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is not B any more than C is D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not any more than' 구문을 공부하겠습니다.



난이도

★★★★★



1. 의미


오늘 공부할 'A is not B any more than C is D' 구문은 아주 어려운 표현입니다.


이 구문은 보통 다음과 같이 해석됩니다.

A is not B, any more than C is D.

(A는 B가 아니다, C가 D가 아닌 것과 마찬가지로)


구문만 보고 이해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간단한 예문을 보면서 이해해 봅시다.


(1) Whale is not a fish.

    (고래는 물고기가 아니다)

(1)번은 단순한 부정문으로서 사실만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2) Whale is not a fish just as a horse is NOT a fish.

               a                            b

   (고래는 물고기가 아니다/ 마치 말이 물고기가 아닌 것처럼)

(2)번은 직설법으로서 두 개의 사실을 ‘직접 비교’하고 있습니다. 일종의 직유법입니다. 고래가 물고기가 아니라는 사실을 말과 비교해서 분명하게 표현합니다. 직설법이므로 두 번째 문장(b)에서 부정어 not을 썼음에 주의하길 바랍니다.


(2)번을 이해하는 것은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3) Whale is not a fish any more than a horse IS (a fish).

                a                            b

   (직역: 고래는 그 이상으로 물고기가 아니다/ 말이 물고기인 것보다)

   (속뜻: 고래는 물고기가 아니다/ 말이 물고기가 아닌 것처럼)

(3)번은 두 개의 사실을 ‘논리적으로 비교’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문장-말이 물고기-라는 것은 논리적으로 말이 되지 않습니다. b가 말이 안 되니 첫 번째 문장-고래가 물고기-는 더더욱 말이 안 되는 구조입니다.


‘수사(말장난)’을 통해 의미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글을 쓰면 분명히 ‘있어’ 보입니다. 그러나 의미가 불명확해 지는 것은 피할 수 없습니다. 그러니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2)번과 같이 직유법으로 분명하게 표현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래도 글에는 자주 나오기 때문에 정확한 의미를 익혀 두셔야 합니다)

 


2. 활용


(1) A is no more B than C is D

‘A is not B any more than C is D'와 같은 표현이라고들 합니다. 그렇지만 'no more'가 현대 영어에서는, ‘더 이상 ~않다’로 쓰이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A is no more B than C is D'는 참고 정도로만 알고 있으면 됩니다.


대부분 ’A is not B any more than C is D'를 사용합니다.


(2) 의미

    A is not B any more than C is D

    (A는 B가 아니다/ C가 D가 아닌 것과 마찬가지로)


논리적으로 이해해 봤자 활용이 어렵습니다. 의미를 외워야 합니다. 이 구문은 ‘A는 B가 아니다/ C가 D가 아닌 것과 마찬가지로'라고 해석합니다.


① He can't drive any more than fly.

    (그는 운전하지 못 한다/ 날지 못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② Going to library can't make a person wiser any more than buying books can.

    (도서관 가는 것은 사람을 더 현명하게 만들지 못 한다/ 책을 사는 것이 그렇게 못하는 것처럼)


(3) 주의할 사항

A is not B any more than C is D

(C 다음에 부정어를 쓰지 않는다)


논리적으로 부정을 포함하기 때문에, C 다음의 동사에 부정어를 붙이지 않습니다.

① He is not foolish anymore than I am.

    (그는 바보가 아니다/ 내가 바보가 아닌 것과 마찬가지로)


than 다음에 부정어를 쓰게 되면 잘못된 문장이 됩니다.

① He is not foolish anymore than I am not. (x)


우리말로는 부정어가 들어가야 할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논리적으로 잘못된 문장이 되어버립니다.

 


그럼 이상으로 'A is not B any more than C is D' 구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not any more, no more, no longer, not any longer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더 이상 ~않다‘ 표현을 살펴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입니다.

