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포크너의 곰 (William Falkner, The Bear)



참 잘 된 번역


 문학작품은 간접 경험입니다. 훌륭한 문학작품은 삶에 대해 새롭고 심오한 깨달음을 줍니다. 하지만 우리가 얻는 깨달음은 작가의 희생을 댓가로 한 것입니다. 일급 작가는 일상을 돌아볼 여유가 없는 우리를 대신해 글 감옥에 갇힙니다. 그들은 그 좁은 세상에서 자신의 영혼을 학대합니다. 그들은 그렇게 얻은 인생에 대한 통찰력을 우리에게 전해 줍니다. 훌륭한 문학작품은 우리의 본성에 직접 호소하기 때문에 보편적입니다.

 

외국어 문학 작품은 번역이라는 매개를 통해서 접하게 됩니다. 그리고 번역은 어쩔 수 없이 원작을 일정부분 훼손합니다. 시를 산문으로 옮기면 풍부함이 사라지고, 사투리를 표준말로 옮기면 맛깔스러움이 사라지듯이, 외국어를 자국어로 번역하면 풍부함과 맛깔스러움이 줄어듭니다. 여기에 번역가의 능력이나 지나친 의욕이 원글을 훼손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렇기에 훌륭한 번역가는 원작자 다음으로 중요한 존재입니다.


이렇게 중요한 번역가지만, 번역가는 숙명적으로 그림자입니다. 번역가가 앞에 나서는 순간 원작이 빛을 잃기 때문입니다. 번역가는 작가의 한 걸음 뒤에서, 자신을 감추고 작가를 살려야 합니다. 번역이 잘 되면 원작자가 칭송을 받습니다. 번역이 허섭한 경우에만 번역가가 욕을 먹습니다. 음지에서 일하고 음지를 지향해야 하는 것이 번역가의 숙명입니다.


문학동네에서 번역한 곰(The Bear)은 훌륭합니다. 내용만큼이나 신비하고 심오한 Faulkner의 문장들을 깔끔하고 정갈하게 번역했습니다. 영어를 업으로 삼는 사람에게도 포크너의 글은 어렵습니다. 포크너가, 글을 분명하게 쓰는 것에는 의도적으로 관심이 없는 작가이기 때문입니다. 포크너에게 세상은 어지럽고 복잡합니다. 그러므로 세상을 담는 글도 어지럽고 복잡합니다. 둘째 가는 어지러운 영어 글을-첫 번째는 제임스 조이스입니다- 이렇게 깔끔하게 번역한 민은영 역자에게 진심으로 경의를 표합니다.


민은영 역자와는 스쳤던 인연이 있습니다. 멋모르던 대학 시절에 만나 공부한 인연입니다. 작가의 외모와 목소리가 주는 선입견을 넘어설 만큼의 대화도 나누지 못한 인연이었습니다. 곰(The Bear)이라는 훌륭한 책을 통해 민은영 역자를 다시 만나게 되었습니다. 덕분에 역시 스쳐만 지나갔던 영문학의 걸작을 다시 읽게 되었습니다. (은영양, 힘들겠지만 훌륭한 번역 계속해야 한다!!)




윌리엄 포크너의 곰 (Faulkner, The Bear)


윌리엄 포크너는 1949년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습니다. 헤밍웨이와 더불어 미국 소설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 올린 위대한 작가 중 한 명입니다. 현재 포크너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작가 중 한명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포크너의 작품은 난해합니다. 그는 쉼표를 너무 사랑하고 마침표를 무지 싫어하던 작가였습니다. 도대체가 주어·서술어를 찾기 힘든 긴 문장들을 읽다보면 포크너가 의도한 내용적 몽환지경에 빠지게 됩니다. 제임스 조이스가 의식의 흐름으로 노렸던 내면적 깨달음을 포크너는 끝없는 문장의 흐름으로 추구하고 있습니다.


곰(the bear)은 1942년에 발표된 포크너의 소설입니다. 5부로 이루어진 이 책은 남북전쟁 (1861-1865) 이후의 남부 사회를 배경으로 합니다. 비슷한 시기에 쓰인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사라져 가는 ‘남부’에 대한 향수를 담고 있습니다. 미첼여사의 남부는 매력적인 주인공들이 ‘연기’하는 로망스의 배경이었습니다. 그렇지만 포크너의 남부는 세상의 축소판입니다. 곰으로 대표되는 자연, 소년으로 대표되는 인간, 그리고 소유로 대표되는 자본주의의 삼중주입니다.


'곰(The Bear)'은 수렵액션(Hunting Action) 소설이 아닙니다. 실제로 곰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은 ‘곰(Old Ben)’을 사냥할 생각이 별로 없습니다. 매년 상당한 규모로 모여서 곰 사냥을 떠나기는 하지만 웬지 의식에 가깝습니다. 주인공 소년은 Old Ben을 불멸이라고 여기며, 직접 마주하고도 총을 쏘지 않습니다.


The Bear에 나오는 곰은 ‘Old Ben'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Old Ben은 단순히 크고 사나운 야생동물이 아닙니다. 이 곰은 오랜 시간 인간을 위협하면서도 함께 해 왔던 숲(자연)의 정령입니다.


'곰(Old Ben)‘을 진정으로 사냥하려고 하는 존재는 분(Boon)이라는 인물과 라이언(Lion)이라는 맹견 밖에 없습니다. 그렇지만 라이언이라는 개는 웬지 Old Ben을 거두기 위해 숲이 보낸 또 하나의 정령으로 보입니다. ’곰‘이 죽은 다음에 ’라이언‘도 숨을 거두기 때문입니다. 또한 라이언은 ’Sam'을 제외하고는 인간이 만지는 것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라이언은 인간에게 복종하는 보통 사육견들과는 다릅니다.


‘곰(The Bear)은 소년이 성장하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4부에서 소년은 농장(plantation)을 포기하고 삼촌에게 넘겨줍니다. 땅이 모든 것이라고 생각하던 사람들은 소년의 행동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렇지만 땅의 소유가 인간을 타락시켰다고 믿는 소년은 유산을 포기하고 목수 일을 하며 살아갑니다. 이는 성서에 나오는 간단한 가르침을 실천한 것입니다. ‘일하지 않는 자는 먹지도 마라.’ 소년은 노예노동에 기반한 땅(농장)이 주는 불로소득을 거부하고 노동을 해서 살려고 합니다. 소년은 물질에 구속되지 않고, 자연과 더불어 사는 자유를 선택합니다. 정규 교육도 제대로 받지 못한 소년이 자연 속에서 깨달음과 통찰력을 얻어가는 것입니다.


‘자연적인 모든 것은 좋고, 인위적인 모든 것은 나쁘다’는 루소의 말이 떠오릅니다.



윌리엄 포크너 (William Faulkner, 1897-1962)

 

[1] 부사의 형태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부사의 형태를 보겠습니다. 



부사는 같은 수식어인 형용사와 역할 및 형태가 다릅니다. 역할과 형태에 따른 부사의 특징을 살펴 봅시다.

 

1. 부사는 다른 품사와 역할이 다르다.


부사는 같은 수식어인 형용사와 역할이 다릅니다. 부사와 형용사는 문장에서 자리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바꾸어 쓸 수 없습니다.

(1) The careful man drives carefully. (o)

    그 조심성 있는 남자가 조심스럽게 운전한다.

(2) The carefully man drives careful. (x)

 

부사는 형용사뿐만 아니라 다른 품사와도 자리(역할)를 바꿀 수 없습니다.

