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lk turkey, cold turkey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관용구 ‘talk turkey'를 보겠습니다.



1. talk turkey


영어를 공부하다보면 종종 관용구라는 벽에 부딪칩니다. 비영어권 사람들에게는 감이 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런 관용구들을 공부하는 특별한 방법은 없습니다. 뜻을 외우고 자주 써야 합니다. 오늘 살펴볼 관용구 'talk turkey'는 관용구 중에서도 어려운 것입니다.


관용구에서는 보통 문법을 따질 수 없습니다. ‘talk turkey'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문법적으로 보면, 자동사 'talk' 다음에는 전치사 없이 명사가 바로 올 수 없습니다. 그런데 'talk turkey' 다음에는 명사 ’turkey'가 와서 부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talk turkey'는 비격식체로서 ‘진지하게 말하다’, ‘심각하게 말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 talk turkey : 진지하게 말하다, 심각하게 말하다.

                   (to talk business; to talk frankly)



2. talk turkey 유래


이 표현의 정확한 유래는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초기 북미 정착민들과 인디언들 사이에서 사냥감을 나누면서 생긴 말이라는 설이 우세합니다. Diction.com에 나온 내용을 재구성해 보겠습니다.


사냥이 끝나고 사냥감을 나누면서...

백인: “I'll take the turkey and you the buzzard, or you take the buzzard and I the turkey?”

         내가 칠면조를 가지고 너는 말똥가리는 가질래, 

         아니면 너가 말똥가리를 가지고 내가 칠면조를 가질까?.

인디언: What? "Talk turky to me!"

          뭐라고? 좀 분명히 말해봐!


'talk turkey'가 들어간 예문들을 봅시다.

(1) It's time to talk turkey. We have to be serious.

    이제 진지하게 말할 때야. 좀 심각해 져야해.

(2) Whenever I try to talk turkey, he tries to joke around.

    내가 심각하게 이야기할 때마다, 그는 농담으로 넘기려고 한다.

(3) My boss wants me to talk turkey.

    내 상사는 내가 본론을 말하길 바란다.



3. cold turkey


cold turkey도 자주 쓰이는 관용구이니, 같이 알아 두길 바랍니다.


■ cold turkey: (약 등을) 갑자기 끊다

(immediate, complete withdrawal from something, especially an addictive substance)

① I have to go cold turkey on alcohol.

    나는 술을 딱 끊어야만 한다.

② She stopped smoking cold turkey.

    그녀는 담배를 갑자기 끊었다.

 


이상으로 ‘talk turkey'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5형식 목적보어  (0) 2025.04.02
등위접속사 but  (2) 2024.12.10
because, because of, for (이유를 나타내는 표현들)  (2) 2015.01.01
조동사 must  (0) 2014.12.28
조동사 may  (0) 2014.12.27

have a big head, 너무 잘난 척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have a big head’를 보겠습니다.

 

1. have a big head : 의미

잘난척하다, 우쭐해 하다


형용사 ‘big(크다)’이 붙는 단어들은 보통 긍정적인 느낌을 줍니다. big man, big house, big bonus, big boss, 기타 등등.


그런데 ‘big head'는 그렇게 좋은 의미가 아닙니다. 우리 말에서 ’큰 머리‘는 절대 찬사가 아닙니다. 여자는 물론 남자도 머리가 크다는 말을 들으면 좋아하지 않습니다. 우리 말에서 ’big head'는 두뇌(brain)라기 보다는 외모를 흠잡는데 쓰입니다.


영어에서도 big head는 부정적인 비난의 표현입니다. 단지 외모에 쓰이지 않는 다는 것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He got a big head'는, 머리가 큰 사람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말은 ‘똑똑하고 잘난척하는 것’을 비난하는 것입니다. 'have a big head'는 보통 다음과 같은 뜻을 갖습니다.


■ have a big head : to think oneself as superior.

    (자신이 뛰어나다고 생각하다)

  → 잘난척 하다, 우쭐해 하다

 

2. have a big head : 유래와 예문

‘big head’가 이러한 의미를 가지게 된 것에는 사람들의 무지가 큰 역할을 했습니다. 과거에는 머리 크기와 그 사람의 지능이 비례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다음과 같이 단순․명쾌한 논리였습니다.


머리가 크다 -> 두뇌가 크다 -> 똑똑하다.


big head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나온 표현입니다. ‘큰 머리(big head)’를 가지고 있으니 거기에 걸맞게 똑똑할 것이라는 잘못된 추론의 결과입니다.


요즘에는 머리 크기와 지능에서 비례관계를 찾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이 표현-big head-‘은 ‘잘난 척 하는 사람을 비꼴 때’ 지금도 사용됩니다. big head가 들어간 예문을 봅시다.


(1) He has such a big-head. He always talks mighty about his fantastic grade.

     그는 되게 잘난척한다. 그는 항상 자신의 환상적인 학점을 떠벌인다.

 

(2) I don't want to be a big head, but I got a A in math.

     잘난척 하고 싶지는 않지만, 나는 수학에서 A를 받았다.

 

3. widen the door.

   문좀 넓혀라. 


big head를 가진 사람을 비난하는 표현도 있습니다. 'to widen the door (문을 넓히다)‘라는 표현입니다. 워낙 머리가 커서 들고나기 힘드니 문을 넓혀야 한다고 비꼬는 말입니다. 다음과 같이 쓰입니다.


ex) He got such a big head, so widen the door.

      그는 정말 잘난척 해, 그러니 문 좀 넓혀라.

 

이상으로 have a big head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in a jam, 곤경에 처하다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in a jam'을 보겠습니다.



1. in a jam


'in a jam'은 ‘곤경에 빠져있는, 궁지에 몰려있는’이라는 표현입니다. ‘in a jam'은 다음과 같이 쓰입니다.

 

(1) I am in a jam.

    나는 큰 일 났어.

(2) He got himself into a jam.

    그는 어려움을 자초했어.


여기서 jam은 과일에 발라먹는 끈적끈적한 그 jam입니다. 그런데 어떻게 맛있는 jam이 ‘어려움’이라는 뜻을 갖게 되었을까요?


아마 jam이 가진 끈적끈적함 때문일 것 같습니다. 끈끈이 주걱에 빠진 곤충들이 꼼짝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끈적끈적한 jam 속에 빠진다면 쉽게 움직일 수 없기 때문입니다.


2. jam이 들어간 표현들


어려움과 관련된, 자주 쓰이는 jam 표현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a traffic jam (교통 체증)

    My car was caught in an endless traffic jam.

    내 차는 끝없는 교통 체증에 걸렸다.


(2) a paper jam (종이 걸림)

    There's a paper jam in the copy machine.

    복사기에 종이가 걸렸다.


(3) be in a jam (어려움에 처하다)

    He found himself in a jam.

    그는 어려움에 처한 자신을 발견했다.


3. in a jam과 동의어들


'in a jam'은 위에서 보았듯이 ‘곤경에 빠지다’는 뜻입니다. 'in a jam'과 같은 의미를 지닌 표현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in a jam

= in a bind

= in a tight corner

= in a mess

= in a tight spot


각 표현들이 들어간 예문을 보겠습니다.

(1) The fox was in a bind.

    그 여우는 곤경에 처했다.

(2) Don't drive me into a tight corner.

    날 궁지에 몰아 넣지 마라.

(3) He was in a mess with money.

    그는 돈 때문에 궁지에 처해 있다.

(4) Terrorism puts democracy in a tight spot.

    테러는 민주주의를 위험한 상황으로 몬다.



이상으로 jam과 관련된 표현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I hope you will get out of any jam.

어떤 어려움이라도 벗어나길 바랍니다.

영어 동음이의어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동음이의어를 보겠습니다.


영어에는 발음이 같지만 의미가 다른 단어들이 많습니다. 이를 동음이의어(homonym)라고 합니다. 자주 사용되는 동음이의어들을 정리해 두었으니 잘 알아두길 바랍니다.