1. not any more, no more

2. no longer, not any longer


'no more, not any more, no longer, not any longer'는 모두 ‘더 이상 ~않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일이 ‘과거에는 그랬지만 지금은 아니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1. not any more, no more

(더 이상 ~않다)


'no more', 'not any more'는 의미가 같습니다. 'no'는 ‘not any’로 풀어 쓸 수 있기 때문입니다.


(1) He isn't handsome any more.

    (=He isn't handsome anymore)

    (그는 더 이상 잘 생기지 않았다)

(2) He is no more handsome.   (구식, 문학적 표현)


‘not ~ any more'는 ’더 이상 ~않다‘를 나타낼 때 가장 많이 쓰이는 표현입니다. 의미는 ’과거에는 그랬지만 지금은 아니다‘를 뜻합니다. 미국에서는 (1)번에서 보듯이, any와 more를 붙여서 ’anymore'라고 쓰기도 합니다.


현대 표준영어에서 ‘no more'는 ’더 이상 ~않다‘로 쓰이지 않습니다. 그러한 경우에는 ’no more' 대신에 ‘not ~ any more'를 써 줍니다.


'not ~ any more'는 의미상 ‘used to’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1-1) He used to be handsome.

      (직역: 그는 과거에는 잘 생겼었다)

      (속뜻: 그는 지금은 잘 생기지 않았다)

 


2. no longer, not any longer


행위나 상황의 중단을 말할 때 ‘no longer, not any longer'를 쓰기도 합니다.


(1) You no longer love me. (딱딱한 표현, 문어체)

  = You don't love me any longer. (어색한 느낌, 잘 사용하지 않음)

     (당신은 더 이상 나를 사랑하지 않는다)


위 예문에서 보듯이 'no longer, not any longer' 역시 ‘~도 아니다’를 의미합니다. 그렇지만 no longer는 ‘딱딱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문어체에서 사용됩니다. 그리고 ‘not ~ any longer'는 생경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말이나 글에서 잘 쓰이지 않습니다.


‘no longer, not ~ any longer' 대신 ’not ~ any more'로 바꾸어 쓰는 것이 훨씬 더 좋습니다.


간혹 기간에는 not ~ any longer', 정도에는 ’not ~ any more'를 써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그러나 거의 대부분의 사전에서는 ‘not ~ any more'를 공통으로 쓰고 있습니다.

 


정리해 보겠습니다.


‘더 이상 ~ 않다’에는 'not ~ any more'를 주로 쓴다. 


no better than, not better than, little better than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부정어 better than'을 공부하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표현들입니다.

■ no better than

■ not better than

■ little better than

    (~와 다를 것이 없다)



1. 의미


이 세 표현들은 의미가 같습니다. 

셋 다 ‘~와 다를 것이 없다’가 됩니다.


    예문을 봅시다.

(1) He is no better than a beggar.

(2) He is not better than a beggar.

(3) He is little better than a beggar

    (그는 나을 것이 없다/ 거지보다)

    (그는 다를 것이 없다/ 거지와)


(1)번에서 no는 better를 수식하는 부사로 쓰였습니다. 여기서 no는 not과 의미가 같습니다. (2)번은 일반적인 부정문입니다.


(1)~(3)은 다음과 같은 표현을 이용해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4) the same as 이용

    ex) He is the same as a beggar.

         (그는 똑 같다/ 거지와)


(5) as good as 이용

    ex) He is as good as a beggar.

        (그는 마찬가지다/ 거지와)




2. 활용


'no better than', 'not better than'은 자주 쓰이는 말들입니다. 보통 'not better than‘이 ’no better than'보다 더 자주 사용됩니다. 


그리고 'little better than'은 잘 쓰이지 않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no better than, not better than, little better than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none the less, nonetheless, nevertheless, however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nonetheless, nevertheless를 살펴보겠습니다.




난이도 ★★★★☆


다음 표현들의 의미차이는 무엇일까요?

none the less, nonetheless, however ]


결론부터 말하면 큰 의미차이는 없습니다.


각 표현별로 살펴보겠습니다.


1. none the less VS nonetheless


'none the less'는 ‘nonetheless'에 밀려난 표현입니다. 현대(1930년대 이후)로는 잘 쓰이지 않으니 ’nonetheless'만 알아 두시면 됩니다. 