(3) sings beautifully. (o)부사

    sings beautiful. (x) 형용사

(4) an extremely handsome man. (o) 관사+부사+형용사+명사

    an handsome extremely man. (x) 관사+형용사+부사+명사

(5) Probably she will come. (o) 부사

    Probable she will come. (x) 형용사

 

2. 부사는 형용사에 -ly를 붙여서 만든다.


아주 많은 부사들은 형용사에 -ly를 붙여서 만듭니다.


형용사   부사  

abrupt    abruptly

beautiful   beautifully

careful   carefully

dangerous   dangerously

heavy   heavily

ironic   ironically

massive    massively

necessary    necessarily

optimal    optimally

quick   quickly


-ly의 부사적 성격이 너무 강해서 일부 -ly로 끝나는 형용사는 부사로 쓰이기도 합니다.

(1) a leisurely meal 형용사

    느긋한 식사

(2) He ate leisurely. 부사

    그는 느긋하게 먹었다.

 

몇몇 부사들은 -ly로 끝나지 않는 형태가 있음에도, -ly를 붙여서 두 개의 부사형이 존재합니다 -(3). 이들은 수식하는 말에 따라 거의 관용적으로 쓰입니다 -(4).

(3) cheap        tight        quick        slow

    cheaply      tightly      quickly      slowly


(4) Sit tight. 그대로 앉아 있어라.

    He hold my hand tightly. 그는 내 손을 꽉 잡았다.

 

(주의 1)

-ly가 붙지만 부사가 아니라 형용사인 말들이 있습니다.


‘명사+ly는’는 형용사로 쓰입니다.

costly, cowardly, daily, homely, lovely, manly, womanly, orderly, portly, etc.


‘형용사+ly'가 형용사로 쓰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deadly, likely, lively, lonely, etc.


철자에 -ly가 포함된 형용사들이 있습니다.

silly, ugly, etc.


(주의 2)

몇몇 부사는 -ly가 붙어 의미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hard (열심히)            high (높게)        late (늦은)        most (가장)        near (가까이)

hardly (거의 ~않다)    highly (매우)      lately (최근에    mostly (대개)        nearly (거의)



이상으로 부사의 형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사와 형용사의 구별  (0) 2014.11.25
품사의 전환 - 동음 이의어  (0) 2014.11.24
부사의 수식  (0) 2014.11.18
부사의 종류  (0) 2014.11.17
과거완료 - 동사의 시제  (4) 2014.11.14

[3] 부사의 수식 - 단어 수식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부사의 수식을 살펴 보겠습니다. 



부사는 문법적으로 동사, 형용사, 부사 그리고 가끔은 명사를 수식하기도 합니다. 각 품사를 수식할 때의 부사 위치에 주의해서 살펴 봅시다.

 

1. 부사는 동사를 수식한다.


부사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동사를 수식하는 것입니다. 이는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하는 것과 같은 관계를 갖습니다. 실제로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는 ‘형용사+명사’로 바꾸어 쓸 수도 있습니다 -(1)·(2).


(1) He walks quickly.   동사 walk를 수식하는 부사

그는 빨리 걷는다.

(2) He is a quick walker.   명사 walker를 수식하는 형용사

그는 빨리 걷는 사람이다.

 

대부분의 부사-특히 -ly가 붙은 이차부사들-는 동사를 수식합니다.

read slowly,  drink heavily,  work diligently,  sleep soundly,  bury deeply, etc.

 

2. 수량·정도 부사들은 형용사를 수식한다.


수량(quantity), 정도(degree)를 나타내는 부사들은 주로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합니다 -(1). 대부분의 정도 부사들은 동사와 함께 쓰일 수 않습니다. -(2).

 

(1) quite true,  very good,  most beautiful,  most beautifully,  fearfully ugly, etc.

(2) read very (x)  sleep most (x)  bury fearfully (?), etc

 

수량·정도 부사들은 전치사를 수식하지 않습니다 -(3). 그렇지만 전치사구는 수식할 수 있습니다 -(4)

(3) She was quite in the room. (x)

(4) She is quite in the wrong. 전치사구 수식

그녀는 완전히 틀렸다.

I am half through my work. be through 수식

나는 보고서를 반쯤 끝냈다.

 

3. 부사는 동사 뒤, 형용사 앞에 쓰인다.


부사는 쓰임이 자유로운 말입니다. 그렇지만 수식하는 품사에 따라 위치가 정해지기도 합니다. 각 품사별 부사의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부사는 동사를 뒤에서 수식합니다.

(1) He rises early. 동사+부사

그는 빨리 일어 난다.

(2) She drinks heavily. 동사+부사

   그녀는 심하게 마신다.

 

부사는 형용사나 부사를 앞에서 수식합니다.

(3) absolutely right,  practically impossible,  very early, etc. 부사+형용사

(4) almost always,  very bravely,  surprisingly high, etc. 부사+부사

 

(주의 1)

빈도나 횟수를 나타내는 부사는 동사 앞에서 수식합니다.

(5) I usually walk to school. 빈도부사+동사

나는 보통 걸어서 학교에 간다.

(6) He seldom reads a book. 빈도부사+동사

그는 좀처럼 책을 읽지 않는다.

 

(주의 2)

enough가 부사로 쓰일 때는 뒤에서 형용사를 수식합니다.

good enough,  sure enough,  not fast enough, etc.



이상으로 부사의 수식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품사의 전환 - 동음 이의어  (0) 2014.11.24
부사의 형태  (0) 2014.11.19
부사의 종류  (0) 2014.11.17
과거완료 - 동사의 시제  (4) 2014.11.14
동사구 (동사+부사)  (2) 2014.11.12

[1] 부사의 종류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부사의 종류를 살펴 보겠습니다.



부사는 다른 품사와의 관계에 따라 두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다른 품사와 관계가 없는 일차(primary) 부사, 다른 품사에서 파생한 2(secondary) 부사가 그것들입니다. 각 유형이 지닌 특징들을 살펴 봅시다.

 

1. 일차 부사는 다른 품사와 관련이 없다.


일차 부사는 다른 품사와 관련이 없는 고유한 부사들입니다. 일차부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장소 부사: here, there, where

시간 부사: now, then, soon

수량 부사: quite, very

부정 부사: not, never


일차 부사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습니다.


일차 부사들은 비교급과 최상급이 없습니다. (soon은 예외적으로 비교급이 가능합니다.)

here - herer (x) - herest (x)

then - thener (x) - thenest (x)

soon - sooner - soonest

 

일차 부사는 지시적 의미를 갖습니다.

(1) Stand here. 지시적 부사   →    Stand in this position. 지시적 형용사

     여기 서 있어라.                       이 자리에 서 있어라.

(2) Stand there. 지시적 부사   →   Stand in that position. 지시적 형용사

     거기 서 있어라.                       그 곳에 서 있어라.



2. 이차부사는 다른 품사와 관련이 있다.


2차 부사들은 다른 품사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이들은 다른 품사를 그대로 쓰거나, 형용사에 -ly를 붙여서 만듭니다.


부사는 전치사와 형태가 같을 수 있습니다. 전치사가 부사로 쓰일 때는 다음에 명사를 쓰지 않습니다.

(1) Come up the stairs. 전치사      Come up. 부사

   계단을 올라 와라.                           올라 와라.            

(2) Stay in the room. 전치사      Stay in. 부사

   방 안에 있어라.                           안에 있어라.          


부사는 형용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아주 많은 부사들은 형용사에 -ly를 붙여서 만듭니다 -(1). 혹은 형용사 형태 그대로 부사로 쓰기도 합니다 -(2).

(1) bright sun. 형용사   →      The sun shines brightly. 부사

      밝은 태양                          태양이 밝게 빛난다.                