 

동음이의어 (1-5)


1. air (공기) - heir (상속인) [εər]

(1) The air is fresh and balmy.

    공기가 신선하고 상쾌하다.

(2) She is the sole heir to the property.

    그녀가 그 재산에 대한 유일한 상속인이다.


2. ark (방주) - arc (호, 아치모양) [aːrk]

(1) The ark was floating upon the water.

    방주는 물 위에 떠 있었다.

     (2) It formed the arc of a large circle.

     그것은 커다란 원의 호를 만들었다.


3. berry (산딸기) - bury (묻다) [béri]

(1) The berry was large and sweet.

    그 산딸기는 크고 달콤했다.

(2) He came to bury his friend.

    그는 친구를 묻기 위해서 왔다.


4. blew (불었다) - blue (파란) [bluː]

(1) The wind blew towards the shore.

    바람이 해변을 향해서 불었다.

(2) She wore a light blue dress.

    그녀는 밝고 파란 옷을 입었다.


5. bow (인사) - bough (가지) [bau]

(1) The boy made a polite bow.

    그 소년은 정중하게 인사를 했다.

(2) I could not break the bough.

    나는 그 가지를 부러뜨릴 수 없었다.

 

동음이의어 (6-10)


6. bare (벗은) - bear (곰) [bεər]

(1) His feet was bare.

    그의 발은 맨발이었다.

(2) The grizzly bear is very violent.

    회색곰은 난폭하다.


7. brake (브레이크) - break (깨다) [breik]

(1) The car braked and stopped.

    차가 브레이크를 걸고 멈췄다.

(2) It is not easy to break bad habits.

    나쁜 습관들을 깨는 것은 쉽지 않다.


8. base (비열한) - bass (베이스, 저음) [beis]

(1) Though base, he is a good bass singer.

    비록 비열하지만, 그는 훌륭한 베이스 가수다.


9. cell (감방) - sell (팔다) [sel]

(1) The thief was imprisoned in a narrow cell.

    그 도둑은 좁음 감방에 투옥되었다.

(2) We sell cars.

    우리는 차를 판다.


10. seller (판매자) - cellar (지하실) [sélər]

(1) The car seller deceived the purchaser.

    그 차 판매원은 고객을 속였다.

(2) Wine bottles are kept in the cellar.

    와인 병들은 지하실에 보관된다. 



이상으로 동음이의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because, because of, for : ~ 때문에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유를 나타내는 표현들을 보겠습니다.



‘because, because of, for’는 ‘~때문에’라는 뜻으로, 이유를 나타냅니다셋은 의미차이는 없고 품사와 쓰이는 위치만 다릅니다.

 

1. because는 종속 접속사이다.


종속접속사는 문장을 논리적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위치는 상관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종속접속사 because가 이끄는 절은 문장의 처음과 끝 어디에나 쓸 수 있습니다. 또한 because는 접속사이므로 다음에 문장(주어+동사)가 옵니다.

 

(1), (2)번은 둘 다 옳고 의미차이도 없는 문장입니다.

(1) I was tired, because I had to walk 20 miles. (O) 문장+(because+주어+동사)

    나는 피곤했다, 왜냐하면 20마일을 걸어야 했기 때문이다.

(2) Because I had to walk 20 miles, I was tired. (O) (Because+주어+동사)+문장

   내가 20마일을 걸어야 했기 때문에, 나는 피곤했다.

 

2. ‘because of’ 다음에는 명사가 온다.


because of because와 의미차이가 없습니다. 단지 ‘because of’가 전치사 of를 포함하므로, 다음에 ‘명사’가 와야 합니다.

 

(1)번에서는 뒤에 명사인 ‘his fatness'가 왔으므로 전치사 ‘because of’를 썼습니다. (2)번에서는 뒤에 ’he is fat'이라는 절이 왔으므로 접속사 because를 썼습니다.

(1) He can't even walk because of his fatness. because of+명사

(2) He can't even walk because he is fat. because+주어+동사

    그는 비만이라서 걷지도 못하다.

 

3. for는 등위 접속사이다.

for는 등위 접속사이기 때문에, 문장 처음에 올 수 없습니다. 항상 문장 뒤에 와야 합니다. 또한 for 앞에는 쉼표(,)를 써야 합니다.

 (1) I was tired, for I had to walk 20 miles. (O) 문장+for ~

    나는 피곤했다, 왜냐하면 20 마일을 걸었기 때문이다.

(2) For I had to walk 20 miles, I was tired. (x) for ~ + 문장




이상으로 이유를 나타내는 표현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위접속사 but  (2) 2024.12.10
talk turkey, cold turkey, 진지하게 말하다  (0) 2015.01.09
조동사 must  (0) 2014.12.28
조동사 may  (0) 2014.12.27
혼합 가정법 용법 정리  (0) 2014.12.23

조동사 must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조동사 must를 보겠습니다. 



must는 의무와 추측의 뜻을 가집니다. must와 비슷한 의미를 지닌 표현들 사이의 차이점에 주의해서 살펴 봅시다.

 

1. must는 의무를 나타낸다.


must는 상당한 강제성을 포함하며, ‘반드시 해야 하는 의무를 나타냅니다 -(1) must가 주는 부정적 뉘앙스 때문에 자주 have to를 쓰기도 합니다 –(2).


(1) You must be on time for your work. 강제적인 의무

    당신은 출근을 제시간에 해야 합니다.

(2) She has to wait another week. must보다 부드러운 표현

  -> She has got to wait ~. have got to have to의 구어체

그녀는 또 일주일을 기다려야 한다.

 

의무를 나타내는 must의 부정은 ‘don’ have to’‘need not’을 씁니다. 의미는 ‘~할 필요가 없다입니다.

(3) You don’t have to apologize to her. 너는 그녀에게 사과할 필요가 없다.

= You need not apologize to her. need not 동사원형

 

의무를 나타내는 must의 부정은 ‘don’ have to’‘need not’을 씁니다. 의미는 ‘~할 필요가 없다입니다.

(4) I had to make a decision. 나는 결정을 내렸어야 했다.

 

 

2. ‘must be’, ‘must have p.p.’는 확실한 추측을 나타낸다.


‘must be ~’은 현재의 상당히 확실한 추측을 나타내며 ‘~임에 틀림없다는 뜻입니다. ‘must have p.p.’는 과거의 확실한 추측을 나타내며 ‘~이었음에 틀림없었다가 됩니다. 


(1) She must be an idiot to love the gigolo. 현재의 추측 (80% 이상)

그런 제비를 사랑하다니 그녀는 멍청이임에 틀림없어.

(2) I must have been an idiot to believe the playboy. 과거의 추측 (80% 이상)

그런 바람둥이를 믿었다니, 나는 멍청이었음에 틀림없어.

 

(주의)

확실성을 도식화 해보면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may be(50%) < must be(80%) < will be(90%) < is (100%)



이상으로 조동사 mus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조동사 may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조동사 may를 보겠습니다. 



조동사 may는 허가와 추측을 나타내며, 과거형은 might입니다. may가 현재와 과거를 나타낼 때의 형태에 주의해서 살펴 봅시다.

 

1. may는 허가를 나타낸다.


may는 어떤 일에 대한 허락이나 허가를 나타냅니다.  역시 과거형 might를 쓰면 정중한 표현이 됩니다.


(1) May I use your phone?  전화 좀 써도 될까?

Yes, you may. 그러렴. 허가

(2) If I might say something about that ~ 공손한 표현 might

   제가 무언가 말씀 드려도 된다면 ~

 

2. may는 현재의 불확실한 추측을 나타낸다.


may‘may+동사원형’, 또는 ‘may be ~’의 형태를 현재의 불확실한 추측을 나타냅니다. 의미는 ‘~일지 모른다입니다.