언어학자가 아니라면 별로 쓸 일이 없는 표현입니다.



2. nonetheless, nevertheless, however


nonetheless, nevertheless, however는 ‘앞에 서술한 내용과 반대되는 내용이 다음에 올 때’ 사용합니다. 이들은 ‘역접’을 나타내는 접속 부사들입니다.


(1) 의미차이

nonetheless, nevertheless, however는 별 의미차이 없이 쓰입니다. 사전에 따른 세 단어의 의미입니다.


nonetheless: 그래도, 그렇기는 하지만

nevertheless: 그렇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however: 하지만, 그러나


별 의미차이 없습니다.


예문을 봅시다.

① I'm very tired. Nonetheless, I will finish my work on time.

    (나는 매우 피곤하다. 그래도, 나는 내 일을 끝낼 것이다/ 정시에)


② I'm very tired. Nevertheless, I will finish my work on time.

    (나는 매우 피곤하다. 그렇기는 하지만, 나는 내 일을 끝낼 것이다/ 정시에)


③ I'm very tired. However, I will finish my work on time.

    (나는 매우 피곤하다. 하지만, 나는 내 일을 끝낼 것이다/ 정시에)


예문에서 봐도 역시 의미차이 없습니다.


권위있는 사전들에서는 대부분 이 세 단어를 동의어 취급합니다. 그러니 의미차이는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2) 활용

■ nonetheless : 지나치게 격식을 갖춘 말입니다. 웬만하면 안 쓰는 것이 좋습니다.

■ nevertheless : 격식을 갖춘 말입니다. 특별히 강조할 경우에 사용합니다.

■ however : 일상적인 말입니다. 자주 씁니다.


일상적인 상황에서라면 'nonetheless, nevertheless' 대신에 'however'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ex) It was small, however, giant step for humankind.

    (=It was small, nevertheless(nonetheless), giant step for humankind.)

    (그것은 작았지만 거대한 발걸음이었다 / 인류에게)


(참고)

'none the less'에 대응되는 ‘none the more'라는 구문도 있습니다. 그러나 ’none the more'는 은퇴 정도가 아니라 거의 ‘죽은' 표현입니다.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none the less'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22] some, any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some, any를 공부하겠습니다. 


난이도 ★★☆☆☆


some, any는 명사 앞에서 일부를 나타냅니다.



1. some


some일부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주로 긍정문에서 쓰이며 명사를 수식하여, ‘어떤이라는 뜻을 갖습니다.


(1) 긍정문

ex) I like some classical music.

   (나는 좋아한다/ 일부 클래식 음악을)


긍정의 답을 예상할 때는 의문문이나 부정문에서도 some을 쓸 수 있습니다.

(2) 의문문

ex) Do you like some more coffee?

   (커피 좀 더 마실 거지?)

   (더 마실 것이라고 예상함)


(3) 부정문

ex) Haven’t you missed some opportunities?

   (기회를 몇 번 놓치지 않았었니?)

   (기회 놓친 것을 알고 있다)


 

2. any


any 또한 일부를 나타냅니다. 주로 의문, 조건, 부정문에 쓰여서 어떤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1) 의문문

ex) Do you want any more coffee?

   (커피 더 마실래?)

   (마실지 안 마실지 모름)


(2) 조건문

ex) If you have any questions, feel free to ask.

   (어떤 질문이 있으면, 마음껏 하세요)


(3) 부정문

ex) I don’t like any classical music.                 

   (나는 좋아하지 않는다/ 어떤 클래식 음악도)


any가 긍정문에 쓰일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any어떤 ~라도의 의미를 갖습니다.


(4) 긍정문

Any advice is welcome.

    (어떤 충고라도 환영이다)

② You can call me any time.

    (전화해도 돼/ 언제라도)

 


그럼 이상으로 some, any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not so much A as B 용법 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not so much A as B’ 표현을 보겠습니다.

