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towards 의미 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전치사 to, toward(s)를 공부하겠습니다.

 

전치사 to, towards는 방향을 나타내며, 의미가 비슷해서 혼동됩니다.

두 단어의 의미를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의미 정리

2. 방향을 타낼 때

3. 대상에 대한 태도를 나타낼 때

4. 연습문제 다운로드


시작하겠습니다!

1. 의미 정리

먼저 두 단어의 의미를 간단하게 정리해 봅시다. 

  • to : (목적지를 향해서) ~로, ~쪽으로
  • toward(s) : (방향을 향해서) ~쪽으로

    (toward는 미국에서, towards는 주로 영국에서 쓰이며 의미차이는 없습니다)

 

예문을 보면서 자세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2. 방향을 타낼 때 

To는 도달하려고 하는 ‘명확한 목적지’ 앞에 사용합니다. 이에 대하여 towards는 ‘대략적인 방향만을 나타냅니다.

 

예문을 봅시다.

 

 

(1) I walked to the church (and arrived there).

     (해석: 나는 교회로 걸어갔다)

     (속뜻: 교회에 가기 위하여 걸어갔다)

 

(2) I walked towards the store to find my friend's house.

     (해석: 나는 교회 쪽으로 걸어갔다/ 친구 집을 찾기 위하여)

     (속뜻: 교회 쪽으로 가면 친구 집이 있다)

 

(1)번에서는 목적지가 교회이기 때문에 to를 썼습니다. 그렇지만 (2)번에서 교회는 목적지가 아니라, 친구 집이 있는 방향만을 알려 줍니다. 그러므로 towards를 썼습니다.

 

 

예문을 조금 더 봅시다.

 

(3) He wrote a love letter to her.

     (그는 연애 편지를 썼다/ 그녀에게)

     (특정한 대상이 있으므로 to)

 

(4) She had her back to me.

     (그녀는 등을 돌리고 있었다/ 나에게)

(4-1) She had her back towards me.

        (그녀는 등을 돌리고 있었다/ 내 쪽으로)

대상의 명확성을 고려할 때 웬지 (4-1)번의 그녀가 더 화난 것 같습니다.

 

명확한 대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to는 devote, commit 등의 단어들과 잘 어울립니다.

 

(5) He devoted his life TO helping poor people. (towards는 안 됨)

   = He is committed TO helping poor people.

     (그는 헌신했다/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데)

 

‘헌신한다’는 것은 ‘명확한 목표’를 정해서 하는 행동입니다. 그러므로 to가 어울립니다. 막연한 towards는 devote 등과 쓸 수 없습니다.

 


 

3. 대상에 대한 태도를 나타낼 때 

To, towards는 추상적인 대상 앞에서는 별 의미차이 없이 사용됩니다.

(life, death, love, peace 등)

 

(1) His attitude towards life is different from mine.

(2) His attitude to life is different from mine.

     (그의 삶에 대한 태도는 다르다/ 나와는)

 

(1), (2)번은 큰 의미차이가 없습니다. 단지, 추상 명사 앞에서 ‘~대하여’를 뜻할 때는, to보다 towards를 더 많이 씁니다.


 

4. 연습문제 다운로드

위에서 공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to toward 연습문제.pdf
0.27MB
to toward 연습문제 - 정답.pdf
0.27MB

 

그럼 이상으로 to, towards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제가 쓴 전치사 책입니다. 전치사를 외우지 않고 이해하면서 학습하는 책입니다. 다양한 전치사를 외우느라 지친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yond, past 의미차이  (1) 2014.02.27
beside, by, near  (2) 2014.02.26
형용사들의 순서  (8) 2014.02.24
부정관사의 의미  (5) 2014.02.22
부사들의 순서  (2) 2014.02.21

[6] 형용사들의 순서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형용사들의 순서를 공부하겠습니다.



1. 형용사들의 순서 원칙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하는 가장 일반적인 어순은 다음과 같습니다.


관사(한정사) + 형용사 + 명사


그런데 관사와 명사 사이에, 다음과 같이, 형용사들이 여러 개 올 수도 있습니다.


ex) the first two black Korean sports cars

 

이 경우 형용사들의 순서를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여타 문법책에서 하는 것처럼 형용사의 종류를 나누어서 배열하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이 경우에는, 가상의 상황을 만들어 억지로 규칙에 꿰어 맞추는 것보다 상식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됩니다. 그래서 간단하고 상식적인 규칙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중요한 형용사일수록 명사 가까이 놓는다



2. 활용


직접 단어들을 나열해 봅시다.


위 예문에서 가장 중요한 말은 명사인 sports car입니다. 이 차는 검은 스포츠 카 일까요, 한국 스포츠 카 일까요? 국적을 나타내는 Korean black보다는 중요한 형용사입니다. 그러므로 Korean black보다 명사에 가까이 위치합니다. 그리고 관사는 가장 약한 형용사이므로 언제나 맨 앞으로 갑니다.


the black Korean sports car

 

수사는 관사보다는 강하지만 일반 형용사보다는 약한 말입니다. 그런데 기수와 서수가 함께 올 때는 항상 서수를 먼저 써줍니다. 그럼 다음과 같은 표현이 나오게 됩니다.


the first two black Korean sports car.


위 표현에서 특별히 검은색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으면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다음과 같이 써도 됩니다.

the first two Korean black sports car.


형용사들이 여러 개 연속해서 올 경우에는, 중요한 형용사일수록 명사 가까이 써주면 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형용사들의 순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side, by, near  (2) 2014.02.26
to, toward, towards 의미 차이  (6) 2014.02.25
부정관사의 의미  (5) 2014.02.22
부사들의 순서  (2) 2014.02.21
전치수식, 후치수식  (11) 2014.02.19

2. 부정관사의 의미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부정관사의 의미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부정관사는 특별하게 정해지지 않은 것 중의 하나를 뜻합니다.



(1) 아무거나 하나 (막연하게 하나)


I need a pen.

  = I need ONE pen.

   (펜이 하나 필요해)


번에서는 아무 펜이나 상관없습니다. 이 경우 부정관사 ‘a’‘one(하나)’의 약한 의미를 가집니다. 예문에서 보듯이, ‘a’‘one’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I feel lonely. I need a lover.

-1. I feel lonely. I need ONE lover.

  (나 외로워. 나는 연인이 필요해)


번 역시 아무 연인이나 하나를 뜻합니다. 주의할 것은 ②-1번과 같이 말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이 경우에 one을 쓰면 뜻이 너무 강해집니다. 웬지 연인을 수단으로 생각하는 부정적 뉘앙스마저 줍니다.


위에서 보았듯이, ‘아무거나 하나는 부정관사 ‘a(n)’의 고유한 용법입니다.



(2) ~중의 하나 (집단 중에 하나)


‘a(n) + 단수명사는 어떤 집단 중의 하나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역시 ‘a(n)’정해지지 않은 하나입니다.


 My wife is a teacher in college.

-1. My wife is ONE teacher in college. (?)

-2. My wife is one of the teachers in college.  (o)

   (내 아내는 대학교 선생님이다)


번에서 ‘a teacher’는 특별한 선생님이 아닙니다. 그저 선생님이라는 집단 중에서 한 명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①-1에서 보듯이, 부정관사가 집단전체 중 한 명을 나타낼 경우에는 one으로 바꾸면 의미가 어색해 집니다①-2와 같이 ‘ one of the teachers’로 바꾸어야 의미가 통합니다.


(1)아무거나 하나일 때와 비교해 보면 (2)번의 의미가 더 잘 이해 됩니다.


‘~중의 하나를 뜻하는 ‘a + 단수명사예문들입니다.

 My son is an elementary student.

   (내 아들은 초등학생이다)

 He is a painter.

   (그는 화가이다)


예문에서 보듯이 ‘~중의 하나를 나타내는 ‘a + 단수명사는 대상의 정체성을 밝힐 때 자주 쓰입니다.



(3) 전부 다  - .(집단 전체, 종족 대표)


 A teacher is not always better than a student.

   (선생님이 항상 나은 것은 아니다/ 학생보다)


번에서 ‘a teacher’는 선생님 집단 전체를 나타냅니다. 이와 같은 ‘a + 단수명사, 집단 전체를 나타낸다는 의미로 종족 대표라고 합니다.


그런데 ‘a + 단수명사종족 대표로 쓸 경우 다음과 같은 경우 문제가 발생합니다.