(2) He is a hard worker. 형용사        He works hard. 부사

     그는 열심히 일하는 사람이다.           그는 열심히 일한다.



 이상으로 부사의 종류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사의 형태  (0) 2014.11.19
부사의 수식  (0) 2014.11.18
과거완료 - 동사의 시제  (4) 2014.11.14
동사구 (동사+부사)  (2) 2014.11.12
명사의 복수형과 발음 – 규칙 변화  (0) 2014.11.10

동사의 시제 - 과거완료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과거완료를 살펴 보겠습니다. 



1. 완료 시제는 먼저 발생한 사건이다.


완료 시제는 기본 시제보다 먼저 발생한 사건을 나타냅니다. , 과거완료는 과거보다, 현재완료는 현재보다, 미래완료는 미래보다 먼저 발생한 사건을 나타냅니다.


과거완료는 과거보다 먼저 발생한 사건입니다.

(1) When I arrived at the station, the train had already left. 도착보다 떠난 것이 먼저

내가 역에 도착했을 때, 그 기차는 이미 떠나 버렸다.


현재완료는 현재보다 먼저 발생한 사건입니다.

(2) It rains outside. 현재형 지금

밖에 비가 온다.

(3) It has rained for some time. 현재완료 → 지금보다 전

한 동안 비가 왔다.


미래완료는 미래보다 먼저 발생한 사건입니다.

(4) By the time you come home, my present will have been delivered. 배달이 먼저

너가 집에 도착했을 때는, 내 선물이 배달되어 있을 것이다.


(주의)

(4)번에서 come은 미래를 나타냅니다. 시간 부사절에서는 미래형 대신 현재형을 쓰기 때문입니다.



2. 과거완료는 상대적 시제이다.


과거완료는 시간상 과거를 나타내지 않습니다. 과거완료는 단지, 어떤 사건이 과거보다 먼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상대적인 시제입니다. 과거완료는 독립적으로 쓰일 수 없기 때문에 과거 동사와 함께 쓰입니다.


(1)번에서 과거완료(had heard)는 과거시제(locked)를 기준으로 사용되었습니다.

(1) They locked the doors carefully because they had heard strange footsteps earlier. 

        그들은 문들을 주의 깊게 잠갔다. 그들인 전에 이상한 발소리를 들었기 때문이다.

       ▶ 과거보다 먼저


일부 희망동사들은 과거시제 없이 과거완료로 쓰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보통 과거 사실에 대한 반대를 나타냅니다.

(2) She had hoped to get the job.  희망했지만 안 되었다.

그녀는 그 직업을 갖기 바랐다.

  = Actually, she didn't get the job.


(3) Nobody had not expected his safe return.  기대대로 안 되었다.

누구도 그가 안전하게 돌아올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 Surprisingly, he returned safely.


과거완료로 표현된 두 사건은 단순 과거시제를 써서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두 과거 사건들 사이에는 시간상 인접성, 혹은 인과관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과거 완료를 쓴 (1)번은 단순하게 시간상 선·후만 나타냅니다. 그런데 과거를 쓴 (2)번은 두 사건이 시간상 가까움을 나타냅니다. 또한 런던을 본 것이 파리로 일찍 떠나게 된 것과도 관련있음을 암시합니다. (런던에 실망해서 파리로 일찍 떠났다는 뉘앙스)공개


(1) When he had seen London, we left for Paris. 시간상 선후관계

      런던을 보았을 때, 우리는 파리로 출발했다.

(2) When we saw London, we left for Paris early. 인과 관계

      런던을 보았을 때, 우리는 파리로 출발했다



이상으로 과거완료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사의 수식  (0) 2014.11.18
부사의 종류  (0) 2014.11.17
동사구 (동사+부사)  (2) 2014.11.12
명사의 복수형과 발음 – 규칙 변화  (0) 2014.11.10
4형식 동사  (0) 2014.11.08

동사구 (동사+부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동사구를 살펴 보겠습니다. 


현대 영어의 특징 중 하나는 동사가 부사와 결합하여 새로운 동사구(구동사)를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들 동사구(구동사)는 비영어권 학습자들에게 가장 어려운 것들 중 하나입니다. 동사구의 특성을 잘 이해해 봅시다.

 

1. 부사와 결합한 동사구는 의미가 달라진다.


동사 look은 ‘~을 보다’라는 뜻을 갖습니다. 그렇지만 look 다음에 부사가 와서 동사구가 되면 의미가 달라집니다.

 

다음은 look과 부사가 결합한 동사구와 그 예문들입니다.


동사구

예문

동의어

 

 

 

look after

I am looking after my daughter.

나는 내 딸을 돌보고 있다.

(=take care of)

 

look for

We are looking for a decent house.

우리는 괜찮은 집을 찾고 있다.

(=search, seek)

look into

The police looked into the case again.

경찰이 그 사건을 다시 조사했다.

(=investigate)

 

look in on

She'll look in on me tomorrow.

그녀가 나를 내일 방문할 것이다.

(=visit)

look on

They were merely looking on the fighting.

그들은 그저 그 싸움을 구경하고 있었다.

(=watch)

look out

Look out! A car is coming!

조심해! 차가 오고 있어!

(=watch out)

look to

She looks to me for advice.

그녀는 내게 조언을 구했다.

(=depend on)

look up

Look up the word in the dictionary.

그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 봐라.

(=consult)

look up to

He looks up to his father.

그는 자신의 아버지를 존경한다.

(=respect)

 


2. 동사구는 ‘동사+부사’이다.


동사구에서 동사 다음에 오는 말은 전치사가 아닌 부사입니다. 전치사일 때와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전치사 on은 ‘~의 위에서’라는 뜻을 가집니다. 그러므로 (1)번에서 on이 전치사라면 ‘look on the fighting’은 ‘싸움 위에서 보다’가 되어 의미가 통하지 않습니다. (2)번에서 ‘look up the word'에서 up이 전치사라면 ’단어 (아래가 아닌) 위를 보다‘라는 뜻이 됩니다. 역시 의미가 통하지 않습니다.

 

(1) They were merely looking on the fighting. ▶ on은 부사

(2) Look up the word in the dictionary. ▶ up은 부사

 

 

3. 동사구에서 부사는 동사 다음에 온다.


영어가 속해 있는 인도-유럽어족(Indo-European)에서는 새로운 동사를 만들 때, 전통적으로 부사를 동사 앞에 놓습니다.

 

power OVERpower

run OUTrun

stand UNDERstand

 

그렇지만 현대 영어에서는 동사 뒤에 부사를 놓아 동사구를 만듭니다.

look AFTER       look FOR          look INTO

 


4. 동사구는 한 단어가 아니다.


동사구는 의미상으로는 한 단어 같지만 두 가지 이유에서 한 단어가 아닙니다.

 

첫째, 동사구 사이에는 수식어나 다른 말을 쓸 수 있습니다. 한 단어라면 다른 말이 사이에 들어갈 수 없습니다.

look in the case CAREFULLY. look CAREFULLY into the case. 수식어가 사이에 들어감

look up THE WORD. look THE WORD up. 목적어가 사이에 들어감.

 

둘째, 동사만 어형 변화를 한다.

한 단어라면 어형 변화는 단어 끝에서 일어납니다. 그러나 동사구(구동사)는 동사 부분에서만 어형 변화가 발생합니다.

 

lookS up to ▶ 3인칭 단수 현재시제                        lookED up to 과거 시제

look upS to. (x)                                          look up toED (x)



이상으로 동사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사의 종류  (0) 2014.11.17
과거완료 - 동사의 시제  (4) 2014.11.14
명사의 복수형과 발음 – 규칙 변화  (0) 2014.11.10
4형식 동사  (0) 2014.11.08
인칭대명사 남성 여성  (0) 2014.11.07

명사의 복수형과 발음 규칙 변화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명사의 복수형을 살펴 보겠습니다. 