(1) She may come tomorrow. 그녀가 내일 올 수도 있다. 현재의 불확실한 추측

(2) He may be out. 현재의 불확실한 추측

   그는 외출했을 지도 몰라.

 

3. may have p.p.는 과거의 불확실한 추측을 나타낸.


‘may have p.p.’‘~이었을 지도 모른다는 의미로 과거에 대한 불확실한 추측을 나타냅니다.

(1) Dinosaurs may have had brown skin. 과거에 대한 불확실한 추측

   공룡들은 피부가 갈색이었을 지도 모른다.

(2) He may have cheated on the test. 과거에 대한 불확실한 추측

그가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했을지도 몰라. 

 

(주의)

보통 may가 나타내는 추측의 확실성은 50:50입니다. 그리고 추측을 나타내는 may might로 바꾸어 쓸 수도 있습니다.

 


이상으로 조동사 may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cause, because of, for (이유를 나타내는 표현들)  (2) 2015.01.01
조동사 must  (0) 2014.12.28
혼합 가정법 용법 정리  (0) 2014.12.23
대명사 another  (0) 2014.12.22
불규칙 비교급  (0) 2014.12.18

혼합 가정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혼합 가정법을 보겠습니다.



가정법 과거와 가정법 과거완료 시제가 혼합된 경우가 있습니다. 시제 판단에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1. 혼합 가정법은 가정법 과거완료+가정법 과거이다.


가정법 시제가 섞여 있는 것을 ‘혼합 가정법’이라고 합니다. 혼합 가정법은 if 절에 과거완료가 쓰이고, 주절에 과거형이 옵니다. 보통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혼합가정법 :  If+주어+had pp, 주어+조동사 과거형+동사원형

 

예문을 보면, if절에는 과거완료가 있고, 주절에는 조동사 과거형 + 동사원형이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if절 시제는 가정법 과거완료, 주절의 시제는 가정법 과거가 됩니다. , 과거사실에 대한 반대와 현재사실에 대한 반대가 섞여 있습니다.

 

ex) If you had listened to my advice then, there would be no problem now.      

가정법 과거완료                    가정법 과거

    당신이 내 충고를 따랐더라면, 지금 아무런 문제가 없었을 텐데.

 

혼합가정법을 직설법으로 바꿀 경우에도 시제가 다르게 됩니다. if절은 가정법 과거완료이므로 직설법 과거가 됩니다. 그렇지만 주절은 가정법 과거이므로 직설법 현재가 됩니다.

 

Because you did not listen to my advice then, there is a problem now.

               직설법 과거                     직설법 현재

   당신이 그때 내 충고를 따르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 문제가 있다.

 


2. 혼합 가정법은 현재를 나타내는 부사를 포함한다.


혼합 가정법에는 반드시 시간을 나타내는[서1]  부사가 들어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시제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1)번에서는 ‘six years ago’가 과거 사실을 ‘now’가 현재 사실을 나타냅니다. (2)번에서는 ‘then’은 과거사실, ‘today’는 현재 사실을 나타냅니다.


(1) If he had not died in the war six years ago, he would be thirty now.

   그가 전쟁에서 죽지 않았더라면, 지금 서른이 되어 있을 텐데.


(2) If you had not helped me then, I would not live today.

    만약 너가 그 때 나를 돕지 않았더라면, 나는 오늘 못 살았을 거야.



이상으로 혼합 가정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동사 must  (0) 2014.12.28
조동사 may  (0) 2014.12.27
대명사 another  (0) 2014.12.22
불규칙 비교급  (0) 2014.12.18
시제 정리 (tense)  (1) 2014.12.14

[12] another의 용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대명사 another를 보겠습니다. 


대명사로 쓰이는 another는 거의 관용적입니다

another 가 쓰이는 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1. another 또 다른 것을 의미한다.


보통, 이것 말고 다른 것이라는 의미일 때 another를 씁니다 –(1). 이 경우 another는 단수입니다. 단수가 아닌 복수의 다른 것들일 경우에는 others를 씁니다 –(2).


(1) I dont like this one; show me another. ▶ another -> 단수

   이것은 마음에 안 들어; 다른 것 보여줘.

(2) I dont like this one; show me others. ▶ others -> 복수

    이것은 마음에 안 들어; 다른 것들을 보여줘.


(주의)

another, others는 모두 다른 것을 나타냅니다. another는 단수, others는 복수라는 것만 다릅니다.

 

2. 세 개의 대상을 나열할 때 another를 쓴다.  


세 개의 대상을 설명할 때는, ’one, another, the other’를 씁니다. 의미는 하나는, 또 하나는, 나머지 하나는입니다. 여기서 ‘the other’는 세 번째를 나타내는 ‘the third’로 바꾸어 쓸 수도 있습니다.


ex) I have three favorite books. One is Don Quixote. Another is Sherlock Holmes.

The other is Harry Porter. 세 개의 대상


내가 아주 좋아하는 책이 세 권 있다. 하나는 돈키호테이다. 또 하나는 셜록 홈즈이고, 나머지 하나는 해리 포터이다.

 

3. ‘A is one thing, B is another’에 쓰인다.


‘A is one thing, B is another’A, B 두 대상이 서로 다름을 나타낼 때에 사용합니다.

의미는 ‘A B는 별개의 것이다입니다.


(1) To know is one thing, but to practice it is another.

     아는 것과 실행하는 것은 별개의 것이다.

(2) To love him is one thing, to marry him is another.

     그를 사랑하는 하는 것과 결혼하는 것은 별개이다.



이상으로 대명사 anothe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동사 may  (0) 2014.12.27
혼합 가정법 용법 정리  (0) 2014.12.23
불규칙 비교급  (0) 2014.12.18
시제 정리 (tense)  (1) 2014.12.14
수여 동사 (4형식)  (0) 2014.12.13

[11] 형태가 달라지는 비교급 최상급 

-불규칙 비교급-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불규칙 비교급을 살펴 보겠습니다. 


의미에 따라 비교급과 최상급의 형태가 달라지는 말들이 있습니다. 형태별로 정확한 의미를 알아 둡시다.

 

1. older는 나이, elder는 손윗사람을 뜻한다.


older/elder는 형용사 old의 비교급입니다. older는 단순하게나이가 더 많은 것입니다. 그렇지만 elder는 특히가족 중에 연장자를 나타냅니다.

(1) He is older than I. 나이가 더 많은

   그는 나보다 나이가 더 많다.

(2) My elder brother. 가족 중 연장자

 나의 손 위 형

 

2. later는 시간을, latter는 순서를 나타낸다.


later/latter late의 비교급입니다. later는 시간 상으로지금보다 나중의입니다. 그렇지만 latter는 순서를 나타내며, 두 개 중에서후자, 두 번째를 가리킵니다.

(1) I’ll see you later. 지금보다 나중에

   나중에 봅시다.

(2) He has two cars. 그는 차가 두 대이다.

   He bought the latter two years ago. 그는 두 번 째 것 2년 전에 샀다.

 

3. farther는 거리, further는 정도를 나타낸다.


farther/ further far의 비교급입니다. farther더 먼으로 물리적인 거리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further더욱, 로 정도를 나타냅니다.

(1) I live farther from the school than you. 거리가 더 먼

(2) The company decided to invest further on bio-tech. 더욱

   그 회사는 생명공학에 더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주의)

영국 영어에서는 거리에도 further를 쓰기도 합니다.

 

4. last는 순서, latest는 시간을 나타낸다.  


last/latest는 둘 다 형용사 late의 최상급입니다. last는 맨 처음과 반대되는가장 나중의라는 뜻입니다. latest는 구식과 반대되는최신의라는 뜻입니다.

(1) It is the last bus to go home. 마지막

   이것이 집으로 가는 마지막 버스다.

(2) It is the latest model phone. 최신의

   그것은 최신 모델 폰이다.