 A teacher (is /are) respected people.

   (선생님은 존경 받는 사람들이다)


번에서 ‘A teacher’는 문맥상 선생님 한 사람이 아니라 선생님 전체입니다. 이러한 경우 단수로 취급할까요, 복수로 취급할까요?


이렇게 애매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영어에서는 집단 전체를 나타낼 때 부정관사 + 단수명사를 잘 쓰지 않습니다. 대신에 보통명사의 복수형을 씁니다.

ex) Teachers are respected people.



그럼 이상으로 부정관사의 의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 toward, towards 의미 차이  (6) 2014.02.25
형용사들의 순서  (8) 2014.02.24
부사들의 순서  (2) 2014.02.21
전치수식, 후치수식  (11) 2014.02.19
부정대명사 none  (8) 2014.02.18

부사들의 순서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부사들의 순서를 공부하겠습니다.


난이도

★★★☆☆


부사()들은 종종 연속해서 사용됩니다. 이 경우, 부사들의 순서는 의미상 중요도와 문법에 의해 결정됩니다.

 

1. 의미상 중요도


의미가 더 중요할수록 수식 받는 동사 가까이 둡니다.


(1) We had a party at the club in the town.

   (우리들은 파티를 했다/ 클럽에서/ 시내에 있는)


이 문장에는 두 개의 부사구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더 중요한 정보는 클럽에서입니다. 좀 더 자세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at the club’‘in the town’보다 앞에 왔습니다. 수식을 받는 동사 ‘had’에 더 가까이 둔 것입니다.


예문을 더 봅시다.

(2) We had a date on Monday this week.

   (우리는 데이트했다/ 월요일에/ 이번 주)


(2)번에서도 구체적인 정보를 담고 있는 ‘on Monday’가 더 중요한 정보입니다. 그러므로 덜 구체적인 ‘this week’ 앞에 써 주었습니다.


부사()가 연속해서 올 때는 의미상 더 중요한 정보를 앞에 써 줍니다.



2. 시간적 공간적 크기


시간적 공간적으로 작은 부사를 큰 부사 앞에 써 줍니다. 이 부분은 1번에서 설명한 의미상 중요도와 일맥 상통합니다. 보통은 작은 부사들이 더 구체적이기 때문에 정보적 중요성이 더 큽니다.


(1) 장소, 방향 부사들의 연속

장소부사()들이 연속될 때는 좁은 장소넓은 장소앞에 옵니다.


We had a party at the club in the town.

이 부분은 전치사의 의미와 일맥 상통합니다. 전치사 at은 좁은 장소에, in은 넓은 장소에 쓰입니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at 부사구‘in 부사구앞에 옵니다.


방향을 나타내는 부사들이 연속될 경우에도 작은 것을 먼저 써 줍니다.

② We walked the first step toward our goal.

   (우리는 걸어갔다/ 첫 걸음을/ 우리의 목표를 향해서)

‘the  first step’‘toward our goal’보다 훨씬 더 작고 구체적이므로 앞에 썼습니다.

 

(2) 시간 부사들의 연속

시간부사들도 작은 시간대큰 시간대앞에 써 줍니다.


① We had a date on Monday this week.

‘on Monday’‘this week’보다 작은 시간대이므로 더 앞에 써 주었습니다.

 

②  I was born at January 27 in 1990.

   (나는 1 27일에 태어났다/ 1990년에)

마찬가지로 더 작은 시간대인 ‘at January 27’을 보다 큰 시간대인 ‘in 1990’ 앞에 써 주었습니다.

 

시간 부사구와 부사절이 연속해서 올 수도 있습니다. 부사구와 부사절이 연속될 경우에는 더 길고 무거운부사절을 뒤에 써 줍니다.

 

③ We went through in the eighties when the world was turbulent.

   (우리들은 80년대를 살았다/ 세계가 심하게 요동칠 때인)


그럼 이상으로 부사들의 순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용사들의 순서  (8) 2014.02.24
부정관사의 의미  (5) 2014.02.22
전치수식, 후치수식  (11) 2014.02.19
부정대명사 none  (8) 2014.02.18
that of, those of  (10) 2014.02.17

전치수식과 후치수식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전치수식과 후치수식을 공부하겠습니다.


난이도

★★☆☆☆



1. 일반적인 형용사의 후치수식


형용사는 일반적으로 수식하는 명사 앞에 옵니다. 그렇지만 어떤 경우에는 수식하는 명사 뒤에 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형용사의 후치수식이라고 합니다.


(1) an invisible man  (지속적)

(2) a man invisible  (일시적)

    (= an hand which is invisible)

(2)번은 주격관계대명사 + be동사가 생략된 형태입니다.)


(1)번과 같이 명사 앞에 오는 형용사는 지속적인 상태나 성질을 나타냅니다. (1)번은 평소에도 안 보이는 사람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2)번은 일시적인 상태를 나타냅니다. 평소에는 보였는데, 무슨 이유에선지 지금은 안 보인다라는 의미입니다.

 


2. 후치수식해야 하는 경우


다음 상황에서는 반드시 형용사를 명사 뒤에 써야 합니다.


(1) ‘-thing, -body’, ‘-one’, ‘-where’ + 형용사]

   something nice, anywhere near

 

(2) 공식화된 표현

 Attorney General (법무 장관)      heir apparent (법정 상속인)

 God Almighty! (하느님 맙소사!)  Poet Laureate (계관시인)

 President elect (대통령 당선자)    Secretary General (사무총장)

 

(3) 수량형용사

ten years old (1o)                  twenty meters high (20미터 높이)

ten feet wide (10피트 넓이)         twenty feet long (10미터 길이)

 

(4) 수식어구()이 명사를 수식할 때

수식어구가 명사를 수식할 때는, 그 명사 뒤에 위치 시킵니다.

1 He has friends to rely on.

1-1 He has to rely on friends.

 

수식어구를 명사 앞에 쓰면 1-1번과 같이 무슨 말인지 알 수 없게 되어 버립니다. 그러므로 수식어구나 절은 명사 뒤에 놓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형용사 후치수식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정관사의 의미  (5) 2014.02.22
부사들의 순서  (2) 2014.02.21
부정대명사 none  (8) 2014.02.18
that of, those of  (10) 2014.02.17
another 용법정리  (3) 2014.02.16

 부정대명사 none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부정대명사 none을 공부하겠습니다.




None은 대명사이기 때문에 단독으로 쓰일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none (부정대명사) : 아무도 ~않다, 어떤 것도 ~않다


 

1. 단독으로 쓰이는 none


no는 형용사이므로 주로 명사 앞에서 사용되며, 단독으로 쓰일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none은 대명사이므로 혼자서 쓰일 수 있습니다.


(1) Half a loaf is better than none.

    (반 덩어리가 더 낫다/ 아무것도 없는 것보다)

(2) There were none present except you.

    (아무도 안 왔다/ 너를 제외하고는)


(1),(2)번에서 none는 특정한 대상을 지칭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경우에는 no를 쓸 수 없습니다. 이렇게 단독으로 쓰이는 none은 ‘no one, nobody’보다 격식을 갖춘 말입니다.

 

의미가 분명한 경우에도 none을 단독으로 쓸 수 있습니다.

(3) How many books have you read?

    None.

    (책을 얼마나 많이 읽었지?)

    (한권도 안 읽었어)

 


2. 명사와 함께 쓰이는 none


none은 대명사이기 때문에 명사 바로 앞에 올 수 없습니다. none을 명사와 함께 쓰려면 반드시 'none of 한정사 명사‘의 형태를 취해야 합니다. 'none of' 다음에는 복수명사와 단수명사가 올 수 있습니다.

 

(1) none of 한정사 복수명사

특정한 그룹에서 그 각각의 개별 구성원()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말할 때는 'none of 한정사 복수명사‘를 사용합니다. 이 때 'none of 한정사 복수명사’는 복수 취급합니다.


① 1 None of the answers are correct.

    (이 답들 중에 어느 것도 맞지 않다)

② None of these medications worked.

    (이 약들 중에서 어느 것도 효과가 없었다)

 

(2) none of 한정사 단수명사

'none of‘ 다음에 셀 수 없는 명사의 단수형이 올 수도 있습니다. 당연히 단수 취급합니다.


① None of this water is drinkable.

    (이 물들은 전혀 마실 수 없다)

② None of the furniture is clean.