 


1. 명사의 복수형 - 규칙변화

현대 영어에서 명사의 복수형은 대부분 -s를 붙여서 만듭니다이를 규칙변화라고 합니다. 규칙변화에는 다음과 같은 유형들이 있습니다.


(1) 단수 명사 + (e)s


대부분의 단수 명사는 -s를 붙여 복수형을 만듭니다. 치찰음(ch, x, s, z, dg, sh)로 끝나는 경우에는 -es를 붙이기도 합니다.


 book – books  

 car - cars

 church – churches

 computer - computers

 edge – edges

 fox - foxes

 game – games

 lane - lanes

 pass – passes 

 road - roads

 potato – potatoes 

 ship - ships

 stich – stitches

 tree - trees

 wish - wishes

 



(2) 자음 + yies


'자음+y'로 끝나는 경우에는 y i로 바꾸어 es를 붙인다.

 baby – babies  

 fly - flies

 lady – ladies    

 party - parties


(주의 1)

‘모음 + y’로 끝나는 경우에는 s만 붙인다.

 boy – boys     

 toy-toys


(주의 2)

-uy로 끝나는 명사가 /w/로 발음될 경우에는, y i로 바꾸어 -es로 바꾸어 -es를 붙인다. y 앞에 있는 u는 형태는 모음이지만, 자음(w)으로 발음되기 때문이다.

soliloquy - soliloquies (독백들)


(3) -lf, ‘장모음+f'ves

-lf '장모음+f'로 끝나는 명사들은 f v로 바꾸어 복수형을 만들 수도 있다.


 calf – calves   

 half - halves

 knife – knives   

 loaf -loves

 thief - thieves

 


(주의)

'단모음+f'로 끝나는 명사들과, ‘장모음+f'로 끝나는 많은 명사들은 s만 붙여 복수형을 만든다.

 belief – beliefs        

 cliff - cliffs

 goof – goofs 

 grief - griefs

 safe – safes    strife - strifes



2. 복수형의 발음

명사의 복수형은 앞에 오는 철자의 발음에 따라 세 가지 -/iz, s, z/-로 발음 됩니다.


(1) 치찰음+es iz


치찰음 다음에서는 -es /iz/로 발음됩니다. 영어의 치찰음에는 /ch, x, s, z, dg, sh/ 등이 있습니다.


 box - boxes [baksiz]

 church - churches [ʧəːrʧiz]

 hedge - hedges [hedʒiz]

 miss - misses [misiz]

 smash - smashes [[smæʃiz]

 


(참고)

치찰음(hissing sound)이란, 혀끝과 잇몸의 뒷부분이 좁아져서 나는 소리를 말합니다.



(2) 무성자음+s s

무성자음 'p, k, f, t' 다음에서는 -s /s/로 발음 됩니다.


 book - books [buks]

 cap - caps [kæps]

 cliff - cliffs [klifs]

 pick - picks [piks]

 rat - rats [ræts]

 



(3) ‘모음, 유성자음’+s /z/

모음이나 유성자음 'b,d,g,v,m,n,l,r 다음에서는 -s가 /z/로 발음된다.


 cabs [kæbz]

 hives [haivz]

 pads [pædz]

 pigs [pigz]

 tomatoes [təméitouz]

 



이상으로 복수형과 발음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거완료 - 동사의 시제  (4) 2014.11.14
동사구 (동사+부사)  (2) 2014.11.12
4형식 동사  (0) 2014.11.08
인칭대명사 남성 여성  (0) 2014.11.07
등위 접속사 and  (0) 2014.11.06




4형식 동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4형식 동사를 보겠습니다. 



수여동사,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등 어려운 문법 용어들이 나옵니다. 개념을 잘 정리해 둡시다.

 

1. 4형식 동사는 수여동사이다.


4형식 문장을 만드는 동사를‘수여동사’라고 합니다.‘수여’는 ‘~을 주다’라는 의미입니다. ‘상장을 수여하다’에서 사용되는 ‘수여’와 같습니다.

I sent her a flower.  ▶ sent, 수여동사

나는 그녀에게 보냈다꽃을.


She gave me a kiss. ▶gave, 수여동사

그녀는 나에게 주었다키스를.

 

2. 간접목적어는 목적어를 받는 사람이다.


수여동사가 하는 행위를 받는 사람을 ‘간접 목적어(Indirect Object)’라고 하며, 줄여서 IO라고 합니다. 간접 목적어는 인칭대명사의 목적격을 쓰며, ‘~에게또는 ‘~를 위해’로 해석됩니다.

She bought me a dog.  ▶ ., 개를 받는 사람  

그녀는 나에게 사주었다개 한 마리를


The dog brought me joy.  , 기쁨을 받는 사람

그 개는 나에게 가져다 주었다기쁨을

 

3. 직접 목적어는 행위의 대상이다.


직접목적어는 수여동사가 하는 행위의 대상으로‘사물입니다. ‘Direct Objective’라고 하며, 줄여서 ‘DO’라고 쓰기도 합니다. 직접목적어는 우리말로 ‘~, ~를’로 해석됩니다.

I built my son a small garden.  ▶ a small garden, 직접목적어

나는 내 아들에게 만들어 주었다작은 정원을.


The garden gave my son flowers.  ▶ flowers, 직접목적어

그 정원은 내 아들에게 주었다꽃들을.

 

4. 간접목적어는 직접 목적어 앞에 온다.


4형식 문장에서 간접목적어는 동사 뒤, 직접목적어 앞에 위치합니다. (1)에서 간접목적어 my son은 직접목적어 a small garden 앞에 옵니다.

(1) I built my son a small garden.  간목 + 직목

     나는 내 아들에게 만들어 주었다작은 정원을.


그렇지만 (1) 4형식 문장은, 전치사구를 사용하여 3형식 문장으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

(2) I built a small garden for my son. 직목 + for +  간목

     나는 작은 정원을 만들었다내 아들을 위해서.

 


이상으로 4형식 동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사구 (동사+부사)  (2) 2014.11.12
명사의 복수형과 발음 – 규칙 변화  (0) 2014.11.10
인칭대명사 남성 여성  (0) 2014.11.07
등위 접속사 and  (0) 2014.11.06
대명사 개념정리  (0) 2014.11.05

인칭대명사 남성, 여성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인칭대명사의 남성, 여성을 살펴 보겠습니다. 


인칭대명사에는 남성, 여성 그리고 남성도 여성도 아닌 것이 있습니다. 인칭대명사는 지칭하는 대상의 성에 맞추어 써야 합니다.



1. 인칭이란 화자와 청자의 관계를 말한다.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라 인칭대명사를 1인칭, 2인칭, 3인칭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1인칭은 말하는 이가 포함된 사람입니다.

I, me, my, mine, we, us, our, ours.


2인칭은 듣는 사람을 나타냅니다. 

you, your, yours.


3인칭은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을 제외한 나머지를 나타냅니다.

he, his, him, she, her, hers, they, their, theirs, them, it, its.



2. 인칭대명사는 성(gender)을 갖는다.  


인칭대명사는 남성은 남성 대명사로, 여성은 여성 대명사로 받습니다. 그리고 성을 구별할 수 없으면 중성으로 받습니다.

남성 (Masculine): he, his, him.     

여성 (Feminine) : she, her, hers.   

중성 (Neuter): it, its

 

(1) MY friend (a man) is taking his examinations. 남성 지칭 -> his

내 친구가 시험을 치르고 있다.