 

(주의)

‘the last+명사결코 ~하지 않을이라는 뜻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ex) He is the last man to betray me. 결코 ~하지 않을

   그는 결코 나를 배반할 사람이 아니다.



이상으로 불규칙 비교급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합 가정법 용법 정리  (0) 2014.12.23
대명사 another  (0) 2014.12.22
시제 정리 (tense)  (1) 2014.12.14
수여 동사 (4형식)  (0) 2014.12.13
조동사 should  (0) 2014.12.10

물랑루즈(Moulin Rouge)



이 글은 1952년판 영화 믈랑루즈에 대한 것입니다.

또한, 고독만이 유일한 친구였던 위대한 화가 툴루즈 로트렉에 대한 글이기도 합니다. 



1890년 파리.


몽마르트르에 있는 ‘자유 연애의 최대 자유시장’ ‘물랑 루즈(Moulin Rouge)’

 

물랑루즈의 붉은 풍차는 우아하게 밤하늘을 선회합니다. 화려하게 차려입은 무희들이, 물랑루즈의 넓은 댄스홀을 캉캉 춤을 추며 선회합니다. 날카로운 소리를 내지르며, 머리위로 차올리는 무희들의 관능적인 발길질에 관객들은 환호하고 열광합니다.

휘황한 조명 아래서 ‘물랑루즈가’ 정신을 잃어가고 있을 때, 의자에 앉은 한 남자가 스케치북에 뭔가를 재빠른 손놀림으로 그리고 있었습니다. 남자는, 열기가 넘치는 실내임에도 검은 양복을 단정하게 입고, 머리를 꼿꼿이 세우고 있었습니다. 정성들여 빗은 윤이 나는 검은 머리카락은, 청결하고 혈색 좋은 뺨에 보기좋게 드리워 있었습니다. 잘 손질한 턱수염과 구렛나룻도 멋지게 어울리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신사의 얼굴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은 안경 뒤의 눈이었습니다. 그것은 모든 것을 관찰하고 예리하게 핵심을 잡아내는, 석탄같이 까만 눈이었습니다.

 

그는 이제 막 유명세를 타기 시작하고 있던 26세의 ‘툴루즈 로트렉(Henri de Toulouse-Lautrec)’이었습니다.


 


완벽한 신사, 그러나...


그림을 그리고 있는 로트렉 주위로 물랑루즈의 단골들이 인사를 하고 지나갑니다 물랑루즈의 소유주인 ‘샤를 지들러’는 로트렉에게 ‘꼬냑’을 따라 주었습니다. 물랑루즈의 스타인 ‘라 굴뤼(La Goulue)’는 짓궂게 로트렉의 얼굴 앞에 엉덩이를 흔들어 대고 갔습니다. ‘잔 아브릴(Jane Avril)’은 ‘다이나마이트’처럼 힘차게 로트렉의 머리 위로 다리를 차 올리고 지나갔습니다. ‘노란 꽃 여인 차우 카오’는 노란색 머리 장식을 로트렉의 얼굴에 간질이며 키득거렸습니다.

 

밤이 깊어가자 관객들은 내일의 입장료를 벌기 위하여 집으로 돌아갔습니다. 일꾼 두 세명이, 무희들도 돌아간 텅 빈 ‘물랑루즈’를 청소하기 시작했습니다. 여전히 단정한 차림의 로트렉도 그림 도구를 정리했습니다. 그리고 그가 자리에서 일어났습니다. 그런데...

 

그의 앉은키나 일어선 키는 전혀 차이가 없었습니다!


아...


137cm의 키인 그는, 보통 성인들과 같은 상체를 가졌지만 다리가 비정상적으로 짧았습니다. 신사적인 매너에 날카로운 위트를 구사하는 뛰어난 화가가, 앉아 있을 때나 일어섰을 때나 별 차이없는 키라는 것을 알았을 때의 충격이란...


1952년 개봉한 영화 ‘물랑루즈(Moulin Rouge)’의 오프닝 시퀀스로 잊혀지지 않는 명장면입니다. 이 1952년판 ‘물랑루즈’는 ‘밤을 사랑한 화가 로트렉’의 삶을 직접 다룬다는 점에서 2001년에 개봉한 멜로판 물랑루즈와는 완전히 다릅니다. ‘1952판 물랑루즈(이하 물랑루즈)’는 로트렉의 예술과, 비극적인 사랑을, 실제와 허구를 섞어서 화려한 테크니 칼라에 담아냅니다.

 


 

그의 어린 시절로 돌아가 봅시다.

  

‘틀루즈 로트렉’은 프랑스에서 가장 유서깊은 귀족 가문의 마지막 장손이었습니다. 프랑스 공주와 결혼하기도 했던 최고 귀족 가문의 계승자 로트렉은 1864년 11월24일, 가문의 영지였던 ‘보스크 성’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부모님들은 사촌지간이었습니다. 로트렉의 아버지 ‘알퐁소 백작’은 사냥과 매에 열성인 남자였습니다. 로트렉의 어머니 아델은 교양이 풍부하면서도 조용한 여자였습니다. 개와 말과 매를 사랑하던 어린 귀족 로트렉. 그의 귀족적인 삶은 1878년, 14살 때 ‘왼쪽 다리에 골절상’으로 끝나게 됩니다.

 

1879년, 15살의 로트렉은 다리를 치료하려고 피레네 산맥에 있는 온천을 찾습니다. 여기서 그는 ‘오른쪽 다리’마저 골절을 당하게 됩니다. 최고 귀족이 받을 수 있는 가장 우수한 의사와 의료기술이 동원되었지만, 로트렉 소년의 다리는 성장을 멈추고 말았습니다. 근친 결혼에서 발생한 원인을 알 수 없는 유전자 이상이 소년의 뼈를 약하게 만들었습니다. 소년 로트렉은 이 일로 인해 운명이, ‘자신의 불멸’을 위해 마련해준 ‘고독한 예술가’의 길로 들어서게 됩니다.

 

승마를 사랑하던 소년 귀족 로트렉은 채찍 대신에 붓을 들고 미친 듯이 데생에 몰두했습니다. 아버지 알퐁소 백작은 ‘천한 예술가’가 되려는 후계자를 경멸하기 시작했습니다. 아들을 사랑했던 어머니 아델은 ‘가난한 예술가’가 되려는 아들을 걱정했습니다. 소년 로트렉은 자신의 성에 자주 놀러오던 ‘귀족 소녀’에게 사랑을 고백하게 됩니다. 하지만 그녀로부터 ‘이 세상 어떤 여자도 너 같은 남자를 사랑할 수는 없을거야’라는 저주를 듣게 됩니다. 이후 소년 로트렉은 고향을 떠나 파리로 옵니다.



로트렉의 집?

 

 

다시 1889년 파리

 

26세의 로트렉은 세상의 인정을 받기 시작합니다. 그는 ‘한 장의 도화지’와 투쟁을 하면서 몽마르트르를 화폭에 담으려고 애썼습니다. 그에게 몽마르트르는 귀족적인 것과 상스러운 것, 고상한 것과 천한 것이 혼재된 흥미로운 세계였습니다. 역사적이거나 미학적인 흐름에 무관심한 ‘냉정한 관찰자’ 로트렉은 자신의 ‘소우주’ 몽마르뜨르를 화폭에 재현하려고 했습니다.