    (어떤 가구도 깨끗하지 않다)

 


3. none neither


none은 주로 셋 이상, neither은 둘에 사용됩니다.


(1) None of my friends came.

    (내 친구 중에서 누구도 오지 않았다)

(2) Neither of my friends came.

    (내 친구 둘 다 안 왔다)

 

(1),(2)는 모두 부정을 나타내지만 의미가 다릅니다. (1)번에서는 친구가 셋 이상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지만 (2)번은 친구가 두 명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2)번에서 neither대신에 none을 쓰면 안 됩니다. ‘둘’을 부정할 때는 neither를 써야합니다.

 


그럼 이상으로 대명사 none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사들의 순서  (2) 2014.02.21
전치수식, 후치수식  (11) 2014.02.19
that of, those of  (10) 2014.02.17
another 용법정리  (3) 2014.02.16
within, in, after 미래표현  (2) 2014.02.12

that of ~, those of ~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that of ~, those of'구문을 공부하겠습니다.



‘that of ~’, ‘those of ~’은 앞에 나온 명사를 대신하는 대명사 구문입니다. 자주 쓰이는 중요한 구문이니 철저하게 익혀 두시길 바랍니다.


난이도

★★★☆☆



1. that of ~, those of ~


앞에 나온 명사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사용하는데, 단수일 경우에는 ‘that, 복수일 경우에는 ‘those’를 씁니다.

(1) The cost of living in Seoul is higher than that of Shanghai.

   (서울의 생활비는 더 높다/ 상하이의 그것 보다)

(2) Korean car sales surpassed those of U.S.

   (한국 차 판매는 앞질렀다/ 미국의 것들을)

 

(1)번에서 that‘the cost of living’을 대신합니다. ‘the cost’가 단수이므로 단수 대명사 ‘that’을 썼습니다.

(2)번에서 those‘Korean car sales’를 대신합니다. ‘sales’가 복수 형태이므로 복수 대명사 those를 썼습니다.

 


2. 주의할 점


이 용법에 쓰이는 those(that)에서는 두 가지가 중요합니다.


(1) 반드시 that of, those of를 쓴다..


 당연한 말 같지만 의외로 잘 틀리는 부분입니다. 예문을 봅시다.

① The cost of living in Seoul is higher than Shanghai.  (x)

     (서울의 생활비는 더 높다/ 상하이 보다)


은 언뜻 보면 틀린 곳이 없어 보입니다. 그런데 잘 살펴보면 비교하는 대상이 잘못되었습니다. ‘서울의 생활비를’ ‘상하이에 비교하고 있습니다. ‘서울의 생활비상하이의 생활비에 비교되어야 합니다. 비교하는 대상은 반드시 같아야 합니다.

 

비교하는 대상을 같게 하면 다음과 같은 문장이 나옵니다.

1-1. The cost of living in Seoul is higher than the cost of Shanghai.

여기서 반복되는 ‘the cost’를 대명사 ‘that’으로 바꾼 것입니다.

 

(2) 선행사가 복수이면 those를 쓴다.


예문을 봅시다.

 Elephants’ ears are larger than that of humans.  (x)

-1. Elephants’ ears are larger than those of humans.  (o)


번에서 비교되는 대상은 귀들(ears)’입니다. 복수형을 대신함으로 those가 와야 합니다. 복수에 맞게 고치면 ①-1번과 같이 됩니다. 선행사가 복수이면 반드시 복수 대명사 those를 써야 합니다 .

 

이상으로 that of, those of 구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치수식, 후치수식  (11) 2014.02.19
부정대명사 none  (8) 2014.02.18
another 용법정리  (3) 2014.02.16
within, in, after 미래표현  (2) 2014.02.12
since, after 의미차이  (8) 2014.02.10

another의 용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대명사로 사용된 another를 살펴 보겠습니다.



1. another (또 다른 것)


이 것 말고 다른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another는 단수입니다.


(1) I don’t like this one; show me another.

   (이것은 마음에 안 들어; 다른 것 보여줘)


단수가 아닌 복수의 ‘다른 것들’일 경우에는 ‘others’를 씁니다.

(1-1) I don’t like this one; show me others.

      (이것은 마음에 안 들어; 다른 것들 보여줘)


another, others는 모두 ‘다른 것’을 나타냅니다. Another는 단수, others는 복수라는 것만 다릅니다.



2. one, another, the other 

(하나는, 또 하는, 나머지 하나는)


세 개의 대상을 설명할 때는 ‘one, another, the other’를 사용합니다.


(1) I have three favorite books. One is Don Quixote. Another is Sherlock Holmes.

The other is Harry Porter.

(내가 아주 좋아하는 책이 세 권 있다. 하나는 돈키호테이다. 또 하나는 셜록 홈즈이고, 나머지 하나는 해리 포터이다)


(1)번에서 the other는 세 번째를 나타내는 ‘the third’로 바꾸어 쓸 수도 있습니다.



3. A is one thing, B is another

(A와 B는 별개의 것이다)


A, B 두 대상이 서로 다름을 나타낼 때는 ‘A is one thing, B is another’ 구문을 사용합니다.

ex) To know is one thing, but to practice it is another.

     (아는 것과 실행하는 것은 별개의 것이다)



그럼 이상으로 대명사 anothe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정대명사 none  (8) 2014.02.18
that of, those of  (10) 2014.02.17
within, in, after 미래표현  (2) 2014.02.12
since, after 의미차이  (8) 2014.02.10
after, later 의미차이  (0) 2014.02.09

within, in, after 미래표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미래 시간을 나타내는 within, in, after를 보겠습니다.



난이도 

★★★★☆



within, in, after



※ 다음 예문들을 봅시다.

1. I'll finish this work within three days.

2. I'll finish this work in three days.

3. I'll finish this work after three days. (?)


이 세 문장의 의미를 정확히 구별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일단 위 예문들을 뉘앙스에 맞게 우리말로 옮겨 보겠습니다.


1. I'll finish this work within three days.

 → 나는 이 일을 3일 내에 끝내겠다.

이 문장에서 within은 어렵지 않습니다. ‘3일 내로 끝내겠다’고 했을 때는, 3일만 넘기지 않으면 됩니다. 하루 만에 끝낼 수도 있고, 이틀 만에 끝낼 수도 있습니다.


2. I'll finish this work in three days.

→ 나는 이 일을 3일 후에 끝내겠다.

이 문장이 어렵습니다. ‘in'은 우리말로 ’~안에‘가 됩니다. 그러므로 위 문장도 ’나는 이 일을 3일 안에 끝내겠다‘가 될 것 같습니다. 즉, 1번 within과 의미가 같아 보입니다. 그렇지만 in은 ’3일 후‘를 의미합니다. 일을 끝내는 데는 최소한 3일이 걸립니다. within처럼 3일이 덜 지나도 일을 끝낼 수는 없습니다.


3. I'll finish this work after three days. (?)

   (나는 이 일을 3일 후에 끝낼 것이다)

이 문장은 2번과 의미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그러나 문법적으로 잘못된 문장입니다. after 단독으로는 현재를 기준으로한 미래에 쓰일 수 없습니다. after는 반드시 기준점과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3번을 문법에 맞게 고쳐 보겠습니다.

 

3-1. I'll finish this work after tree days from now. (o)

(나는 이 일을 끝내겠다/ 지금부터 3일 후에)

기준점 'from now'를 넣으면 옳은 문장이 됩니다. 그런데 3-1의 밑줄 친 부분은 'in three days'와 의미가 같습니다. 다시 말하면, 미래를 표현하는 in은 ‘지금부터 ~후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위에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within, in, after 미래 표현


1. within : ~ 내에 (그 기간 안에도 할 수 있다)

2. in : ~ 후에 (최소한 그 기간은 지나야 한다)

3. after : 단독으로는 in과 같은 의미를 가질 수 없다. 반드시 기준점과 함께 사용된다.


각 단어별로 예문을 하나씩 더 보겠습니다.

1. within

ex) You will receive a reply within a week.

     (당신은 답장을 받을 것입니다/ 일주일 내에)


2. in

ex) We'll start in a week.

     (우리는 일주일 후에 출발할 거야)

     (말하는 때를 기준으로 일 주일 후에)


3. after

ex) We'll go there after a week from now.