 

 

난이도 ★★★★☆

 

공부할 내용

1. not so much A as B 구문의 뜻

2. not so much A as B에서 주의할 점

3. not so much as 구문과 구별

 

 

1. not so much A as B 구문의 뜻 

not so much A as B 표현은 까다롭습니다. 이렇게 어려운 구문이 실제로 쓰일까 하는 의구심이 들 정도입니다. 그렇지만 영어권에서 실제로 많이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not so much A as B구문과 같은 의미를 지닌 표현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not so much A as B

    (그렇게 많이 A하지는 않는다/ B처럼)

    (≒ A가 아니라 B)

= not so much A but B

= not so much A, more B

= not A so much as B

= less A than B

= B rather than A

= more B than A

 

위 구문들을 모두 외우려고 하는 것은 무의미한 일입니다. 이해만 하면 충분히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본이 되는 ‘not so much A as B' 구문부터 살펴 보겠습니다.

 

(1) not so much A as B

    (그렇게 많이 A한 것은 아니다/ B만큼은)

    (= A가 아니라 B다)

이 구문을 정확하게 해석하면, ‘그렇게 많이 A하지는 않고 B이다라는 뜻입니다. 그러나 내용상 'A가 아니라 B‘라고 해도 의미는 통합니다.

 

기본예문

① They are not so much lovers as friends.

    (그들은 연인이라기 보다는 친구다)

    (웬지 친구같다는 뉘앙스)

 

변형예문들

(2) much 생략

기본 예문 ①번에서 much를 생략하여 다음과 같이 쓸 수도 있습니다.

①-1. They are not so lovers as friends.

 

(3) but, more 등과 함께 사용

‘A가 아니라 B'라는 뉘앙스를 살려서 'but, more’ 등과 함께 쓸 수도 있습니다.

  ①-2. They are not so much lovers but friends. (but 사용)

  ①-3. They are not so much lovers, more friends. (more 사용)

but을 쓸 경우 기본예문의 미묘한 뉘앙스는 사라지고 단정적인 느낌을 줍니다.

 

위에 든 기본 예문과 그 변형 예문들은 같은 의미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지 ‘not so much A as B' 구문이 조금 더 ’교과서적‘일 뿐입니다.

 

(4) A 위치 이동

비교 대상 A를 not 다음에 놓을 수도 있습니다.

  ①-4. They are not lovers so much as friends.

기본 예문과 의미 차이는 없습니다. 전적으로 개인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면 됩니다.

 

(5) less A than B

‘A가 아니라 B'이므로 '열등비교’ 구문을 사용해서 표현할 수 있습니다.

  ①-5. They are less lovers than friends.

문법적으로는 맞지만, 웬지 지나치게 교과서적 표현입니다.

 

(6) B rather than A, more B than A

‘than' 구문을 이용해 다시 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A, B의 순서가 바뀌게 됩니다.

  ①-6. They are friends rather than lovers.

         (그들은 오히려 친구들이다/ 연인들이라기 보다는)

  ①-7. They are more friends than lovers.

         (그들은 친구들이다/ 연인들이기보다)

 

철자가 다르면 의미가 다른 것이 원칙입니다. 외우려고 하지 말고, 본인이 의미하는 뉘앙스에 맞춰 쓰면 됩니다.

 

2. not so much A as B에서 주의할 점 

'not so much A as B‘ 구문에서 'A, B'는 비교대상입니다. 비교대상은 반드시 ’대등‘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A, B'는 문법적으로 ’같은 형태‘가 와야 합니다.

 

(1) 명사 vs 명사

   ex) They are not so much lovers as friends.

등위 구문이므로, 같은 품사인 ‘명사(lovers)와 명사(friends)’ 형태가 왔습니다.

 

다음 예문과 같이 문법적으로 다른 형태가 와선 안 됩니다.

  cf) They are not so much lovers as likes. (x)

위 예문은, 명사(lovers)를 동사(likes)와 연결했기 때문에 잘못 되었습니다.

 

예문을 조금 더 보겠습니다.

 

(2) 형용사 vs 형용사

  ex) He is not so much strange as curious.

