼 쓰입니다.

 

 the young (젊은 사람들)  the old (나이든 사람들
 the dead (죽은 사람들)  the alive (살아 있는 사람들)
 the poor (가난한 사람들)  the rich (부유한 사람들)
 the brave (용감한 사람들)  the weak (약한 사람들)

 

'the + 형용사복수이므로 복수 동사를 써야 합니다.

ex) The young LIKE adventures.

     (젊은이들은 모험을 좋아한다)

 

 

2. (the + 형용사) 단수명사

 

  ‘the + 형용사는 문맥에 따라 단수 역할을 할 수도 있습니다.

 

the deceased (고인)

ex) The deceased was a good father.

     (고인은 좋은 아버지 였다)

 

 

3. (the + 형용사) 추상명사

 

‘the + 형용사추상명사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역시 자주 쓰여서 관용어 취급을 받고 있는 말들입니다.

 

 the mystical (신비한 것)  the supernatural (초자연적인 것)
 the real (실제적인 것  the good (좋은 것)
 the evil (악한 것  the inevitable (필연적인 것)

 

   ex) The mystical is opposed to the rational.

 

          (신비한 것은 반대이다/ 이성적인 것에)

 

 

 

그럼 이상으로 the + 형용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convenient, comfortable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convenient, comfortable을 공부하겠습니다.



이 단어들은 모두 ‘편한’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그렇지만 쓰임이 다릅니다. 두 단어의 의미를 정리해 봅시다.



1. convenient : (사용하기에) 편리한


convenient는 ‘사용하기 쉬워서 편리한 것'을 말합니다. 

편의점 간판에는 CVS라는 말이 적혀 있습니다. 이는 'Convenient Store'의 약자입니다. 편의점은 24시간 영업을 하니 편리합니다. 그래서 'Convenient Store(편의점)‘이라고 합니다.


예문을 봅시다.

(1) E-mail is very convenient.

    (E-mail은 아주 편리하다)


(2) If you live close to the station, that's very convenient.

    (당신이 역 근처에 산다면, 그것은 매우 편리하다)


(3) When is it convenient for you to come?

    (언제가 편리합니까/ 당신이 오기에?)



2. comfortable (걱정 없이) 편안한


comfortable은 '걱정할 것이 없어서 몸과 마음이 편안한 것'입니다.

(1) My house is warm and comfortable.

    (내 집은 따뜻하고 편안하다)


(2) I had a comfortable evening at home.

    (나는 편안한 저녁을 보냈다/ 집에서)


(3) I had a comfortable salary to live.

    (나는 만족할 봉급을 받는다/ 생활하기에)

 

주의

문맥에 따라서, 같은 대상에 convenient, comfortable을 쓸 수도 있습니다.

ex) This armchair is convenient. I can use it as a comfortable bed.

     (이 안락의자는 편리하다. 나는 이것을 편안한 침대로 사용할 수 있다)


안락의자가 침대로도 사용되니까 사용하기 편합니다. 그래서 convenient를 썼습니다. 또한 침대로 썼을 때는 안락하고 편안하므로 ‘comfortable'을 썼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convenient, comfortable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would you mind ~, Do you mind ~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mind ~ing를 공부하겠습니다.



mind ~ing 


‘mind ~ing’는 자주 쓰이는 표현입니다. mind ~ing가 들어간 표현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해도 될까요?

= Would you mind ~ing

= Do you mind ~ing

= May I ~

= Would you please?



1. 정중한 부탁


mind가 동사로 쓰일 때는 ‘~을 꺼려하다’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mind ~ing'는 ’~해도 될까요‘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을까요? 그 이유는 'mind ~ing'가 ’거절하면 싸가지 없는 부탁‘에 쓰이기 때문입니다.



다음 상황을 봅시다.



(1) A: Would mind opening the widow? (꺼려하십니까/ 창문을 여는 것을?)

    B: Certainly not. (전혀 아닙니다)


A가 한 말을 직역하면 ‘창문을 여는 것을 꺼려하십니까?’입니다. 이것은 상대의 입장을 고려한 예의바른 부탁입니다. 창문 좀 열어도 될까요?’라고 하면 대부분 동의합니다. 이 상황에서 거절하면 사회성에 문제 있는 것입니다. 'mind ~ing'는 위와 같이, 사소한 부탁을 정중하게 할 때 사용됩니다.


(1)번은, 정중한 어감을 살려, 'May'를 써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1-1) Would you mind opening the window?

     = May I open the window?

 


2. 부정으로 대답


'would you mind ~ing?‘로 물어보면, 부정어를 써서 대답해야 합니다. 