     (우리는 거기에 갈거야/ 지금부터 1주일 후에)



주의

3번은 틀린 문장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같은 뜻을 가진 2번보다 길고 쓸데없이 복잡합니다. 같은 의미를 지닌 말을 이유 없이 길게 늘어놓을 필요는 없습니다. 같은 의미라면, 3번보다 는 2번을 쓰는 것이 더 좋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within, in, afte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at of, those of  (10) 2014.02.17
another 용법정리  (3) 2014.02.16
since, after 의미차이  (8) 2014.02.10
after, later 의미차이  (0) 2014.02.09
when, whenever 의미 차이  (3) 2014.02.06

since, after 의미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after, since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



since, after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별 생각없이 썼던 단어들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after와 since도 그렇습니다. 두 단어 모두 ‘과거 이후’를 표현하지만 뉘앙스가 다릅니다. 비영어권 학습자인 우리들은 이해한 다음 외울 수밖에 없습니다. 약소국(?)에 태어난 설움인가요?


시간을 나타내는 after와 since를 공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예문을 통해서 익히는 것입니다. 다음 문장들을 보면서 두 단어의 차이를 알아봅시다.


과거 이후를 표현하는 since, after

(1) Since his birth, the prince has attracted media attention. (o)

    (그가 태어난 이후로, 그는 언론의 주의를 끌었다)

(2) After his birth, the prince attracted media attention. (o)

    (그가 태어난 후, 왕자는 언론의 주의를 끌었다)


(1),(2)번은 둘 다 맞는 문장입니다. 두 문장을 잘 보면 주절의 시제가 다릅니다. since가 사용된 (1)번에서는 주절에 현재완료를 썼습니다. 그런데 after가 사용된 (2)번에서는 단순과거시제를 썼습니다.


since는 어떤 동작이나 상태가 ‘과거에서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다시 말하면 since는 ‘과거에서 현재까지 계속’을 나타냅니다. 이에 대하여 after는 단지 ‘어떤 사건이 과거의 특정한 시점 이후에 발생했음’만을 나타냅니다. 즉, after가 나타내는 과거는 현재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현재완료와 과거시제의 의미를 잠깐 봅시다. 현재완료는 과거에서부터 지금까지 어떤 동작이나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것을 말합니다. 과거시제는 현재와 관련이 없는 과거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since는 과거에서 현재까지 계속을 나타내는 현재완료와 함께 사용됩니다. 그리고 단순히 after는 현재와 관련이 없으므로 과거시제와 함께 사용합니다.




간단하게 과거 이후를 표현하는 since와 after를 정리해 봅시다.



과거 이후를 표현하는 since, after


since : ~ 이후로 (과거의 어떤 사건이후로 현재까지 계속)

            (현재완료와 함께 쓴다)

after : ~ 후에 (단순하게 과거의 어떤 사건 이후)

           (단순 과거시제와 함께 쓴다)




문제를 풀어 보면서 확실하게 익혀 봅시다.


문제풀이


※ 다음에서 잘못된 부분을 바르게 고치시오.

(1) After 1980, Chin's GDP has increased rapidly.

    (1980년 이후로, 중국의 GDP는 빠르게 증가해왔다)

(2) Since we got married, you changed so much.

    (우리가 결혼한 이후로, 당신은 많이 변했다)

 

정답

(1)번 : After → Since, 또는 'has increased → increased

(2)번 : Since → After, 또는 changed → has changed

 

(1)번 해설

① after를 since로 바꾼다.

(1)번에서 after는 현재완료와 함께 쓸 수 없으므로 since로 바꾸어야 합니다.

② 'has increased → increased

또는 after는 과거와 사용되므로 현재완료인 'has increased'를 과거인 'increased‘로 고치면 됩니다.


(2)번 해설

① Since → After

(2)번에서, 주절의 과거시제(changed)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은 after입니다. 그러므로 Since를 After로 바꾸어야 합니다.

② changed → has changed

또는 (2)번에서 since는 현재완료와 함께 사용되므로, 주절의 changed를 ‘have changed'로 고쳐야 합니다.




그럼 이상으로 since, afte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other 용법정리  (3) 2014.02.16
within, in, after 미래표현  (2) 2014.02.12
after, later 의미차이  (0) 2014.02.09
when, whenever 의미 차이  (3) 2014.02.06
명사절 주어  (8) 2014.02.05

after, later 의미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after, later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

 

1. after : 부사


※ 다음 우리말을 영어로 옮겨 봅시다.

    “나중에 보자.”

(1) See you later. (o)

(2) See you after. (x)


영어를 공부하는 한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을 표현들입니다. 그런데 왜 (2)번은 잘못 되었을까요?


어쩔 수 없이 약간의 문법적 설명이 필요합니다.


(2)번에서 after는 문맥상, 동사 see를 수식하는 부사역할을 합니다. 의미는 ‘나중에’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after는 현대 영어에서, 독립적인 부사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2. after 부사구


after는 다음과 같은 표현들에서만 부사로 사용됩니다.

 

① not long after : 오래지 않아, 곧

    ex) The police came not long after

         (경찰이 왔다/ 곧)

② shortly after : 직후에

    ex) Shortly after he left, she came into the room.

         (그가 떠난 직후에, 그녀가 방에 들어 왔다)

③ soon after : 곧

    ex) She died, and soon after he died too.

         (그녀가 죽고, 곧 그도 죽었다)

 


3. afterwards : 나중에


특히 미국 영어에서 'afterwards'는 ‘나중에’라는 부사로 쓰입니다.


(1) Afterwards he apologized for what he said.

    (나중에 그는 사과했다/ 그가 말한 것에 대해)


(2) Let's study now and eat out afterwards.

    (지금은 공부하고 외출은 나중에 하자)

 


4. 영작


지금까지 공부했던 것을 영작을 통해 정리해 봅시다.

 

※ 다음 우리말을 영어로 옮기시오.

(1) 나는 그를 일주일 후에 만났다.

① I met him a week later. (o)

② I met him a week afterwards. (o)

③ I met him a week after. (x)

 

(2) 그는 3주 후에 집으로 돌아왔다.

① He returned home three weeks later. (o)

② He returned home three weeks afterwards. (o)

③ He returned home three weeks after. (x)

 

그럼 이상으로 after, late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thin, in, after 미래표현  (2) 2014.02.12
since, after 의미차이  (8) 2014.02.10
when, whenever 의미 차이  (3) 2014.02.06
명사절 주어  (8) 2014.02.05
if, when 차이  (2) 2014.02.04

티스토리 초대장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달에도 티스토리 초대장을 배포합니다. (2014 3월 25일~)



초대장 12장


12장이 나왔군요.  


초대장을 원하시면 댓글에 다음 내용을 써주세요. (^ ^)

뭐, 특별한 것은 아닙니다. 


1. 블로그를 만들려고 하는 이유.

2. 이메일 주소


정성껏 써주시는 분께 바로 초대장 보내드리겠습니다.


그럼 안녕~



when, whenever 의미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when, whenever를 공부 하겠습니다.



when, whenever


when, whenever는 둘 다 시간을 나타내기 때문에 종종 혼동을 일으킵니다. 우선 간단하게 when, whenever의 의미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 when

    한 번, 확실한 때

■ whenever

    여러 번, 불확실한 때


when과 whenever를 구별하는 기준은 ‘반복성, 확실성’ 여부입니다.


when은 ‘한 번’ 발생한 사건을 말합니다. 그리고 when은 시간이 정해진 ‘확실 한 때’를 나타냅니다.


whenever는 ‘여러 번’ 반복되는 사건을 말합니다. 그리고 when과는 달리, 정해지지 않은 ‘불확실한 때’를 나타냅니다.



1. 한 번을 나타낼 때


한 번을 나타낼 때는 whenever를 쓸 수 없습니다.


(1) When the actor died, every girl cried. (o)

    (그 배우가 죽었을 때, 모든 여자가 울었다)

(2) Whenever he was died, everybody cried. (x)

    (그 배우가 죽었을 때 마다, 모든 여자가 울었다?)


die라는 것은 한 번 밖에 할 수 없는 행위입니다. 그러므로 (2)번과 같이 die와 whenever를 함께 쓰면 이상한 문장이 되어 버립니다. 한 번을 나타내는 경우 whenever는 when을 대신할 수 없습니다.



2. 확실한 때


확실한 때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whenever를 쓸 수 없습니다.