 

로트렉은 여자들을 사랑했습니다. 여자들은 그에게 뮤즈이자, 정부이자 모델이었습니다. 불구의 몸이었지만 왕성한 욕구를 가진 남자였던 로트렉은 매음굴에서 1년을 보내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로트렉은 처음이자 유일했으며, 그렇기에 마지막 사랑을 하게 됩니다. 그녀는 ‘마리(마리 클레망틴 발라동?)’였습니다. 로트렉은, 거리의 부랑자였던 그녀와 몽마르트에 있는 자신의 집에서 동거를 시작합니다. 불구인 로트렉을 비웃던 그녀는 점차, 그의 지성과 재능, 그리고 화가로서의 열정에 감탄하게 됩니다. 사랑이 줄 상처를 두려워하던 냉담한 로트렉도 점차 그녀에게 호감을 느끼게 됩니다. 로트렉과 그의 그림은 그녀로 인해 생기를 띱니다. 마리는 그를 위해 모델이 되어 주었으며 로트렉은 모델료 이상의 돈과 선물을 그녀에게 줍니다. 외로웠던 로트렉의 영혼은 그녀로 인해 고독의 감옥을 빠져나오려고 합니다.

 

그런데 어느 날 밤, 외출에서 돌아온 로트렉은 돈과 그림들이 사라진 것을 발견합니다. 마리와 함께... 참담한 로트렉은 술을 마시고 자살이라도 하려는 듯이 폭음을 합니다. 그러던 중 경찰에서 연락이 옵니다. 로트렉은 경찰서에서 마리를 다시 보게 됩니다. 그녀는 먹을게 없어서, 가족을 위해 돈과 그림을 훔쳤다고 잘못을 빕니다. 로트렉은 다시 마음이 흔들리게 됩니다. 로트렉은 마리를 다시 받아들입니다. 그리고 며칠 후 로트렉은 술에 취한 마리와 크게 싸우게 됩니다. 그녀는 로트렉에게 본심을 말합니다.

 

‘당신이 나를 만질 때 마다 소름이 끼쳐요.’

‘당신의 돈만이 필요해요, 내 남자를 위해서.’

 

마리를 보내고 난 후, 여성과 삶에 대한 그의 시선은 냉혹해 집니다.


모든 여자는 창녀.

 


위대하지만 외로운 영혼


참담한 로트렉의 내면과 달리 1889년 로트렉의 외면적 인기는 하늘을 찌릅니다.

1889년 물랑루즈는 로트렉에게 개관 포스터를 의뢰합니다. 로트렉이 ‘날카로운 선들’과 세가지 색‘으로 그린 포스터는 파리 사람들의 탄성을 자아냅니다. 역사상 처음으로 포스터가 예술의 경지에 오르게 됩니다. 그리고, 꼬마들이나 취객들이 아닌, 금전적 안목을 겸비한 미술품 상인들이, 벽과 기둥에 붙은 로트렉의 ’공짜‘ 포스터를 떼어가려고 소동을 벌입니다.

 

1889-1897년 (26세-33세)

  

로트렉은 예술적 절정기를 보내고 있었습니다. 예리한 관찰력과 섬세한 지성으로 로트렉은 자신을 둘러싼 인간들이 벌이는 희극을 화폭에 담아냈습니다. 영웅이나 신이 아닌 보통 사람들... 아니, 사람보다 못한 사회의 밑바닥에 있는 하류 인생들 –매춘부, 서커스 광대, 잊혀진 여배우-이 로트렉의 캔버스에 담겨서 ‘불멸’을 얻게 되었습니다. 고귀한 귀족으로 태어나, 가장 비참한 인간의 표본이 되어버린 ‘툴루즈 로트렉’ 백작. 그에게는, 명예보다 술과 춤이, 고상한 살롱보다 끈적끈적한 물랑루즈가 더 소중했습니다.


끈적거리는 믈랑루즈.

 


로트렉, 불멸의 길


그리고 1900년, 34세의 로트렉은 마지막 사랑을 하게 됩니다.


(여기서부터는 제가 아는 한 픽션입니다. 앞에서 나왔던 ‘마리’는 실존 인물이었던 ‘수잔 발라동’을 모델로 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미리엄 하임(Myriamme Hyam)은 실제 로트렉 전기에는 나오지 않습니다. 제가 알기로는요. ^^)

 

명성은 에펠탑보다 높았지만, 외롭고 삶에 지친 로트렉이 ‘센(Seine)’강을 고독하게 지나갑니다. 그는 한 여자가 다리 난간에서 강쪽으로 몸을 기울이고 있는 것을 보게 됩니다. 여자는 다가오는 로트렉을 피해 어둠 속으로 사라집니다. 며칠 후, 로트렉은 친구를 통해 자신의 그림을 숭배하는 여자를 소개받게 됩니다. 그녀는 바로 지난 밤 센 강에서 보았던 ‘미리엄’이었습니다. 그녀는 자신이 한 때 물랑루즈에서 잘 나가는 스타였다고 말합니다.

 

거듭되는 만남을 통해 미리엄은 로트렉에게 사랑을 고백합니다. 그렇지만 여자를 불신하는 로트렉은 그녀의 고백을 거절합니다. 그리고 며칠 후, 그녀는 다른 사람과 결혼한다는 소식을 알려줍니다. 더 이상 기다리기 힘들었다는 말과 함께... 로트렉은 그녀가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했음을 깨닫습니다. 그리고 또 다시 폭음을 시작합니다. 그는, 알콜중독이 일으킨 격렬한 환각 속에서 ‘거미’를 보고 총을 쏩니다.


1901년, 9월 9일, 로트렉 36세



이제 로트렉은, 술 없이도 환각 상태에 빠집니다. 로트렉은 환각 속에서, 1889년 물랑루즈의 전성기 시절이 나타납니다. 차 우 카오, 라 마카로나, 진 아브릴, 라 굴뤼,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베트 길베트가 나타나 긴 검은 장갑을 낀 우아한 손으로 로트렉의 눈을 감겨줍니다.

 

36세의 로트렉은 어머니 아델 부인의 품에 안겨 ‘불멸의 길’로 걸어갔습니다.


불멸의 포스터

 

어떤 삶을 원하십니까


불멸이 되어 만인의 연인이 되는 것과,

한 사람과 사랑하다 죽는 것 사이에서.


저는 후자에 소심하게 한 표입니다. ^^

'송샘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록키 1 (Rocky 1), 운명의 노크  (0) 2015.01.27
록키 (Rocky), 실베스터 스탤론  (0) 2015.01.26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이번 시간에는 시제를 정리(tense)해 보겠습니다.

 

 

영어의 시제에는 기본적으로 현재와 과거 두 가지가 있습니다. 어려운 시제 이름들은 여기에서 파생된 것들입니다. ‘미래 시제’는 독립적인 시제라기보다는 현재 시제를 이용한 표현방법 중 하나입니다. 시제의 명칭에 집착하지 말고, 시제 별 의미를 파악하는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 이 장에서는 시제의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1.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것은 현재시제다.

 

현재시제는 현재의 동작이나 사실을 나타냅니다. 특히 단순 현재시제는, ‘상당한 기간 변하지 않고 계속(또는 반복)되는 동작을 나타냅니다. 현재를 나타내는 시제로 현재진행형과 현재완료가 있습니다. 현재진행형은 ‘지속성이 없는 한 순간의 동작’을 나타내고, 현재완료는 ‘어떤 사건이 과거에 시작되어 지금도 계속되는 것을 말합니다.

 

(1) I often buy the book. 단순 현재, 습관적으로 그 책을 산다.

그 책을 자주 산다.

(2) I am buying the book now. 현재 진행형, 지금 이 순간 그 책을 사고 있다.

 그 책을 지금 사고 있다.

(3) I have bought the book. 현재완료, 과거에 그 책을 사서 지금도 가지고 있다.

그 책을 샀다.

 

2. 과거 시제는 현재와 관련이 없다.

 

과거시제는 과거의 동작이나 사실을 나타내므로 현재와 관련이 없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1분 전이건, 1시간 전이건, 1년 전이건, 1만년 전이건 과거 사건은 단순과거로 나타냅니다. 과거진행형은 과거의 특정한 순간에 발생했던 사건을 말하고, 과거완료는 과거 이전에 발생한 일을 나타냅니다.

 

(1) I bought the book. 단순 과거, 습관적으로 그 책을 샀다.

 과거에 그 책을 샀다.