(2) Each of the students in girls’ school brought her book. 여성 지칭 -> her

여학교 학생 각자는 자신의 책을 가져왔다.

(3) It is a pretty baby. 성을 구별할 수 없음 -> it

   예쁜 아기다.

(4) The wolf is the most savage of its race. 성 구별이 중요치 않음 -> it

   그 늑대는 무리 중에서 가장 잔인하다



이상으로 인칭대명사의 남성 여성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사의 복수형과 발음 – 규칙 변화  (0) 2014.11.10
4형식 동사  (0) 2014.11.08
등위 접속사 and  (0) 2014.11.06
대명사 개념정리  (0) 2014.11.05
가정법 과거완료  (0) 2014.10.31

등위 접속사 and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등위 접속사를 살펴 보겠습니다. 


등위접속사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and입니다.

 And는 주로 밀접하게 연속된 사건을 연결합니다

그렇지만 and가 대조와 조건을 뜻할 수도 있습니다

문맥에 맞게 and의 의미를 파악해 봅시다.

 

1and는 연속을 나타낸다.


 등위 접속사 and는 두 사건이 시간적으로 연속될 때 사용합니다 –(1). 또한 두 사건이 원인과 결과로 연결되어 있을 때도 쓸 수 있습니다 –(2).


(1) I shopped at the store, and I went home. 시간의 연속

    나는 가게에서 쇼핑했다, 그리고 집으로 갔다.


(2) It rained last night, and the road was wet. 사건의 연속

    어제 저녁에 비가 왔다, 그래서 길이 젖었다.

 

2. and는 대조를 나타낼 수 있다.


 And가 서로 다른 대상을 연결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and로 표현할 수도 있지만 의미에 맞는 접속사를 쓰는 것이 더 낫습니다.


(1) Koreans like vegetables, and Chinese like meat. 서로 다른 내용 연결

   = Koreans like vegetables, BUT Chinese like meat.

    한국인들은 야채를 좋아하지만, 중국인들은 고기를 좋아한다.


(2)  We tried our best and (yet) we lost the game.  논리적으로 다른 내용 연결

   = We tried our best, BUT we lost the game.

    우리들은 최선을 다했지만, 그 경기에서 졌다.

 

3. 명령문+and는 조건을 나타낸다.


 And는 명령문과 함께 쓰여 조건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때 명령문+and’해라, 그러면 ~할 것이다는 뜻을 갖습니다.


(1) Get up early, and you will catch the plane. 명령문 + and

  = If you get up early, you will catch the plane. ▶ if ~

   일찍 일어나라, 그러면 비행기를 탈 수 있다.


(2) Smile, and the world will smile you back. 명령문 + and

   = If you smile, the world will smile you back. ▶ if ~

     웃어라, 그러면 세상도 당신에게 웃을 것이다.



 이상으로 등위 접속사 and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4형식 동사  (0) 2014.11.08
인칭대명사 남성 여성  (0) 2014.11.07
대명사 개념정리  (0) 2014.11.05
가정법 과거완료  (0) 2014.10.31
형용사의 어순  (1) 2014.10.30

[1] 대명사 개념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대명사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대명사는 앞()에 나온 말을 대신해서 사용합니다. 대명사가 대신하는 말을 선행사라고 합니다.


1. 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한다.


같은 명사가 반복되면 문장이 어색해 집니다.   


(1)~(2)은 문법적으로 잘못된 곳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어색합니다같은 명사가 반복되었기 때문입니다 .

(1) Mary eats little and Mary is thin. ▶ Mary의 반복

    Mary는 별로 안 먹는다 / 그래서 Mary는 말랐다.

(2) I know Tom, and I like Tom. ▶ Tom의 반복

    나는 Tom을 안다, 그리고 나는 Tom을 좋아한다.


    위 문장들을 다음과 같이 고쳐 보겠습니다.

(1) Mary eats little and she is thin. ▶ Mary -> she

(2) I know Tom, and I like him. Tom -> him


반복되는 명사를 대명사로 바꾸어 주면, 문장이 간결해지고 깔끔해 집니다영어에는, 반복을 싫어하는 경향 때문에 대명사가 발달해 있습니다. 대명사(pronoun)의 어원은 ‘명사를 위해서’입니다



2. 대명사는 문장을 대신한다.


앞에 나온 문장이 반복 될 때, 대명사를 사용하여 간결하게 쓸 수 있습니다.


(1). If she goes there, I will do it as well. If she goes there -> it

    만약 그녀가 거기 간다면, 나도 또한 그렇게 할 것이다.

(2) She was pleased, and so was I. pleased -> so

    그녀는 기뻐했고 나도 그랬다.



3. 대명사가 대신하는 말을 선행사라고 한다.


대명사는 어떤 말 대신에 쓰이는 말입니다. 그리고 선행사란 대명사가 대신하는 말입니다.

다음 예문에서, book은 대명사 it의 선행사이고, Johnhis의 선행사입니다. 대명사는 선행사와 ‘인칭, , 수’가 일치해야 합니다.


ex) John took Mary's book and gave it to his friend. ▶ it -> book, his -> book

     John은 Mary의 책을 가져가서 그것을 그의 친구에게 주었다. 



이상으로 대명사 개념정리를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칭대명사 남성 여성  (0) 2014.11.07
등위 접속사 and  (0) 2014.11.06
가정법 과거완료  (0) 2014.10.31
형용사의 어순  (1) 2014.10.30
조동사 would, used to  (0) 2014.10.29

[3] 가정법 과거완료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가정법 과거완료를 살펴 보겠습니다. 



가정법 과거 완료 또한 시제의 일치가 중요합니다. 가정법 과거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정법 과거완료의 형식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1. 가정법 과거완료는 과거 사실의 반대를 나타낸다.


가정법 과거완료는 ‘과거 사실에 대한 반대’를 나타내면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해석은 만약 ~했었더라면이라고 합니다.

 

가정법 과거완료 : If+S+had pp, S+(would, could) have p.p.

 

직설법 과거를 가정법 과거완료로 바꿀 때 주의할 사항들입니다.  

직설법의 과거 동사는 가정법에서는 과거완료가 된다. 

직설법 긍정은 가정법 부정으로, 직설법 부정은 가정법 긍정이 된다.

과거 조동사+have+p.p.’를 쓴다.

 

직설법을 가정법으로 바꾼 예문입니다. 긍정·부정 및 동사의 시제 변화에 주의해야 합니다.

(1) I was not wise, so I married you. 직설법 과거

  나는 현명하지 못했다, 그래서 당신과 결혼했다.

(2) If I had been wise, I would not have married you. 가정법 과거완료

   내가 현명했더라면, 당신과 결혼하지 않았을 텐데.

 


2. 과거 조동사는 would·could를 사용한다.


주절에서는 조동사 would, could를 주로 사용합니다. 가정법 과거완료에서, 주절에 주로 쓰이는 조동사는 would could입니다.


might have p.p.’는 가정법에도 쓰이지만, 과거에 대한 추측으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그러므로 가정법 과거완료라고만 하기는 어렵습니다.


should have p.p.’는 ‘과거 사실에 대한 반대’라는 의미를 가지고는 있습니다. 그렇지만 ‘~했어야 했는데 안 했다’는, 과거에 대한 유감이나 후회로 쓰이기 때문에 별도로 취급합니다.

 

 

3. 조건절과 주절의 시제를 일치 시킨다.


가정법 과거완료 역시 동사의 시제 일치가 중요합니다. if절에는 과거완료(had p.p.)가 오고, 주절에는 조동사 과거형 have p.p.’가 와야 합니다.