(1) When you left yesterday, it was raining. (o)

    (너가 어제 떠났을 때, 비가 내리고 있었다)

(2) Whenever you left yesterday, it was raining. (o)

    (너가 어제 떠날 때마다, 비가 내리고 있었다?)


yesterday는 ‘확실한 때’입니다. whenever는 ‘불확실한 때’를 나타내기 때문에 '확실한 때‘를 나타내는 표현들과 함께 쓸 수 없습니다. (2)번을 보면 아예 말이 되지 않습니다.

 


3. 여러 번


Whenever는 여러 번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상황에 사용됩니다.


(1) Whenever he visits us, he brings wine. (=every time)

    (그가 우리를 방문할 때마다, 그는 와인을 가져온다)


이 때 whenever는 every time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반복을 나타내는 whenever 대신에 when을 써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1-1) When he visits us, he brings wine. (o)

      (그가 우리를 방문할 때, 그는 와인을 가져 온다)

 


4. 확실하지 않은 때


Whenever는 확실하지 않은 때를 나타냅니다. 이 경우에도 whenever 대신에 when을 쓸 수 있습니다.


(1) You can call me whenever you need help.

    (연락해라/ 도움이 필요할 때마다)

(2) You can call me when you need help.

    (연락해라/ 도움이 필요할 때)


(1)번은 불확실한 때를 나타냅니다. 언제 도움이 필요할지 알 수 없지요.. (1)번은 ‘도움이 필요하면 언제나’라는 의미입니다.


(2)번과 같이 when을 쓸 수도 있습니다. when은 ‘확실하게 정해 진 때’를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2)번은 ‘조만간 도움이 필요할 것이 확실시 된다’는 의미도 있겠군요.



지금까지 보셨듯이, whenever는 when으로 대신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when 대신에 whenever를 쓸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을 한 마디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헷갈리면 when을 써라."

 

그럼 이상으로 when, wheneve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nce, after 의미차이  (8) 2014.02.10
after, later 의미차이  (0) 2014.02.09
명사절 주어  (8) 2014.02.05
if, when 차이  (2) 2014.02.04
시간접속사 when  (2) 2014.02.02

명사절 주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명사절 주어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명사절 주어 해석.hwp


5. 명사절 주어


   명사절 주어를 이끄는 표현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That절 주어

(2) wh-절 주어

(3) whether절 주어


여기에서도 다음 원칙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원칙1

주어 → 명사

(주어이면 명사이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원칙도 확실히 기억해야 합니다. 이 규칙은 너무 당연해서인지 일반적인 문법교재에서는 잘 언급되지도 않습니다..


원칙2  

한 문장에는 주어와 동사가 하나씩만 있어야 한다. 주어와 동사를 두 개씩 쓰려면 반드시 접속사가 있어야 한다.


※ 다음 보기들을 봅시다.

(1) The world needs is not more knowledge but more heart.  (x)

(2) All men are equal is a proposition which, at ordinary times, no sane individual has ever given his assent.  (x)


언뜻 보면 의미가 통하는 문장 같지만, 예제(1)-(2)는 명백하게 잘못된 문장입니다. 그렇지만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아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조금 더 살펴보면, 예제1-2)는 ‘한 문장에 주어와 동사는 하나씩만 있어야 한다’는 원칙에 어긋남을 알 수 있습니다.


위 보기들은 다음과 같이 고쳐야 어법에 맞는 문장이 됩니다.


(3) What the world needs(s) is not more knowledge but more heart.  (o)

(4) That All men are equal(s) is a proposition which, at ordinary times, no sane individual has ever given his assent.  (o)


예제(3)에서는 관계대명사 what이 주어절을 이끌고 있는데, 이 때 what은 ‘~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예제(4)에서는 접속사 that이 주어절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 경우에 that은 아무런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어절을 이끄는 접속사의 기능만을 합니다. 예제(3)과 예제(4)에서 주어는 밑줄 친 부분 전체가 됩니다.


주의

주어가 긴 것을 싫어하는 영어의 성격상, 명사절은 어쩔 수 없는 경우가 아니면 주어자리에 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연습문제를 보면서 절이 주어역할을 하는 경우에 대해 공부해 봅시다.

(연습문제에 대한 해석은 첨부 파일로 올려 놓았습니다.)


EXERCISE 1. 명사절 주어.


※ 다음 문장들에서 주어를 찾아 밑줄을 긋고, 우리말로 해석하라.

 

1. What I must do is all that concerns me, not what the people think.

2. Whoever envies another confesses his superiority.

3. What is objectionable, what is dangerous about extremists is not that they are extreme, but that they are intolerant.

4. Whatever happens in accordance with nature should be accounted good.

5. What some call health, if purchased by perpetual anxiety about diet, isn't much better than tedious disease.

6. Whether you win or lose does not matter; whether I win or lose does matter.

7. Whether a man is honest or not can not be known easily. Adversity is the trial.

8. That intelligence has any survival value has yet to be proven.

9. That nothing is certain is only certain.

10. That men do not like to think is a tremendous luck for rulers.

11. Whoever ceases to be a student has never been a student.

12. Whoever gossips to you will gossip about you.

13. Whoever does not love his work cannot hope that it will please others.

14. Whoever desires to found a state and give it laws, must start with assuming that all men are bad and ever ready to display their vicious nature, whenever they may find occasion for it.

15. Whatever is reasonable is true, and whatever is true is reasonable.

16. Whatever is produced in haste goes hastily to waste.

17. Whoever controls the media--the images--controls the culture.

18. Whoever it was who searched the heavens with a telescope and found no God would not have found the human mind if he had searched the brain with a microscope.

19. Whoever said, "It's not whether you win or lose that counts," probably lost!

20. Whoever cultivates the golden mean avoids both the poverty of a hovel and the envy of a palace.



그럼 안녕 ~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fter, later 의미차이  (0) 2014.02.09
when, whenever 의미 차이  (3) 2014.02.06
if, when 차이  (2) 2014.02.04
시간접속사 when  (2) 2014.02.02
종속접속사의 위치  (8) 2014.01.29

if, when 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if, when 차이를 공부하겠습니다.



if, when이 미래를 나타낼 경우에는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1. if, when 의미 차이


좋아하는 상대방에게 date 신청을 했을 때, (1),(2)번과 같은 말을 들었습니다. date할 가능성이 높은 것은 어느 것일까요?


(1) When I have a time, I'll date with you.

    (시간 있을 때, 데이트하자)

(2) If I have a time, I'll date with you.

    (시간 있으면, 데이트하자)


별 차이 없는 것 같지만, (1)번이 데이트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 이유를 알아봅시다.



when, if는 아직 발생하지 않은 미래의 사건을 나타냅니다. 그렇지만 확실성에 차이가 있습니다.


when → certainty (확실성)

if → possibility (가능성)


when은 일어날 것이 확실한 미래 사건에 대해서 사용합니다. 이에 대하여 if는 확실하지 않은 미래 사건에 사용합니다.


(3) When I buy a new car, I'll lend it to you.

→ I'm sure that I will buy a new car ~

   (차 샀을 때 빌려줄게)


(4) If I buy a new car, I'll lend it to you.

→ I'm not sure that I will buy a new car ~

    (차 사면 빌려줄게)


위 예문에서 보듯이 미래 사건에 when을 쓰면, 일어날 것으로 학신하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if를 쓰면 ‘50:50’입니다.


이렇게 미래에 대한 확실성을 나타낼 때는 when, 가능성만을 나타낼 때는 if를 사용합니다. 미래를 나타내는 ‘if, when’ 절에서는 현재시세를 써야 합니다.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이기 때문이죠.


시간과 부사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송성태 영어교실/영문법 1분정리] - 부사절 (시간 조건의 부사절)

[송성태 영어교실/영문법 문제풀이] - 시간 조건 부사절

 


2. if 대신에 when


많은 문장에서 if는 when으로 대신할 수 있습니다.


(1) If you come to Seoul, visit us.

→ As soon as you come to Seoul, visit us.

→ When you come to Seoul, visit us.

    (서울 오면, 우리에게 와라)


if 자리에 ‘as soon as'를 넣어보면 when절로 바꿀 수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예문 (1)번에서는, if 대신에 ’as soon as'를 써도 말이 됩니다. 그러므로 when으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as soon as'나 ‘when'이 둘 다 시간을 나타내는 접속사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다음 문장은 어떨까요?


(2) If it is raining tomorrow, I'll stay home.