(2) I was buying the book when you saw me. 과거 진행형, 그 책을 사고 있던 중이었다.

     책을 사고 있었다.

(3) I had bought the book before I met you. 과거완료, 당신을 만났던 것보다 책을 먼저 샀었다.

      그 책을 샀었다.

 

3. 미래 시제는 실현 가능성이다.

 

미래시제는 확실성(실현 가능성)이 구별기준이 됩니다.특히 현재와 현재와 현재 진행형은 (1),(2)번에서처럼,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를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실현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각 미래 시제를 살펴 봅시다.

(1) I buy the book. 단순 현재로 미래 의미 표현

     그 책을 산다.

(2) I am buying the book.  현재 진행형으로 미래 의미 표현

 그 책을 살 것이다.

(3) I have bought the book by this Friday. 현재 완료로 미래 표현

   그 책을 산다.

(4) I am going to buy the book. ▶ be going to로 미래 표현

   그 책을 살 것이다.

(5) I will buy the book.  미래 조동사 will로 미래 표현

 그 책을 살 것이다

(6) I will have bought the book by this Friday. 미래 완료로 미래 표현

    그 책을 살 것이다.

 

(3), (6)번은 편의상 함께 다루겠습니다)

 

(1)-(6)번까지의 미래 표현들은 확실성에 차이가 있습니다.

(1), 단순 현재로 미래표현: 지금까지 규칙적으로 그 책을 샀고, 앞으로도 변함없이 그 책을 살 것입니다.

(2), 현재 진행형으로 미래 표현: 확실히 그 책을 살 것입니다.

(3),(6)번 완료 시제로 미래표현 : 특정시점(this Friday)까지 그 책을 사게 될 것입니다. 확실성보다는 특정시점을 강조합니다.

(4) be going to로 표현: (2)번 현재진행형보다 더 구체적입니다. 책을 사기로 마음을 먹었고 꼭 살 것입니다.

(5) will로 미래 표현: 지금 그 책을 사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 실현 가능성은 90% 정도입니다.

 

 

이상으로 시제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참고: 시제 직전 정리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명사 another  (0) 2014.12.22
불규칙 비교급  (0) 2014.12.18
수여 동사 (4형식)  (0) 2014.12.13
조동사 should  (0) 2014.12.10
조동사 can  (0) 2014.12.08

수여 동사 (4형식 동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수여동사를 보겠습니다. 



1. 4형식 동사는 수여동사이다.


4형식 문장은 주어+동사+간접목적어+직접목적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4형식 문장에 쓰는 동사를 수여동사라고 합니다. 수여는 어떤 것을 준다는 의미입니다.

(1) I sent her a flower.   ▶ send, 수여동사

     나는 그녀에게 꽃을 보냈다.

(2) She gave me a kiss.  ▶ give, 수여동사

     그녀는 나에게 키스를 주었다.

 

2. 간접목적어는 받는 사람이다.


수여동사가 하는 행위를 받는 사람을 간접 목적어(Indirect Object)라고 하며, 줄여서 I.O.라고 합니다. 간접 목적어는 인칭대명사의 목적격을 쓰며, ‘~에게또는 ‘~를 위해’로 해석합니다.

(1) She bought me a dog.  , 개를 받는 사람  

      그녀는 나에게 개 한 마리를 사주었다.

(2) The dog brought me joy.  ▶ , 기쁨을 받는 사람

     그 개는 나에게 기쁨을 가져다 주었다.

 

3. 직접목적어는 행위의 대상이다.


직접목적어는 수여동사가 하는 행위의 대상이 되는 사물입니다. Direct Objective라고 하며, 줄여서 D.O.라고 씁니다. 직접목적어는 우리말로 ‘~, ~를’로 해석됩니다.

(1) I built my son a small garden.  ▶ a small garden, 짓는 것

     나는 내 아들에게 작은 정원을 만들어 주었다.  

(2) The garden gave my son flowers.  ▶ flowers, 주는 것

      그 정원은 내 아들에게 꽃들을 주었다.

 

4. 간접목적어 다음에 직접목적어가 온다.


4형식 문장에서 간접목적어 다음에 직접목적어가 옵니다. (1)에서 간접목적어 my son은 직접목적어 a small garden 앞에 옵니다.

(1) I built my son a small garden.  간목 + 직목

    나는 아들에게 작은 정원을 만들어 주었다.

 

그렇지만 이 문장을 전치사구를 사용하여 3형식 문장으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

(2) I built a small garden for my son.  직목 + for +  간목

       나는 작은 정원을 아들을 위해서 만들어 주었다.



이상으로 수여동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규칙 비교급  (0) 2014.12.18
시제 정리 (tense)  (1) 2014.12.14
조동사 should  (0) 2014.12.10
조동사 can  (0) 2014.12.08
영어 최상급  (0) 2014.12.06

[6] 조동사 should의 용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조동사 should를 보겠습니다.



shouldshall의 과거형이지만, 독립적으로 사용됩니다. 그래서 shall의 과거형은 빼고, should 고유의 용법만 다루겠습니다.

 

1. should는 당연한 의무를 나타낸다.


should는 ‘~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당연한 의무를 나타내지만, must와는 달리 강제성이 거의 없습니다. 듣는 사람도 전혀 기분 나빠하지 않습니다.


(1) You should listen to your parents.   당연한 의무.

       부모님 말씀 잘 들어야지.


(2) We should keep our promises.  당연한 의무

        약속을 잘 지켜야 한다.

 

2. should는 과거에 대한 유감·후회를 나타낸다.


should‘should have p.p.’ 또는 ‘shouldn’t have p.p.’의 형태로 쓰여 과거에 대한 유감이나 후회를 나타냅니다. ‘should have p.p.’ ~했어야 했는데(안 했다), ‘should not have p.p.’ ~하지 말았어야 했는데(해 버렸다)로 해석합니다.


(1) I should have studied harder.  안했다.

      더 열심히 공부했어야 했는데.

-> I am sorry (that) I did not study harder.


(2) I should not have eaten the cake.  먹어 버렸다.

      그 케익을 먹지 말았어야 했는데.

-> I am sorry (that) I ate that chocolate.

 

3. should명령·제안·요구·충고동사와 함께 쓰인다.


명령, 제안, 요구, 충고를 나타내는 동사 다음에 that절이 오면, 동사의 시제와 상관없이 ‘should+동사원형이 와야 합니다. 이 때 that should는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동사원형은 와야 합니다.

 

명령·제안·요구·충고동사들은, 명령하니까 해야 하고, 제안하니까 해야 하고, 요구하니까 해야 한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 명령·제안·요구·충고 동사들은 ‘~해야 한다’라는 당위성을 포함합니다. 그러므로 당위성을 나타내는 조동사 ‘should 동사원형’을 씁니다.

 

이 규칙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명령, 제안, 요구, 충고 동사) + (that) S should 동사원형

(order, suggest, demand, advise )

 

(1) She advised (that) he should see a doctor. 제안하니까 해야 한다 -> should

그녀는 그가 의사를 봐야 한다고 제안했다.


(2) My wife ordered I should clean the house. 명령하니까 해야 한다 -> should.

내 와이프가 집을 청소해야 한다고 내게 명령했다



이상으로 조동사 should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제 정리 (tense)  (1) 2014.12.14
수여 동사 (4형식)  (0) 2014.12.13
조동사 can  (0) 2014.12.08
영어 최상급  (0) 2014.12.06
주의할 부사  (0) 2014.12.02

[4] 조동사 can의 용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조동사 can을 보겠습니다. 



can가능외에도 다른 의미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can이 지닌 여러 의미들을 살펴 봅시다.


 

1. can은 가능을 나타낸다.


can은 동작이나 상태의 가능을 나타내며, ‘~할 수 있다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동작의 가능을 나타내는 can‘be able to ~’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1). 그러나 상태의 가능을 나타내는 can‘be able to ~’로 바꾸어 쓸 수 없습니다 –(2).