 

If+S+had pp, S+(would, could) have p.p

    과거완료    조동사 have p.p.

 

(1)번에서는 if절에 과거완료 ‘had been’이 왔습니다. 그러므로 주절에도 가정법 과거완료 시제가 와야 합니다. would have been’을 써야 합니다..

(2)번에서는 주절에 ‘would have died’가 왔습니다. 가정법 과거완료이므로 if 절에는 과거완료 ‘had p.p.’가 와야 합니다. had가 와야 합니다. .


(1) If I had been a girl, my life (be) different. ▶ had been -> would have been

   내가 여자였더라면, 내 인생은 달랐을 것이다.

(2) If you (have) not married me, I would have died single. had <- would have died

    당신이 나와 결혼하지 않았더라면, 나는 싱글로 죽었을 것이다.



이상으로 가정법 과거완료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위 접속사 and  (0) 2014.11.06
대명사 개념정리  (0) 2014.11.05
형용사의 어순  (1) 2014.10.30
조동사 would, used to  (0) 2014.10.29
보통명사-셀 수 있는 명사  (0) 2014.10.28

형용사의 어순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형용사의 어순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1. 형용사는 관사 다음에 온다.  


관사가 있을 경우, 형용사는 일반적으로 관사 다음에 옵니다. 이 경우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는 관사+형용사+명사의 순서로 위치합니다.


(1) a strong man  a+형용사+명사

   한 강한 남자

(2) the large garden the+형용사+명사

   그 큰 정원



2. 여러 개의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수 있다.


관사와 명사 사이에는 여러 가지 형용사가 들어 갈 수 있습니다.


(1) a tall strong man 관사+형용사+형용사+명사

(2) the beautiful large green garden. 관사+형용사+형용사+형용사+명사


(주의)

이론적으로는 수 많은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네 개 이상의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는 찾아 보기 힘듭니다.



3. 의미상 중요한 형용사는 명사 가까이 둔다.


여러 형용사들이 명사 앞에 있을 때, 형용사들의 순서를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중요한 말일수록 명사 가까이 위치합니다.


기본적으로 정해진 순서는 관사+서수+기수+형용사+명사입니다. 관사는 의미가 약하기 때문에 맨 앞에 옵니다. 그리고 서수와 기수도, 관사보다는 의미가 강하지만 형용사보다는 의미가 약하기 때문에 형용사 앞에 옵니다.


같은 중요도의 형용사들이 올 경우에는 강조하고 싶은 형용사를 명사 가까이 놓습니다. (4)번은 Korean을 강조해서 명사 바로 앞에 두었습니다. (5)번은 black을 강조해서 명사 바로 앞에 두었습니다.


(1) the black sports cars. the+형용사+명사

   검은 스포츠카들

(2) the two black sports cars. the+수사+형용사+명사

   두 대의 검은 스포츠카들

(3) the first two black sports cars. the+서수+기수+형용사+명사

   첫 번째 두 대의 검은 스포츠카들

(4) the first two black Korean sports cars. the+서수+기수+형용사+형용사+명사

   첫 번째 두 대의 검은색 한국산 스포츠카들 (한국산 강조)

(5) the first two Korean black sports cars. the+서수+기수+형용사+형용사+명사

첫 번째 두 대의 한국산 검은색 스포츠카들



이상으로 형용사의 어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명사 개념정리  (0) 2014.11.05
가정법 과거완료  (0) 2014.10.31
조동사 would, used to  (0) 2014.10.29
보통명사-셀 수 있는 명사  (0) 2014.10.28
가정법 과거 용법 정리  (1) 2014.10.27

조동사 would, used to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조동사 would, used to를 보겠습니다. 


would는 기본적으로 will의 과거형 입니다. 그렇지만 현대 영어에서는 ‘would’ 고유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훨씬 더 많습니다. 그리고 ‘would, used to’ 사이의 의미차이도 알아 두어야 합니다 .

 

1. would will의 과거로 쓰인다.


주절의 동사가 과거일 때, 종속절의 동사의 시제도 과거로 바꿉니다. 이 경우, will would로 바꿔서 과거를 표현합니다. 이 경우 would의 해석은 ‘~일 것이다가 됩니다.

 

다음 예문에서, 직접 인용문의 미래(will)는 간접 인용문에서는 과거(would)가 되었습니다. 주절의 동사가 과거(said)이기 때문입니다. 이 때 would는 형식은 과거지만 앞으로 일어날 미래를 나타냅니다.  

ex) He said, “I will be twenty next year”. 직접 인용문

   -> He said that he would be twenty next year. 간접 인용문



2. would는 의지를 나타낸다.


would는 화자의 의지를 나타내서, ‘~하겠다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1). 부정적인 의지를 나타낼 경우 고집이라고 합니다 –(2). 의지·소망을 나타낼 경우에 would는 과거의 의미가 없습니다.

(1) He would go there no matter what. 의지

그는 무슨 일이 있어도 거기 가려고 한다.

(2) My daughter wouldn't listen to me. 고집

내 딸은 내 말을 들으려고 하지 않는다.



3. would는 과거의 습관을 나타낸다.


would는 지금은 하지 않지만, 과거에는 했던 습관적인 행위를 나타냅니다. 이 때 would‘used to’와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1). 그러나 과거의 상태를 나타낼 때는 used to만 써야 합니다. would는 과거의 행위만을 나타냅니다 –(2).


(1) My son would play with Lego as a child. 과거의 습관 would.

  -> My son used to play with Lego as a child. 과거의 습관 used to

내 아들은 어릴 때 레고를 가지고 놀았었다. 지금은 안 가지고 논다.


(2) There would be a pond here. (x) 상태 -> would 안됨

-> There used to be pond here. (o) 상태 -> used to

예전에는 여기에 연못이 있었다



이상으로 would, used to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법 과거완료  (0) 2014.10.31
형용사의 어순  (1) 2014.10.30
보통명사-셀 수 있는 명사  (0) 2014.10.28
가정법 과거 용법 정리  (1) 2014.10.27
조동사의 일반적 용법  (0) 2014.10.25

[2] 보통명사 셀 수 있는 명사 (1)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보통 명사를 살펴 보겠습니다. 


보통 명사는 전체를 나타내며 셀 수 있는 말들입니다. 문장에서 보통명사가 어떻게 쓰이는지 알아 봅시다.

 

1. 보통명사는 전체를 나타내는 이름이다.


보통 명사는 어떤 대상 전체를 지칭하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사과라고 할 때는 특정한 개별 사과를 가리키는 것이 아닙니다. 사과란, 빨간색의 윤기 나는 껍질로 둘러 싸인, 달콤하고 사각사각한 과육을 가진 평균적인 과일 전체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사과는 이와 같은 속성을 가진 것 전체를 가리키는 보통 명사입니다.

 

주위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동물과 사물들은 대부분 보통 명사에 속합니다.

apple, computer, desk, lion, mountain 등등.



2. 보통 명사는 혼자 쓰일 수 없다.


보통 명사는 문장에서 관사 또는 복수형과 함께 써야 합니다. 보통명사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혼자 쓰이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보통 명사 girl은 문장에서 (1)~(4)중 한 가지로 사용됩니다. 문장에서 girl이 홀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표현

구성

의미 1

의미 2

(1) a girl

부정관사+명사

한 소녀 (불특정)

소녀들 전체

(2) the girl

정관사+명사

그 소녀 (특정)

소녀들 전체

(3) girls

복수 보통명사

여러 소녀들

소녀들 전체

(4) my girl

한정사+명사

나의 소녀

 

 

(1), (2),(3), 집단 전체를 나타낸다고 하여 종족대표라고도 합니다.