→ As soon as it is raining tomorrow, I'll stay home. (x)

    (내일 비가 오자마자, 나는 집에 머물러 있을 것이다) (?)


위 'as soon as' 문장은 말이 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if를 when으로 바꾸어 쓸 수 없습니다. 이것은 조건을 나타내는 if 고유의 용법이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3. if, when 상호교환


예측 가능하고 반복적인 사건을 나타낼 때는 if와 when을 서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1) If you sleep outside, you'll catch a cold. (예측 가능한 사건)

→ When you sleep outside, you'll catch a cold.

    (밖에서 자면 감기에 걸린다)


(2) If I come to New York, I visit my friend. (반복적인 사건)

→ When I come to New York, I visit my friend.

    (뉴욕에 가면, 내 친구를 방문한다)

    (뉴욕에 가면 언제나 ~)


(3) If you heat ice, it melts. (예측 가능한 사건)

→ When you heat ice, it melts.

    (얼음을 가열하면 녹는다)

 


그럼 이상으로 if, when 차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en, whenever 의미 차이  (3) 2014.02.06
명사절 주어  (8) 2014.02.05
시간접속사 when  (2) 2014.02.02
종속접속사의 위치  (8) 2014.01.29
종속접속사와 쉼표  (5) 2014.01.28

"우정에 관하여"

"On  Friendship"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영어로 된 수준 높은 글 한편을 읽어 보겠습니다.

A. Clutton-Brock (1868-1924)이 쓴 'On Friendship'이라는 글입니다. 



내용이 어려우니 우리말 해석을 먼저 읽고 영문을 보시길 바랍니다.


enjoy!


필요하신 분들을 위해 원문  파일을 첨부합니다.


on friendshiiip.hwp


“우정에 관하여”.hwp


“우정에 관하여” (해석)


01

우정은 이성위에 존재한다, 왜냐하면, 비록 당신이 미덕을 친구에게서 찾는다고 해도, 당신이 미덕을 발견하기 전부터 당신의 친구였기 때문이다. 우정이란 우리가 줘야만 하기 때문에 주는 것이다; 우정을 미덕에 대한 보상으로 주는 것은 우정에 가격을 매기는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하는 사람은 전혀 우정을 주지 못한다. 만약 당신이 친구를 선택하는 이유가 당신이 덕이 있기 때문에 덕이 있는 친구를 원한다면, 당신이 상업적인 이유 때문에 친구를 선택하는 것만큼이나 당신은 진정한 우정에 가까이 갈수도 없다. 게다가, 당신이 누구이기에 우정에 가격을 매기는가? 그가 어떤 사람이던지 충분히 친구를 가질 신성한 힘을 가지고 있으며, 그는 그러한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스로의 친구를 선택할 수 있어야만 한다. 왜냐하면, 만약 당신이 미덕을 가진 사람들을 당신의 친구로 선택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들이 당신을 선택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진정, 우정은 계산적인 선택이 없어야 자랄 수 있다. 그것은, 마치 잠처럼, 당신이 그것에 대하여 생각하지 않을 때 온다; 그리고 당신은 두려움 없이, 우정이 왔을 때에는 감사해야 한다.

 

 

02

그래서 우정이 무엇인지 아는 사람은 절대 친구를 포기하지 않는다. 비록 그 친구가 존경받을 자격이 없음이 드러났더라도. 그가 친구를 포기하는 유일한 이유는 친구가 더 이상 좋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러한 일이 일어나면, 그는 인간이기에 어쩔 수 없는 애정의 부족을 탓하며 자신을 비난해야 한다. 결코 가치 없다고 드러난 친구를 비난해서는 안 된다. 어떤 사람이 당신에게는 친구가 될 자격이 없다고 말하는 것은 잔인한 짓이다. 이것은 마치 어떤 여자에게, 당신이 그녀를 더 이상 사랑하지 않게 되었을 때, 그녀는 당신의 사랑을 받을 자격이 없다고 말하는 것과 같다. 우정과 사랑에서 우리는 항상 겸손해야 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아낌없는 선물이 우리에게 주어졌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러한 겸손함을 잃는 것은-우정이나 사랑을 잃음으로써-부끄러워해야 마땅한 상황에서 자부심을 느끼는 것이다.

 

 

03

우리는 판단하고 벌하는 것을 정치적으로 제도화 시켜 놓았다. 이러한 제도는 우리가 살아가기 위하여 우리에게 강제된 것이다; 그러나 우정이 진정한 우정이 되려면 이러한 판단이나 형벌이 우리의 삶의 일부라는 것을 가르쳐 주어야만 한다. 그들은 우리 삶의 일부이어야만 한다: 우리는 사람들에게 돈을 주고, 심홍색 옷과 가발을 입혀서, 판사석에 앉아 다른 사람들을 판단하게 한다. 그래서 우리 역시 이러한 판단을 우리 스스로 내리고 싶어 한다, 비록 아무도 우리에게 그렇게 하라고 하지 않아도. 오직 우정 속에서만, 우리는 판단이라는 것이 얼마나 냉혹한 것이며 판단을 즐거워하는 것이 얼마나 멍청한 것인가를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우리는 이러한 따뜻함을 긍정적이고 풍요한 우리의 본성이라고 인식하는 반면에, 판단을 내리는 것은 형편없는 것이라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예술작품을 비판하는 것이 그것을 더 이상 경험하지 못할 때 시작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가 친구를 비판하는 것은 더 이상 우정을 경험하지 못하고, 우리의 마음이 더 이상 최고의 친밀함을 느끼지 못할 때 시작된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은 해롭지 않다, 만약 우리가 그것이 자연스러운 반응이라는 것과, 따뜻함 뒤에 따르는 냉혹한 발작이라는 것을 알고, 만약 우리가 냉혹함이 따뜻함보다 더 현명한 것이 아니라는 것만 알고 있다면.


04

어떤 사람들은 그들의 친구들이 완벽하다는 환상이 없다면 친구가 될 수 없다, 그리고 그들의 환상이 지나가면 우정도 끝난다. 하지만 진정한 우정에는 환상이 없다, 왜냐하면 그것은 인간의 본성 중에서 불완전한 부분을 넘어서며, 그렇게 하는 도중에 모든 것들을 당연시 여기게끔 한다. 진정한 우정에서는 자신이 다른 사람보다 낫다는 생각도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이기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이 당신의 친구인 것은, 그가 뛰어나서가 아니라, 뭔가가 당신의 본성에서 그의 본성으로 열려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것은 당신과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 사이에서는 닫혀 있는 것이다. 당신과 그는 서로를 이해한다, 다음 구절처럼; 당신과 그의 관계는 무수한 실패들 중에서 드문 성공이다, 그리고 만약 당신이 그 성공을 자랑스러워한다면, 당신은 그것이 실패하는 것을 부끄러워해야 한다.

 

 

05

우정에서 가장 치명적인 것은 이러한 이기심인데, 우정을 친구의 우월성 때문이라고 설명하는 것이다. 만약 당신이 그렇게 한다면 당신은 어떤 집단의 구성원이 된다. 그들은 모두 서로 서로의 장점을 주장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자신들의 장점을 암시한다. 그리고 그들은 자신들이 받는 것보다 더 주지 않으면 불안해한다. 왜냐하면 만약 당신이 당신 친구의 미덕을 강하게 주장한다면, 당신은 그가 당신의 미덕을 강하게 주장하길 기대하기 때문에, 당신은 경쟁하게 된다. 그렇게 된다면 우정은 휴식이 아니라 짐이 되고 만다. 비판은 그래서 배신이 되고 만다, 왜냐하면 그것은 당신이, 우정이 기초한다고 생각해온 우월성을 의심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월성이 전제되지 않을 때는, 비판은 단지 자연스러운 호기심을 발휘하는 것이 된다. 왜냐하면 어떤 사람이 당신의 친구라면, 그리고 당신이 그를 아주 좋아하고 잘 안다면, 당신은 그에 대해 호기심을 갖기 때문이다. 당신은 실제로 그에 대한 전문가이다, 그리고 당신은 그러한 전문지식을 보여주고 싶어 한다. 그리고 당신이 그에 대한 전문가인 것은 우정의 따뜻함 속에서 그의 변장이 녹아내리고, 그는 자신을 그대로 당신에게 보여주기 때문이다. 진정으로 그것이 우정의 시험이요 기쁨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실제보다 더 나쁘게 생각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더 좋게 보이려고 하지 않는다. 우리는 미덕이 우정을 가져오지 않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을 우리의 악덕 때문에 잃어버릴까 두려워하지도 않는다. 우리가 도달한 이 축복받은 상태는 인생에서 무엇보다 천국에 가깝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애정이 판단에 좌우되지 않는다; 그리고 우리는 신과 같이 된다, 그리고 우리는 용서할 필요조차 없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저 알기 때문이다. 그것은 드믄 상태이고, 절대 완벽해 질 수 없다. 우리가 그것에 도달할 있는 유일한 방법은 우정이 무엇인지 알고, 진정으로 그것을 갈망하며, 친구를 존중하고 그가 친구를 선택하는 기준을 궁금해 하지도 말고, 그가 진정이라면 어떠한 악덕이라도 비난하지 않는 것이다.