다음 예문을 봅시다.


A: Would you mind my asking a question? (질문해도 꺼려하지 않으시겠어요?)

B: Not at all. (전혀요)

   = Sure.

   = Go ahead.


동사 mind는 ‘~을 꺼려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would you mind ~ing'를 직역하면 '~하는 것을 꺼려하십니까’라는 뜻이 됩니다. 이 상황에서 'yes'라고 하면 ‘예, 꺼려합니다’라는 굉장히 뻘쭘한 답이 되어 버립니다. 부정어를 써야만 ‘꺼려하지 않습니다’, 즉 ‘괜찮습니다’는 의미를 갖게 됩니다.


그렇지만 구어에서는 위 예문에서 보는 것처럼 'sure, go ahead'를 쓸 수도 있습니다. ‘Would you mind ~ing'라는 표현 자체가, ’꺼려하다‘는 의미는 없어지고, 정중한 부탁만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동사 mind는 ‘~을 꺼려하다’는 의미이다.

2. 동사 mind 다음에는 ‘~ing'가 온다.

3. 'Would you mind ~?'는 ‘~해 주시겠습니까’라는 정중한 부탁이다.

4. 'Would you mind ~?'로 물어보면 부정어로 답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럼 안녕 ~

[13]   분사구문 주어 (논리적 관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분사구문의 논리적 관계를 보겠습니다.



분사구문을 포함한 문장은 분사가 수식하는 명사나 대명사와의 관계가 명백하도록 써야 합니다.



1. 분사의 위치


분사 구문을 수식하는 말과 멀리 두면 의미가 불분명해 지고 맙니다.

(1) I had a fine view of your new house driving my car this morning. (x)


이 문장에서, ‘driving my car'는 위치상 가까운 명사인 ’house'를 수식할 것 같습니다. 이 경우나의 집이 내 차를 운전한다라는 비논리적인 의미가 되어 버립니다.


이 분사구문은 원래 ‘I'를 수식하므로 위치를 'I' 앞으로 옮기면 다음과 같은 문장이 됩니다.

(1-1) Driving my car this morning, I had a fine view of your new house.  (o)

        (내 차를 아침에 운전하다가, 나는 멋진 광경을 봤다/ 너의 집의)


이제는 의미가 분명해 졌습니다. 시간 부사구일 경우를 제외하고는 분사는 수식하는 말 근처에 놓아야 합니다.



2. 분사와 의미상 주어


분사의 수식을 받는 말이 분사의 의미상 주어이며, 명사나 대명사의 형태를 취합니다. 의미상의 주어를 모르거나 일반인이 아니라면, 의미상의 주어를 반드시 써 주어야 합니다.


분사는 형용사 역할을 하므로, 그것이 속한 문장 안에서 반드시 어떤 명사나 대명사를 수식해야만 합니다. 자주 발생하는 실수 중 하나가 분사를 다음과 같이 수식하는 말없이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1) HEARING the fire alarm, there was a rush to the scene. (x)

(경보를 듣고서, 뛰었다?)

위 문장에서는 ‘Hearing’하는 주체가 없습니다. 다시 말하면 ‘Hearing’이 의미상으로 수식하는 명사나 대명사가 없습니다.  


의미상의 주어를 써 주면, 의미가 명확해 집니다.

(1-2) HEARING the fire alarm, we rushed to the scene.    

  (‘Hearing’하는 사람이 ‘we’입니다.)


조금 더 어려운 다음 문장을 봅시다.

(2) The dish was broken, RESULTING from its fall.


이 문장은 얼핏 보면 옳은 문장처럼 보입니다.


한 번 분석해 봅시다. 'RESULTING from its fall'은 분사구문이므로 문장 내에서 반드시 명사를 수식해야 합니다. 그런데 분사 구문을 제외한 문장에서 명사는 ‘dish' 하나뿐이므로 이 분사구문은 ’dish'를 수식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게 되면 다음과 같이 참으로 인과관계에 어긋나는 의미가 되고 맙니다.


 The dish resulting from its fall. (떨어져서 만들어진 접시?)


이 문장을 의미가 통하게 하려면 다음과 같이 고쳐야 합니다.


(2-1).The dish was broken as a result of its fall.

         (그 접시는 깨졌다/ 떨어져서)


분사는 반드시 문장 안에서 어떤 명사나 대명사를 수식해야 함을 기억합시다. 그리고 수식을 하는 분사와 받는 명사 사이에는 논리적으로 의미가 통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분사구문의 논리적인 관계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