 그렇지만 특정 집단 전체를 나타낼 경우에는 복수형을 가장 많이 씁니다 –(5)

(5) Girls want to be thin. 

     소녀들은 날씬해지고 싶어한다. 소녀들 전체



이상으로 보통 명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용사의 어순  (1) 2014.10.30
조동사 would, used to  (0) 2014.10.29
가정법 과거 용법 정리  (1) 2014.10.27
조동사의 일반적 용법  (0) 2014.10.25
동명사의 목적어를 이끄는 of ~  (2) 2014.10.24

가정법 과거 용법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가정법 과거 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가정법 과거에서는 동사의 시제를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가정법 과거의 형식을 정확하게 알아 둬야 합니다.

 

1. 가정법 과거는 현재 사실의 반대를 나타낸다.


가정법은 직설법 현재와 반대되는 사실을 표현합니다. 그러므로 직설법과 구별하기 위해 형태가 정해져 있습니다. 가정법 과거의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해석은 만약 ~한다면이라고 합니다.

 

가정법 과거 : If+S+과거형, S+조동사 과거형+동사원형

(would, could, should, might)

 

직설법을 가정법 과거로 바꾸는 데 있어서 주의할 것은 다음 네 가지입니다.

직설법의 현재 동사는 가정법에서는 과거가 된다.  

직설법 긍정은 가정법 부정으로, 직설법 부정은 가정법 긍정이 된다.

if절의 be동사는 were가 원칙이지만, 인칭에 따라 was를 쓰기도 한다.

☞ 과거 조동사+동사 원형을 쓴다.

 

다음은 직설법 현재를 가정법 과거로 바꾼 예문입니다. 긍정·부정 및 동사의 시제 변화에 주의해야 합니다.

 (1) I am not a bird, so I can not fly to you. 직설법 현재

나는 새가 아니라서, 당신에게 날아갈 수 없다.

(2) If I were a bird, I could fly to you. 가정법 과거 

내가 새라면 당신에게 날아갈 텐데.

 

2. 가정법 과거에서 조동사는 주로 would를 쓴다.


가정법 과거의 주절에서는 조동사 ‘would, could, should, might’가 올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would’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1). ‘가능’이라는 의미가 있을 때는 ‘could’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2). 가정법 과거에서 ‘might, should’는 그다지 많이 사용하지 않습니다.

(1) If I were you, I would go there. 일반적으로 would

내가 너라면, 거기 갈 거야.

(2) If I were a bird, I could fly to you. 가능을 나타낼 때는 could

   내가 새라면, 당신에게 날아갈 수 있을 것이다.

 

3. 가정법은 시제가 가장 중요하다.


대부분의 영어 시험에서 가정법은 ‘시제’를 묻는 문제가 주로 출제됩니다. 시제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가정법 과거 형식을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어야 합니다. 중요한 점은, if절의 과거형 동사와 주절에서 과거조동사+동사원형을 일치시키는 것입니다.


If+S+과거형, S+조동사 과거형+동사원형

 

(1)번에서는, if절에 과거동사가 왔습니다. 가정법 과거이므로 주절은 ‘조동사의 과거형 + 동사원형’이 와야 합니다.

(2)번에서는, 주절에 '조동사의 과거형+동사원형‘이 왔습니다. 그러므로 가정법과거입니다. 그래서 주절에서도 ’과거형'을 써야 합니다.

(1) If I were young again, I (can, could) do anything. ▶ were -> could

(2) If I (am, were) you, I wouldn't do that. 조동사 과거형 동사원형 <- were



이상으로 가정 과거 용법 정리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동사 would, used to  (0) 2014.10.29
보통명사-셀 수 있는 명사  (0) 2014.10.28
조동사의 일반적 용법  (0) 2014.10.25
동명사의 목적어를 이끄는 of ~  (2) 2014.10.24
동명사 관용 표현  (0) 2014.10.22

[1] 조동사의 일반적 용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조동사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조동사는 화자의 감정과 뉘앙스를 나타내는 훌륭한 표현수단입니다. 조동사를 개별적으로 공부하기에 앞서 기본적인 사항을 살펴 봅시다.

 

1. 조동사 다음에는 항상 동사 원형을 쓴다.


예외가 없는 규칙입니다. 조동사 다음에는 항상 동사 원형을 써야 합니다 –(1). 조동사와 본동사 사이에 다른 말이 있어도 동사원형을 써야 합니다. –(2) 조동사 다음에


(1) I will be twenty next year. 

     나는 내년에 스무 살이 될 거야.  


(2) I will always love you. 

     나는 언제나 당신을 사랑할거야.  

 

2. 조동사를 두 개 연속해서 쓸 수 없다.


한 문장에서 조동사는 항상 하나만 써야 합니다. 의미가 독립된 조동사를 두 개 이상 쓰거나, 연속해서 쓰면 안됩니다 –(1).


ex) I will can speak English fluently. (x)  

-> I will speak English fluently. 

     나는 영어를 능숙하게 말하겠다

 

3. 조동사의 과거형은 정중한 표현이다.


영어에 존댓말 개념은 없지만, 정중한 표현은 분명히 있습니다. 보통 조동사의 과거형은 원형에 비해 좀 더 예의 바르고 정중한 표현을 나타냅니다.

 

(1), (2)번 둘 다, 기본적인 의미는 ‘나 좀 도와줄래?’입니다. 그렇지만 (1) (2)가 전하는 뉘앙스는 다릅니다. (1)번은 친한 사이에 하는 ‘반말’입니다. 이에 대해 (2)번은 정중한 표현입니다.  


(1) Can you help me? 

     좀 도와줘.  (일상적인 표현)


(2) Could you help me? 

      좀 도와 줄 수 있어요?  (예의 바른 표현)

 

4. 조동사의 의미를 알아 두자.


자주 사용되는 영어의 전치사와 그 의미를 정리했습니다. 단일형은 한 단어로 이루어진 것이고, 조합형은 두 단어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들입니다.

 

단일형


 1. will  (~할 것이다   

 2. would (~할 것이다)

 3. can (~할 수 있다 

 4. could (~할 수 있었다)

 5. shall (~일 것이다 

 6. should (~해야 한다)

 7. may (~일지도 모른다, ~해도 좋다)

 8. might (~일지도 모른다)

 9. must (~해야 한다    

 10. dare (감히 ~하다)

 11. need (~할 필요가 있다

 12. do, does, did (정말로)

            

조합형


 1. ought to (~해야 한다   

 2. had better (~하는 것이 더 낫다)

 3. would rather (차라리 ~하겠다

 4. used to (~하곤 했었다.)

 5. have(has) to (~해야 한다  

 6. have got to (~해야 한다)

 7. be able to (~할 수 있다  

 8. be going to (~할 것이다)

 9. may well (~하는 것이 당연하다

 10. may as well (~하는 것이 낫다)

 11. would sooner (차라리 ~하겠다)

 


심화 (1)

조동사는 문장에서 독립적으로 동사로 쓰일 수 없습니다. 조동사란 명칭도 여기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ex) My son would with Lego. (x)  (조동사가 혼자서 쓰였음)

  -> My son would play with Lego. 내 아들은 레고를 가지고 놀았다.  (조동사+동사)

 

심화 (2)

수동태와 완료형에 쓰이는 be, have를 조동사로 볼수 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경우에 ‘be, have’는 독립된 조동사가 아닙니다. 그 보다는, 수동태와 완료형을 나타내는 표지에 불과합니다.

will be done. 행해질 것이다.  (수동 표현 표지)

could have gone. 갈 수도 있었다. (완료 표현 표지)



이상으로 조동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명사의 목적어를 이끄는 of ~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동명사의 목적어를 이끄는 of를 보겠습니다.