       (그는 이상하기 보다는 호기심이 많다)

 

(3) 부정사 vs 부정사

  ex) I don't want so much to be loved as to love.

       (나는 사랑받기보다는 사랑하고 싶다)

 

(4) 절 vs 절

  ex) It is not so much that I don't love you as I just don't care.

       (내가 너를 사랑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그저 신경 쓰지 않을 뿐이야)

 

3. not so much as (~조차 안 한다) 구문과 구별

as를 붙여'not so much as'는 ‘~조차 안 한다’라는 뜻입니다.

 

Not so much as a whisper was heard.

  = Not even a whisper was heard.

     (속삭임 한 마디조차 들리지 않았다)

     (아주 조용했다)

 

Not so much as a drop of alcohol has touched my lips.

  = Not even a drop of alcohol has touched my lips.

    (술 한방울조차 내 입술에 닿지 않았다)

    (술은 입에 대지도 않았다)

 

 

‘not so much as'은 자주 쓰이지 않기 때문에 의미만 알면 됩니다.

 


4. 연습문제 다운로드

위에서 학습한 "not so much A as B" 구문을 복습할 수 있는 연습문제입니다.  pdf 파일을 다운로드한 다음 풀어 보세요.

not so much A as B 문제.pdf
0.26MB
not so much A as B 문제 - 정답.pdf
0.18MB

 

 

그럼 이상으로 ‘not so much A as B'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제가 쓴 구문책 미리보기입니다. 한국인 영어 학습자에게 필요한 필수 구문들을 모아서 간결하게 정리했습니다. 한 번 보시기 바랍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ne the less, nonetheless, nevertheless, however  (1) 2014.03.15
some, any 용법 정리  (3) 2014.03.14
as 원급 as 용법정리  (15) 2014.03.11
the 비교급, the 비교급  (0) 2014.03.10
so I do, so I am.  (3) 2014.03.08

as 원급 as 용법정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as 원급 as’ 표현을 공부 하겠습니다.


난이도 ★★★★☆


'as 원급 as' 구문은 아주 중요합니다. 시험에 자주 출제될뿐더러 글에서도 자주 쓰이기 때문입니다.


이 구문은 보통 'as A as B‘의 형태로 쓰입니다. 여기서 A는 형용사나 부사가 와서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비교 대상이 옵니다. ’as A as B‘구문의 해석은 '아주 A한다, B처럼(만큼)’이라고 합니다.


편의상, A가 고정된 경우와 B가 고정된 경우로 나누어 설명하겠습니다.



1. A 고정


A가 고정된 경우는 거의 관용표현으로 쓰입니다.


(1) B 명사가 셀 수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서.

① as many as B

ex) I can see as many as 80 stars.

    (나는 아주 많이 볼 수 있다/ 80만큼의 별을)

    (별은 셀 수 있는 명사이므로 many)


② as much as B

ex) I can drink as much as two bottles of milk.

    (나는 아주 많이 마신다/ 두 병의 우유 만큼을)

    (우유는 셀 수 없으므로 much)



(2) A에 항상 같은 형용사가 온다.

이들은 숙어로서 각각 고유한 의미를 갖습니다.

① as good as (=no better than)

    ~와 같은, ~와 마찬가지

ex) He is as good as dead.

    = He is no better than dead.

    (그는 죽은 것이나 마찬가지다)


② as long as (= so long as)

    ~하는 한

ex) I'll love you as long as I live.

   = I'll love you as long as I live.

   (나는 당신을 사랑할 것이다/ 내가 살아 있는 한)


③ as far as (=so far as)

    ~하는 한

ex) He is honest, as far as I know.

   = He is honest, so far as I know.

   (그는 정직하다, 내가 아는 한)


④ as early as

   기대보다 일찍, 아주 일찍

ex) We can announce the winner as early as today.

    (우리는 승자를 발표할 수 있다/ 기대보다 일찍 오늘)


⑤ as late as

    기대보다 늦게, 아주 늦게까지

ex) Yesterday night she studied as late as midnight.