(1) She can speak English fluently. 동작의 가능

 -> She is able to speak English fluently. ▶ be able to = can

   그녀는 영어를 유창하게 말할 수 있어.

(2) He can be gentle. 그는 상냥할 수도 있어. 상태의 가능

 -> He is able to be gentle. (x)

 

(주의)

가능에 쓰이는 can은 어떤 행동에 대한 허가를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ex) You can go home now. 너는 이제 집에 갈 수 있어.

  = You may go home now. 집에 가도 된다. 허가의 may

 

2. can,은 강한 의심을 나타낸다.


의문문에 쓰인 can은 강한 의심을 나타냅니다. 의미는 ‘(설마) 가능할까?’이며, 아주 낮은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1) A: My dad said that he would kill me! 아빠가 나 죽여 버린데!

   B: Can he be serious? 설마 진심이겠어? 진심일 리가 없다.

(2) A: She boasts that she dated with Brad Pitt.

그녀는 브래드 피트와 데이트 했다고 떠벌려.

   B: Can it be true? 과연 사실일까? 데이트 했을 리가 없다.

 

3. can은 추측에 쓰인다.


can‘can’t be ~’의 형태로, 현재에 대한 강한 부정적 추측을 나타냅니다. ‘cant’ be ~’‘~일리가 없다로 해석합니다 –(1). 과거를 나타낼 때는 ‘can’t have p.p.’를 쓰며, ‘~했었을 리가 없다로 해석합니다 –(2).


(1) He can’t be John. He is in New York now. 진심일 리가 없다.  현재의 추측

   -> It is certain that he is not John. ~

   그가 John일리 없어. 그는 지금 뉴욕에 있어.

(2) She can’t have passed the exam. She hadn’t studied at all. 과거의 추측

 -> It is certain that she didn’t pass the exam. ~

그녀가 시험에 통과했을 리가 없어. 전혀 공부를 안 했는걸.

 

(주의)

can't have p.p.’는 내용상 과거를 나타냅니다. 그런데 조동사 ‘can’의 시제는 과거(could)가 아닌 현재형 (can)입니다. 그 이유는 다음에 공부할 가정법 과거완료  could have p.p.’때문입니다. ‘과거에 대한 추측’을 ‘가정법 과거완료’와 구별하기 위하여 ‘can’t have p.p.’를 썼습니다.



 이상으로 조동사  can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여 동사 (4형식)  (0) 2014.12.13
조동사 should  (0) 2014.12.10
영어 최상급  (0) 2014.12.06
주의할 부사  (0) 2014.12.02
I wish 가정법  (1) 2014.11.30

[10] 영어 최상급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최상급을 살펴 보겠습니다.



최상급이라고 하면, 형용사나 부사에 ‘-est’ ‘most’를 붙인 것을 말합니다. 최상급과 정관사 the의 관계에 주의해서 살펴 봅시다.


1. 최상급 앞에는 정관사 the를 붙인다.


최상급은 세 개 이상의 대상에서 사용하며, 원칙적으로 정관사 ‘the’를 붙입니다.

(1) This machine is the best of all machines. the + 최상급

     이 기계가 모든 기계 중에서 가장 좋다.

(2) She is the most beautiful in her class. the + 최상급

     그녀가 반에서 가장 아름답다.



2. 최상급 앞에 정관사 the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최상급 앞에서는 정관사 the를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렇지만 몇몇 경우에는 the를 생략하기도 합니다. (‘특정의 의미가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부사의 최상급 앞에 ‘the’를 쓰지 않을 수 있습니다 –(1). 물론 the를 쓰기도 합니다 –(2).

(1) Tyson Gay ran fastest at the 200m race. (o) the 생략

(2) Tyson Gay ran the fastest at the 200m race. (o) the+최상급

     타이슨 게이가 200m 레이스에서 가장 빨리 달렸다.


동일대상의 최상급에서는 the를 생략합니다. 다른 대상과 비교하지 않는 것은 진정한 최상급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1) She is most beautiful when she laughs. 정관사 the 생략

     그녀는 가장 웃을 때 가장 아름답다.

(2) This river is deepest at this point. 정관사 the 생략

      이 강은 이 부분에서 가장 깊다.



3. 의미상으로 최상급을 표현할 수 있다.


최상급 형식(-est)이 아니라도 최상급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원급으로 최상급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1) Nothing is so precious as time. so 원급 as

      어떤 것도 시간만큼 귀중하지는 않다. (시간이 가장 귀중하다)

(2) Today is as good as it can be. as 원급 as

   = Today is as good as it is possible.

      오늘은 가능한 만큼 아주 좋다. (오늘이 가장 좋다)


비교급으로 최상급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1) I can't agree more 부정어+비교급

     나는 더 이상 많이 동의할 수 없다. (완전히(최고로) 동의한다.)

(2) I love you more than any one else.  비교급+any one else

   = No other people love you more than I do. 부정어+비교급



이상으로 영어 최상급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동사 should  (0) 2014.12.10
조동사 can  (0) 2014.12.08
주의할 부사  (0) 2014.12.02
I wish 가정법  (1) 2014.11.30
부사와 형용사의 구별  (0) 2014.11.25

[9] 주의할 부사 (1)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주의할 부사들을 보겠습니다. 



의미와 용법을 구별하기 어려운 부사들을 정리했습니다. 자주 사용되는 말들이니 정확하게 쓸 수 있어야 합니다.

    

1. most, most of, mostly, almost. 


이들 단어들은 ‘거의, 대부분’으로 해석 됩니다


most는 다음에 명사나 형용사가 옵니다. most는 형용사일 때 ‘대부분의’부사일 때 ‘가장’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1) He took most money.  형용사

    그가 대부분의 돈을 가져갔다

(2) He is most greedy. 부사

    그가 가장 탐욕스럽다.


most of대명사로서 ‘대부분’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명사를 곧바로 수식할 없으며most of+한정사+명사’의 형태로 사용합니다.

(3) Most of the friends don't like this greedy man.   most of the 명사 

   Most of friends don’t like this greedy man. (x)   most of 명사

    대부분의 친구들은 이 탐욕스런 남자를 좋아하지 않는다.


mostly '주로, 대개‘의 뜻을 가지며 부사입니다[b4] .

(4) He is mostly greedy about money. mostly+형용사

    그는 주로 돈에 대해서 탐욕스럽다.


almost부사로서 ‘거의’라는 뜻을 가지며 [b6] 명사를 직접 수식할 수 없습니다. almost always 명사, almost any 명사, almost every 명사 형태로 사용됩니다.

(5) He tries to keep almost all the money.

    그는 거의 모든 돈을 가지려고 노력한다.



2. about, nearly, almost


이 세 단어는 우리 말로 옮기면 ‘대략, 거의’로 해석이 됩니다. 그렇지만 쓰임에 차이가 있습니다.

 

about는 우리 말의 ‘대략()’에 가장 어울리는 말입니다어떤 기준을 약간 넘을 수도 있고, 그 기준에 약간 부족할 수도 있습니다.

(1) He seems to be about 30 years old.

     그는 대략 서른살 전후로 보여.


nearly '거의'입니다어떤 기준에 근접하지만 약간 부족하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2) He seems to be nearly 30.  서른은 안 됨.

    그는 거의 서른으로 보여.


almost 역시 '거의'로 사용됩니다. 그렇지만 정확한 의미는 ~할 뻔 했는데 못했다’라는 부정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3) He almost passed the exam.  통과 못했다.

    그는 거의 시험에 통과할 뻔 했어.

(4) I almost forgot.  안 잊었다.

    거의 잊을 뻔 했어.