전치사 of는 동명사의 목적어를 이끌 수 있습니다. 자주 쓰이는 유용한 구조이므로 잘 익혀두길 바랍니다.

 

1. of~는 동명사의 목적어를 이끌 수 있다.


동명사의 목적어 자리에 of가 이끄는 명사구가 올 수 있습니다. 예문에서 of 이하는 주어로 해석할 수도 있고 -(1), 목적어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2).


ex) the painting of his wife.

(1) 그의 아내가 그린 그림 

   → His wife painted the painting


(2) 그의 아내를 그린 그림 

   → Someone painted his wife.

 

목적어 역할을 하는 of~을 유형별로 분류해서 살펴 봅시다.

 

2. of~은 ‘형용사+동명사’의 목적어 역할을 한다.


동명사 앞에 있는 형용사는 ~ing가 명사적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줍니다. 그리고 of~ 이하는 목적어 역할을 하는 말을 이끌고 있습니다.


(1), (2)번을 ‘동사+목적어’로 바꾸어 보면, of~의 목적어적 역할을 확실하게 알 수 있습니다.


(1) another buying of a car

    -> buy a car. (동사+목적어)

     또 다른 차의 구입


(2) careful analyzing of the problem.  

    -> analyze the problem. (동사+목적어)

     문제의 주의 깊은 분석



3. of~은 ‘this·that+동명사’의 목적어 역할을 한다.

  

'this, that' 다음에서 of~은 동명사의 목적어로 쓰입니다.


역시 ‘동사+목적어’로 바꿀 수 있습니다.


(1) This breaking of his promise is exceptional for Clark. break his promise.

     이렇게 약속을 어긴 것은 Clark에게는 예외적이다.


(2) That saving of the little girl was heroic. save the little.

     어린 소녀를 그렇게 구한 것은 영웅적인 것이었다.



그럼 이상으로 동명사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of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법 과거 용법 정리  (1) 2014.10.27
조동사의 일반적 용법  (0) 2014.10.25
동명사 관용 표현  (0) 2014.10.22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들  (0) 2014.10.21
전치사+동명사  (1) 2014.10.20

동명사 관용 표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동명사 관용 표현을 보겠습니다. 



자주 쓰이는 동명사 관용표현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문법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단어라고 생각하고 외워야 합니다아주 많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관용 표현 1-5


1.  have difficulty (in) ~ing,  have a hard time (in) ~ing, have a trouble (in) ~ing

   ~하는데 어려움을 겪다.

ex) I had a great difficulty in finding your place. 

     너네 집 찾느라 아주 고생했어.

 

2. It is no use ~ing  ~해도 소용없다.

ex) It is no use trying to find where he lives. 

     그가 어디에 사는지 알아내려 노력해도 소용없다.

 

3. There is no ~ing    ~할 수 없다

ex) There is no deceiving this cutting-edge detector. 

      이 최첨단 탐지기를 속이는 건 불가능합니다.

 

4. cannot help ~ing  ~하지 않을 수 없다.

ex) Elvis melted all of girls’ hearts, singing ‘Can’t help falling in love with you.’

     ‘그대를 사랑할 수 밖에 없네요라는 노래를 불러서, 엘비스는 여성들의 마음을 모두 녹였다.

 

5. feel like ~ing  ~하고 싶어 하다.

ex) I feel like dancing in the rain.  

      비를 맞으며 춤추고 싶어라.

 

관용 표현 6-10


6. be worth ~ing  ~할 가치가 있다.

ex) His suggestion is well worth reconsidering. 

      그의 제안은 재고할 만합니다.

 

7. be busy ~ing   ~하느라 바쁘다. 

ex) We are all busy in preparing for the exam.  

우린 모두들 시험준비를 하느라 바쁘다.

 

8. spend + 시간/ + ~ing  ~하는데 시간/돈을 쓰다.

ex) He spent his daily life in writing this book. 

      그는 이 책을 집필하는 데에 일상을 들였다.

 

9. when it comes to ~ing   ~의 이야기(문제)라면

ex) He is an expert when it comes to comparing digital gadgets. 

      그는 디지털 기기를 비교하는 문제라면 전문가이다.

 

10. look forward to ~ing  ~을 고대하다

ex) I am looking forward to getting the new album of his. 

      나는 그의 새 음반을 굉장히 기다리고 있다.

 

관용 표현 11-14


11. with a view to ~ing  ~하기 위하여

ex) He was learning Spanish with a view to visiting Argentina. 

      아르헨티나에 가 볼 생각으로 그는 스페인어를 배우는 중이었다.

 

12. What about ~ing, How about ~ ing   ~은 어떠니?

ex) How about doing the tango with me?  

      나랑 탱고 추는 거 어때?


13. in ~ ing  ~
할 때, ~하는 데에서

ex) You should be extremely careful in investigating a crime.  

     범죄를 조사하는 데 있어서는 매우 신중해야 한다.

 

14. on ~ing  ~하자마자, ~할 때

   ex) On seeing the scene, he noticed something had gone wrong.  

         그 장면을 보자마자, 그는 뭔가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이상으로 동명사 관용 표현에 대한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들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들을 살펴 보겠습니다.



많은 동사들이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할 수 있습니다.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할 때의 의미와 비교해서 살펴 봅시다.



1. 동명사는 일반적인 사실을 나타낸다.


동명사는 실제로 발생한 행위(performance)를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사실을 나타냅니다. 이에 대하여, 가능성을 나타내는 부정사는 일시적인 동작의 의미가 강합니다.


(1)번은 평소에 거짓말 자체가 싫은 것입니다. (2)번은 지금 이 순간 거짓말하기 싫다는 의미입니다.

(1) I hate lying. 일반적 사실

    나는 (평소에) 거짓말이 싫다.

(2) I hate to lie. 순간적인 동작

    나는 (지금) 거짓말하기 싫다.

 

부사를 함께 써주면 의미가 더욱 분명해 집니다.


(3) I don't like smoking. 평소에 흡연에 반대하고 있다.

    나는 담배 피우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4) I don't like to smoke now. 지금만 피우고 싶지 않다, 평소에는 피울 수도 있다.

    나는 지금 담배 피우고 싶지 않다.


(주의)

동명사와 부정사의 의미가 항상 분명하게 구별되는 것은 아닙니다. 문맥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훨씬 더 많습니다.



2. '피하다(avoid)' 계열 동사들은 ~ing를 목적어로 취한다.


‘피하다’라는 의미와 관련된 동사들은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리적으로 피하다)

avoid  (피하다)

deny  (부인하다)

escape  (탈출하다)

miss  (놓치다)

put off  (연기하다)

resist  (저항하다)

shirk  (회피하다)

can't help~ing  (~하지 않을 수 없다)

can't stand~ing  (~하는 것을 참을 수 없다)

refrain from~ing  (~을 삼가다)

 

(심리적으로 피하다)

abominate  (혐오하다) 

 detest  (혐오하다) 

 loathe  (혐오하다) 

mind  (꺼려하다)


(1) I can't avoid confronting with my boss.  (avoid ~ing)

    나는 상사와 부딪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2) She loathes working with me.  (loath ~ing)

    그녀는 나와 일하는 것을 끔찍하게 싫어한다. 



이상으로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명사의 목적어를 이끄는 of ~  (2) 2014.10.24
동명사 관용 표현  (0) 2014.10.22
전치사+동명사  (1) 2014.10.20
동명사의 동사적 성격  (0) 2014.10.18
동명사 의미상 주어  (0) 2014.10.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