     (어제 저녁 그녀는 아주 늦게까지 공부했다/ 한 밤중까지)

 


2. B 앞에 고정


B 앞에 특정한 표현과 함께 쓰입니다.


(1) as A as any B

    (아주 A하다/ 어떤 B만큼(처럼))

ex) Your explanation is as clear as any other explanations.

    (당신의 설명은 아주 명확하다/ 어떤 다른 설명들만큼)


(2) as A as ever B 과거 동사

    (아주 A하다 B가 했던 것만큼)

ex) Your explanation is as clear as I ever heard.

    (당신의 설명은 아주 명확하다/ 내가 지금까지 들었던 것들만큼)


(3) as A as ever

    (여전히)

ex) Your explanation is as clear as ever.

    (당신의 설명은 아주 명확하다/ 여전히)


(4) as A as B can (= as A as possible)

ex) You should be here as quickly as you can.

    (= You should be here as quickly as possible)

    (당신은 여기 아주 빨리 와야 한다/ 가능한 만큼)




3. 관용어구


   다음 as A as B 구문은 'B의 속성‘을 이용한 관용구들입니다.


(1) as blind as a bat : 장님이나 다름없는

     (박쥐는 눈은 퇴화되어 볼 수 없으므로)

ex) She forgot her glasses and she is as blind as a bat.

     (그녀는 안경을 깜빡했다/ 그녀는 아주 눈이 안 보인다/ 박쥐만큼이나)


(2) as busy as a bee : 벌처럼 부지런한

     (일벌은 부지런함의 상징이므로)

ex) He is always as busy as a bee to support his family.

     (그는 항상 아주 부지런하다/ 벌처럼/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서)


(3) as cool as a cucumber : 오이처럼 냉정한

     (오이 속살이 시원하고 차가운 느낌을 주기 때문에)

ex) I felt nervous, but acted as cool as a cucumber.

     (나는 긴장됨을 느꼈다, 그렇지만 아주 냉정하게 행동했다/ 오이처럼)


(4) as like as two peas : 두 개의 콩처럼 꼭 닮은

     (같은 콩깍지 속에서 나온 콩들은 똑같이 생겼기 때문에)

ex) The twins are as like as two peas.

    (그 쌍둥이들은 아주 똑같다/ 콩 두 개처럼)


(5) as mean as a snake : 뱀처럼 비열한

    (뱀이 주는 교활하고 간사한 이미지 때문에)

ex) The criminal is as mean as a snake.

    (그 범죄자는 아주 교활하다/ 뱀처럼)


(6) as pale as death : 죽음처럼 창백한

    (죽은 시체는 창백한 얼굴을 하기 때문에)

ex) Her skin is as pale as death.

    (그녀의 피부는 아주 창백하다/ 죽은 것처럼)


(7) as poor as a church mouse : 매우 가난한

    (교회에서는 음식을 차리지 않기 때문에 먹을 것이 없음)

ex) He has no money. He is as poor as a church mouse.

    (그는 돈이 없다. 그는 아주 가난하다/ 교회 쥐만큼이나)


(8) as silent as an oyster : 굴처럼 과묵한

    (굴은 언제나 입을 꽉 다물고 있으므로)

ex) She is as silent as an oyster when angry.

    (그녀는 아주 조용하다/ 굴처럼/ 화났을 때는)



그럼 이상으로 as 원급 관용표현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me, any 용법 정리  (3) 2014.03.14
not so much A as B 용법 정리  (13) 2014.03.12
the 비교급, the 비교급  (0) 2014.03.10
so I do, so I am.  (3) 2014.03.08
So do I, So am I.  (4) 2014.03.07

the 비교급, the 비교급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the + 비교급‘을 공부하겠습니다.


난이도 ★★★★☆


비교급 앞에는 원칙적으로 the를 붙이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the를 붙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외적인 경우이기 때문에 잘 봐 두셔야 합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the 비교급, the 비교급

2. the 비교급 + 한정어구

3. all the 비교급, none the 비교급



1. the 비교급, the 비교급


(1) the 비교급, the 비교급 개념 정리

두 개의 절이 댓구를 이룰 때는 비교급 앞에 정관사 the를 붙입니다. 관용적인 용법이기 때문에 ‘the 비교급, the 비교급’ 이라고도 합니다.