 



On Friendship (원문)

 


Friendship is above reason, for, though you find virtues in a friend, he was your friend before you found them. It is a gift that we offer because we must; to give it as the reward of virtue would be to set a price upon it, and those who do that have no friendship to give. If you choose your friends on the ground that you are virtuous and want virtuous company, you are no nearer to true friendship than if you choose them for commercial reasons. Besides, who are you that you should be setting a price upon your friendship? It is enough for any man that he has the divine power of making friends, and he must leave it to that power to determine who his friends shall be. For, though you may choose the virtuous to be your friends, they may not choose you; indeed, friendship cannot grow where there is any calculated choice. It comes, like sleep, when you are not thinking about it; and you should be grateful, without any misgiving, when it comes.

 

02

So no man who knows what friendship is ever gave up a friend because he turns out to be disreputable. His only reason for giving up a friend is that he has ceased to care for him; and, when that happens, he should reproach himself for this mortal poverty of affection, not the friend for having proved unworthy. For it is inhuman presumption to say of any man that he is unworthy of your friendship, just as it is to say of any woman, when you have fallen out of love with her, that she is unworthy of your love. In friendship and in love we are always humble, because we see that a free gift has been given to us; and to lose that humility because we have lost friendship or love is to take a pride in what should shame us.

 

03

We have our judgments and our penalties as part of the political mechanism that is forced upon us so that we may continue to live; but friendship is not friendship at all unless it teaches us that these are not part of our real life. They have to be; and we pay men, and clothe them in wigs and scarlet, to sit in judgment on other men. So we are tempted to play this game of judgment ourselves, even though no one has paid us to do it. It is only in the warmth of friendship that we see how cold a thing it is to judge and how stupid to take a pleasure in judging; for we recognise this warmth as a positive good, a richness in our natures, while the coldness that sets us judging is a poverty. Just as our criticism of a work of art begins only when we have ceased to experience it, so our criticism of our friends begins only when we have ceased to experience them, when our minds can no longer remain at the height of intimacy. But this criticism is harmless if we know it for what it is, merely the natural reaction, the cold fit that comes after the warm, and if we do not suppose that our coldness is wiser than our warmth.

 

04

There are men who cannot be friends except when they are under an illusion that their friends are perfect, and when the illusion passes there is an end of their friendship. But true friendship has no illusions, for it reaches to that part of a man's nature that is beyond his imperfections, and in doing so it takes all of them for granted. It does not even assume that he is better than other men, for there is egotism in assuming that. A man is your friend, not because of his superiorities, but because there is something open fr om your nature to his, a way that is closed between you and most men. You and he understand each other, as the phrase is; your relation with him is a rare success among a multitude of failures, and if you are proud of the success you should be ashamed of the failure.

 

05

There is nothing so fatal to friendship as this egotism of accounting for it by some superiority in the friend. If you do that you will become a member of a set, all, in their assertion of each others' merits, implying their own, and all uneasy lest they are giving more than they get. For if you insist upon the virtues of your friend, you expect him to insist upon your virtues, and there is a competition between you which makes friendship a burden rather than a rest. Criticism then becomes a treachery, for it implies that you are beginning to doubt these superiorities upon which your friendship is supposed to be based. But when no superiorities are assumed, criticism is only the exercise of a natural curiosity. It is because a man is your friend, and you like him so much and know him so well, that you are curious about him. You are in fact an expert upon him, and like to show your expert knowledge. And you are an expert because in the warmth of friendship his disguises melt away from him, and he shows himself to you just as he is. Indeed, that is the test of friendship and the delight of it, that because we are no longer afraid of being thought worse than we are we do not try to seem better. We know that it is not our virtues that have won us friendship, and we do not fear to lose it through our vices. We have reached that blessed state of being nearer to heaven than anything else in this life, in which affection does not depend upon judgment; and we are like gods, who have no need even to forgive, because they know. It is a rare state, and never attained to in its perfection. We can approach it only if we know what friendship is and really desire it, and especially if we admire the man who is a friend without ever wondering at his choice of friends or blaming him for his faithfulness to them whatever evil they may do.

 

-- A. Clutton-Brock.



안녕~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독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역역 빈칸 추론  (0) 2014.08.14
빈칸 변형문제 (인터넷 수능)  (0) 2014.05.20
pun (언어 유희)  (1) 2013.11.24
영어 독해 공부법  (0) 2013.09.29
주장, 주제 문제  (2) 2013.09.23

시간접속사 when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시간 접속사 when을 공부하겠습니다.



★★★★☆



시간접속사 when


이번 시간에는 동시성을 기준으로 시간 접속사 when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상당히 어려운 내용이니 잘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when은 ,if와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부사절 접속사 중의 하나입니다. 부사절을 이끄는 시간 접속사 when은 주로 ‘~할 때’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경우 when절이 포함된 문장은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사건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when절의 사건 + 주절의 사건

 

여기서 when절의 사건은 주절의 사건보다 먼저 발생할 수도 있고 나중에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 두 사건을 발생 순서에 따라 ‘동시성’을 기준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주절보다 먼저 발생

2. 주절과 동시에 발생

3. 주절보다 나중에 발생


각 경우별로 예문을 보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1. 주절보다 먼저 발생

(after의 의미)


(1) When the bell rang, he pick up the phone.

                   사건 A            사건 B

   해석 (벨이 울렸을 때, 그는 전화기를 들어 올렸다)

   속뜻 (벨이 울리고 난 후에, 그는 전화기를 들어 올렸다)


‘속뜻’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위 예문에서 when절의 ‘벨이 울린 사건’은 주절의 ‘그가 전화기를 들어 올리는 사건’보다 먼저 발생했습니다. 여기서 when은 'after'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2. 주절과 동시에 발생

(동시동작을 나타내는 while)


(2) When the bell rang, he was outside.

                  사건 A          사건 B

   해석 (벨이 울렸을 때, 그는 밖에 있었다)

   속뜻 (벨이 울릴 바로 그 때, 그는 밖에 있었다)


위 예문에서 when절의 ‘벨이 울린 사건’과, 주절의 ‘그가 밖에 있었던 사건’은 동시에 발생합니다. 이 문장에서 when은 동시동작을 나타내는 ‘while'로 바꾸어 쓸 수도 있습니다.

 


3. 주절보다 나중에 발생


(3) When the bell rang, he had already left.

                  사건 A             사건 B

    (벨이 울렸을 때, 그는 이미 떠나고 없었다)


위 예문에서 ‘벨이 울린 사건’은 ‘그가 떠난 사건’보다 나중에 발생했습니다. 


그런데 3번 문장을 다음과 같이 쓰면 어떻게 될까요?


(3-1) When the bell rang, he left.

의미 a. 벨이 울리자 그는 떠났다.

의미 b. 벨이 울렸을 때, 그는 떠나고 없었다. (?)


(3-1) 문장은 보통 '의미 a'로 해석됩니다. ‘의미 b'를 표현하고 싶으면 3번과 같이 주절에 과거완료를 써 주어야 합니다. 시간의 선후 관계가 명백해지기 때문입니다.


예문을 하나 더 들어 보겠습니다.


      다음 문장은 두 가지 의미를 갖습니다.


(3-2) When she studied, she slept.

의미 a. 그녀가 공부할 때, 그녀는 잤다. (공부만하면 잤다는 의미)

의미 b. 그녀는 공부를 끝낸 후에 잤다.


이것은 좋은 문장이 아닙니다. 만약 '의미 b'를 나타내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시제를 분명하게 해주어야 합니다.


(3-3) When she had studied, she slept.