이상으로 주의할 부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동사 can  (0) 2014.12.08
영어 최상급  (0) 2014.12.06
I wish 가정법  (1) 2014.11.30
부사와 형용사의 구별  (0) 2014.11.25
품사의 전환 - 동음 이의어  (0) 2014.11.24

[4] I wish 가정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I wish 가정법을 보겠습니다. 



‘I wish’는 다음에 오는 that절은 가정법을 나타냅니다. I wish 가정법에서도 시제가 중요합니다. (편의상 I wish 가정법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겠습니다. wish 가정법은 보통 ‘I wish ~’ 형태로 많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1. ‘I wish (that)’은 가정법을 이끈다


‘I wish (that) ~’‘~이기를 바란다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그리고 사실과 반대되는 희망을 나타냅니다

.

‘I wish’ 가정법에서 시제는 that절의 동사를 보고 판단합니다. wish 동사의 시제는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 ‘I wish’ 가정법의 시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I wish that 주어 과거동사 ⇒ 가정법 과거

⇒ 현재사실의 반대

I wish that 주어 과거완료 ⇒ 가정법 과거완료

⇒ 과거사실의 반대

 

예문 (1),(2)에서 I wish 가정법의 시제를 살펴 보겠습니다.

(1)번은 ‘I wish that절’에 과거형이 왔으므로 가정법 과거입니다. 그리고 현재 사실의 반대를 의미합니다. (지금) 수퍼맨이 아닌 것이 아쉽다’는 내용입니다.

(2)번에서는 ‘I wish that절’에 과거완료형이 왔습니다. 이 경우에는 가정법 과거완료가 되어서 ’과거 사실의 반대‘를 의미합니다. (과거에) 수퍼맨이 아니었던 것이 아쉽다‘는 말입니다.

(1) I wish that I were Superman.  가정법 과거 -> 현재 사실의 반대

    나는 내가 수퍼맨이기를 바란다.

(2) I wish that I had been Superman.  가정법 과거완료 -> 과거 사실의 반대

    나는 내가 수퍼맨이었기를 바란다.

 

2. I wish 가정법의 직설법은 ‘I am sorry ~’를 쓴다.


I wish 가정법은 ‘사실이 아닌 것에 대한 아쉬움’을 나타냅니다. 그래서 직설법에서는 ‘I am(was) sorry’로 고쳐 씁니다. if 가정법과 마찬가지로, 긍정과 부정이 바

뀌게 됩니다.

 

(1) I wish that I were Superman.  가정법 과거

I am sorry (that) I am not Superman. 직설법 현재

나는 수퍼맨이 아닌 것이 유감이다.

(2) I wish that I had been Superman. 가정법 과거완료

I am sorry that I was not Superman.  직설법 과거

  나는 수퍼맨이 아니었던 것이 유감이다.

 

같이 알아 두기

wish는 가정법 외에도 다음과 같은 용법으로 쓰입니다.

1. wish to do  :  ~하고 싶다.

I wish to be a scientist. 나는 과학자가 되고 싶다.

-> I want to be a scientist.

2. wish A B : A에게 B를 바라다.

I wish youA a merry ChristmasB. 즐거운 크리스 마스를 바란다.



이상으로 I wish 가정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최상급  (0) 2014.12.06
주의할 부사  (0) 2014.12.02
부사와 형용사의 구별  (0) 2014.11.25
품사의 전환 - 동음 이의어  (0) 2014.11.24
부사의 형태  (0) 2014.11.19

[5] 사와 형용사의 구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부사와 형용사의 구별을 보겠습니다. 


형용사를 써야 할 자리에 부사를 쓰고, 부사를 써야 할 자리에 형용사를 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부사는 형태 면에서 형용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1. 문장에서의 역할과 의미로 구별한다.


다음 부사들은 형용사와 부사의 형태가 같습니다.

early, fast, hard, late, long, quick, slow, hourly, daily, etc.

 

이들은 품사에 따른 위치가 다릅니다 –(1),(2).

(1) The machine is checked once daily. 부사 -> 동사 뒤

    그 기계는 하루에 한 번 검사된다.

(2) It is my daily routine.  형용사 -> 명사 앞

    그것은 내가 날마다 하는 일이다.

 

또는 품사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3),(4).

(1) Her work is hard.   형용사

    그녀의 일은 힘들다.

(2) She works hard.  부사

    그녀는 열심히 일한다.

 

2. 의도한 의미에 따라 구별해 쓴다.


의미상 부사와 형용사의 경계에 위치한 말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의도한 의미에 맞게 정확하게 써야 합니다. 

 

동사나 형용사, 또는 다른 부사를 수식하면 반드시 ‘부사’를 사용해야 합니다. 부사를 쓸 자리에 형용사를 쓰면 전혀 다른 의미가 되어 버립니다 –(1).

(1)  She talks foolish. (?) 형용사 foolish는 대명사 she 수식

    멍청한 그녀가 말한다?

 

부사형 foolishly를 쓰면 자연스러운 의미가 됩니다. 

(2) She talks foolishly. (o)  동사 talks를 수식하는 부사형 foolish

    그녀는 멍청하게 말한다.



이상으로 부사와 형용사의 구별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의할 부사  (0) 2014.12.02
I wish 가정법  (1) 2014.11.30
품사의 전환 - 동음 이의어  (0) 2014.11.24
부사의 형태  (0) 2014.11.19
부사의 수식  (0) 2014.11.18

[1] 품사의 전환 - 동음 이의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품사의 전환을 살펴 보겠습니다. 



많은 영어 단어들이 철자를 바꾸지 않고 다른 품사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Homophone (동음이의어)’라고 불리며, 현대 영어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문법적 동음이의어 덕분에 영어는, 철자 변화 없이도 새로운 의미를 가진 말들을 경제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품사 변화에 주의하면서 동음이의어를 살펴 봅시다.

 

1. 형용사는 동사로 쓰인다.


많은 동사들이 형용사와 같은 철자를 같습니다. 위치에 따라 동사역할을 합니다.


(1)번에서 clean은 명사(room)를 수식하는 형용사입니다. (2)번에서 clean은 ‘my room’을 목적으로 취하는 동사입니다.

(1) a clean room 형용사

깨끗한 방

(2) I clean my room 동사

나는 내 방을 청소한다.


형용사가 동사로 쓰이는 예들입니다.

 

(3) clear () 맑은 

() 맑게하다.  She cleared her voice.

그녀는 목소리를 가다듬었다.

(4) dry () 마른 

() 말리다.  I dried my clothes.

나는 내 옷을 말렸다.

(5) slow () 느린 

() 늦추다.  He slowed down his car.

그는 차를 늦추었다.

(6) thin () 마른 

() 줄어들다. The rain thinned and the sun shone.

비가 줄어들고 햇볕이 비췄다.

 


2. 형용사는 명사로 쓰인다.


형용사는 철자를 바꾸지 않고 명사로 쓰일 수 있습니다. 형용사가 명사로 쓰일 때는 어떤 속성을 가진 사람이나 사물이 됩니다.

 

형용사는 속성을 가진 사람이 됩니다.

(1) an American boy. 형용사

한 미국인 소년

(2) two Americans 명사

두 미국인


형용사가 속성을 가진 사람 명사로 쓰인 예들입니다.

blacks (흑인들) evils (악인들) females (여성들) Liberals (자유주의자들) Democratic (민주당원들) savages (야만인들) etc.


형용사는 속성을 가진 물건이 됩니다.

(1) a sweet food   형용사

단 음식

(2) She likes a sweet. 명사

그녀는 단 것을 좋아한다.


형용사가 속성을 가진 사물 명사로 쓰인 예들입니다.

evils (악한 것들) halves (절반 짜리들) sweets (단 것들) etc. 




이상으로 품사의 전환-동음 이의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지은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I wish 가정법  (1) 2014.11.30
부사와 형용사의 구별  (0) 2014.11.25
부사의 형태  (0) 2014.11.19
부사의 수식  (0) 2014.11.18
부사의 종류  (0) 2014.11.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