이제는 사건의 선후 관계가 정해져서 의미가 분명합니다. (특히 영작할 때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동시성을 기준으로 시간 접속사 when을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사절 주어  (8) 2014.02.05
if, when 차이  (2) 2014.02.04
종속접속사의 위치  (8) 2014.01.29
종속접속사와 쉼표  (5) 2014.01.28
등위접속사 or  (0) 2014.01.23

영어 필수어휘 1172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독해에 필수적인 단어를 정리하겠습니다.



영어 공부에 필수적인 어휘를 정리했습니다. 독해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어휘들이고, 영어 지문에서 자주 보는 단어들입니다. 이 단어들을 몰라서는 독해실력 향상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다음은 전체 1172개 단어 중 일부입니다.



 단어

 품사

  의미

 1. misjudged

 

 잘못 판단하다

 2. avowed

 

 맹세하다

 3. vanity 

 

 허영, 허영심

 4. absurdity

 

 어리석은 언행, 부조리

 5. dissolved

 

 녹이다, 용해시키다

 6. currency

 

 통화

 7. bruise

 

 타박상을 입히다 

 

 

 

 8. tormented

 

 괴로워하는

 9. decline

 

 거절하다, 줄어들다

 10. Get rid of A

 

 A를 없애다

 11. cultivate

 

 계발(연마) 하다, 경작하다

 12. accessed

 

 접근, 출입

 13. discomfort

 

 불쾌, 불편

 14. identify

 

 확인하다, 발견하다

 15. disturbed

 

 방해하다, 불안하게 하다, 혼란시키다

 16. apparently

 

 명백히, 보아하니

 17. distribution

 

 분배

 18. accommodate

 

 편의를 제공하다, 수용하다, [환경에] 맞추다

 19. fascinate

 

 매혹시키다

 20. convey 

 

 ~을 전달하다

 21. diversity

 

 다양함

 22. stunning

 

 근사한, 멋진

 23. overpowered

 

 압도당한

 24. coward

 

 겁쟁이

 25. illegalize 

 

 [법으로] 금하다

 26. determinedly

 

 단호히, 필사적으로

 27. appropriate

 

 적절한

 28. aid

 

 원조, 보조 도구

 

 

 원조하다

 29. pour

 

 쏟아 붓다
 30. airtight

 

 밀봉된, 밀폐된


 

전체 1172 단어는 한글 파일로 첨부합니다. 

다운 받아서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영어 필수 어휘 1172.hwp

그럼 안녕 ~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단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swer, reply 어떻게 다를까요?  (2) 2014.04.25
hard, difficult 구별  (9) 2014.04.05
영어 접미사 정리  (4) 2014.01.31
ingenious, ingenuous  (2) 2014.01.30
envy, jealousy, envious, jealous  (0) 2014.01.26

영어 접미사 (ENGLISH SUFFIXES)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영어 접미사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영어 단어를 공부할 때 꼭 필요한 접미사를 알파벳 순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구성 원리를 알면 훨씬 수월하게 단어를 외울 수 있습니다. 잘 보시고 익혀 두시길 바랍니다. 필요하신 분을 위해 한글 파일로도 첨부합니다. 다운 받아서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접미사

 품사

 의미

 

 1. -able or ible

 

 ~할 수 있는

 acceptable, tangible

 2. -age

 

 상태

 marriage

 3. -al

 

 ~적인

 legal

 4. -an, ian

 

 사람

 librarian

 5. -ance, -ence

 

 상태

 disturbance, presence

 6. -ate

 

 ~하게 하다

 liberate

 

 

 ~하는

 literate

 7. -dom

 

 상태

 freedom

 8. -en

 

 ~하게 만들다

 strengthen

 9. -ent, -ant

 

 ~하는

 present

 10. -er, -or

 

 행위자

 employer

 

 

 

 liberator

 11. -ery

 

 장소

 bakery

 12. -ful

 

 가득 찬

 careful

 13. -fy, -ify

 

 ~하게 만들다

 classify

 14. -hood

 

 상태

 motherhood

 15. -ion

 

 상태

 consideration

 16. -ity

 

 상태

 vanity

 17. -ive

 

 ~적인

 relative

 18. -ize

 

 ~하게 만들다

 industrialize

 19. -less

 

 ~이 없는

 faultless

 20. -ly

 

 ~와 같은

 friendly

 

 

 ~하게

 carefully

 21. -ment

 

 상태

 misjudgement

 22. -ness

 

 상태

 sadness

 23. -ous

 

 ~이 많은

 humorous

 24. -ship

 

 정신, 상태

 friendship

 25. -y

 

 ~이 많은

 rainy

 기타

 

 

 

 26. ~ing

 능동

 (자신이) ~하다

 disturbing

 27. ~ed

 수동

 (타인에 의해) ~당하다

 disturbed



영어 접미어 정리.hwp


See You...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단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rd, difficult 구별  (9) 2014.04.05
영어 필수어휘  (2) 2014.02.01
ingenious, ingenuous  (2) 2014.01.30
envy, jealousy, envious, jealous  (0) 2014.01.26
marry, be married to, get married to, divorce  (2) 2014.01.25

ingenious, ingenuous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ingenious, ingenuous를 공부하겠습니다.



ingenious, ingenuous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우리말이 있습니다. 철자 하나 때문에 의미가 달라지는 것이죠. 영어에도 철자 하나 때문에 의미가 완전히 달라지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오늘 살펴볼 ingenious, ingenuous도 그 중의 하나입니다.


두 단어는 철자뿐만 아니라 발음까지 비슷합니다. 그렇지만 의미는 전혀 다릅니다. 두 단어는 의미가 상호교환 되지 않습니다.


ingenious, ingenuous에 대한 간단한 정리입니다.


1. ingenious [인지-니어스]

                영리한, 독창적인

2. ingenuous [인제뉴어스]

                 순진한, 사람을 잘 믿는

 

이 단어들은 어원을 분석해 봐도 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라틴어 어원이 더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헷갈리는 단어를 공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역시 예문을 통해서 익히는 것입니다.



각 단어별로 예문을 살펴 보겠습니다.



1. ingenious


■ ingenious : 영리한, 독창적인

                  (=clever, creative)


약간 요령을 부리는 것이 ingenious를 기억하는데 크게 도움이 됩니다. ingenious는 발음이 ‘인지니어스’입니다. 이 발음을 들었을 때 생각나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genius(천재)’입니다. ingenious(인지니어스)는 ‘지니어스(천재)’가 들어있으므로 ‘영리하고 독창적’입니다.


(1) He made up an ingenious plan.

    (그는 세웠다/ 아주 훌륭한 계획을)


(2) An ingenious person has very clever ideas.

    (영리한 사람은 가지고 있다/ 아주 기발한 생각들을)


(3) The programmer wrote a very ingenious software.

    (그 프로그래머는 만들었다/ 아주 독창적인 소프트웨어를)

 


2. ingenuous


ingenuous : 순진한, 사람을 잘 믿는

                (=naive)

 

‘순진하다’는 우리말은 요즘에 부정적인 뉘앙스를 줍니다. 세상 돌아가는 이치를 모른다는 의미죠. 복잡한 세상에서 단순하게(?) 살아가는 것은 욕 얻어먹을 일인가 봅니다. 영어도 사정은 우리말과 같습니다. ‘ingenuous(순진한)’ 역시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지고, ‘잘 몰라서 잘 속는’이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예문을 봅시다.

 

(1) He is an ingenuous child.

    (그는 순진한 아이다)


(2) You are too ingenuous to believe anything.

    (넌 너무 순진해/ 모든 것을 다 믿다니)


(3) She is ingenuous and even stupid.

    (그녀는 순진하다/ 멍청할 정도로)

 

순진하고 순수한 것이 미덕이 되는 세상은 과연 다시 올까요?

 


아무튼, ingenious와 ingenuous를 기억하는 요령은 ‘지니어스(genius)'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ingenious(인지니니어스)에 ‘지니어스’를 연상시켜 기억한 다음, ingenuous는 순진한 이라고 외우시면 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ingenious, ingenuous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어교실 > 영어 단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필수어휘  (2) 2014.02.01
영어 접미사 정리  (4) 2014.01.31
envy, jealousy, envious, jealous  (0) 2014.01.26
marry, be married to, get married to, divorce  (2) 2014.01.25
award, reward, prize  (0) 2014.01.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