‘the + 비교급, the + 비교급’구문은 정도나 비율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the 비, the 비’ 구문은 두 절이 댓구를 이루며 다음과 같은 형식을 취합니다.


the 비교급 주어 동사, the 비교급 주어 동사


예문을 봅시다.

The older we grew, the wiser we became.

    (우리가 나이를 먹을수록, 우리는 더 현명해 진다)


이 구문에서 주의할 것은 두 가지입니다.

접속사가 없다.

'the 비, the 비‘ 구문은, 두 문장이지만 접속사가 없습니다. 두 문장이 댓구를 통해서 논리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어순이 도치된다.

   위 예문의 원래 어순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1. We grew the older, we became the wiser.

   위 문장에서 비교급 구문을 문장 첫 머리로 도치시킨 것입니다.


(2) the 비교급 구문의 활용

    (‘the 비, the 비’)


① the 비교급, the 비교급

ex) The older we grew, the wiser we became.

     (우리가 나이를 먹을수록, 우리는 더 현명해졌다)

①번에서 두 절이 댓구를 이루기 때문에 비교급 앞에 정관사 the를 썼습니다.


①번은 as를 이용해 같은 의미의 문장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①-1. As we grew older, we became wiser.

As가 들어간 문장으로 바꾸면 비교급 앞에서 the를 쓸 수 없습니다.


①번 ‘the 비, the 비’ 구문에서 주어와 동사를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①-2. The older, the wiser.

주어 동사가 생략되었지만, 댓구를 이루었기 때문에 'the'를 썼습니다.


어떤 문장이든지 'the 비, the 비’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the 비, the 비‘ 문장은 접속사 as를 이용해 다시 쓸 수 있습니다.


② The more you have, the better you will be.

    (많이 가질 수록, 더 좋아질 것이다

②-1. As you have more, you will be better.

       (많이 가짐에 따라서, 너는 더 좋아질 것이다)

②-3. The more, the better.

       (많을 수록 더 좋다)


③ The richer we grow, the greater our worries (will be).

    (우리가 부자가 될수록, 걱정이 더 커진다)

③-1. As we grow richer, our worries will be greater.

       (우리가 부자가 됨에 따라서, 우리의 걱정도 더 커진다)

③-3. The richer, the greater the worries.

       (부자일수록, 걱정도 더 크다)



2. the 비교급 + 한정어구


비교급이 특정한 구문에 의해서 한정되면 the를 쓸 수 있습니다. (사실 비교급 구문만이 아니라 어떤 말이든지 한정을 받아 ‘특정’을 의미하면 ‘정관사 the'를 씁니다.)


(1) of the two 구문과 함께

'of the two (둘 중에서)‘ 구문과 함께 쓰이는 비교급 앞에서는 the를 붙입니다. 보통 비교급은 둘 사이에서 사용됩니다. 그런데 ’of the two'를 썼다는 것은 의미를 한정(강조)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정관사 the를 씁니다.

 

관용적 표현에 가까우므로 'of the two' 앞에서는 비교급 앞에 the를 쓴다고 생각해도 됩니다.

 

① My car is better than yours.

    (내 차가 더 좋다/ 너의 것보다)

①-1. My car is THE better of the two.)

       (내 차가 더 좋다/ 두 개 중에서)

①번은 than과 함께 쓰인 비교급입니다. better 앞에 the가 없습니다. ①-1번은 'of the two' 와 함께 쓰였기 때문에 ‘the better'가 되었습니다.


예문을 몇 개 더 보겠습니다.

② This computer is the faster of the two.

    (이 컴퓨터가 더 빠르다/ 두 개 중에서)

③ She is the more beautiful of the two.

    (그녀가 더 아름답다/ 둘 중에서)


(2) 이유를 나타내는 구문과 함께 쓰일 때

비교급 다음에 이유를 나타내는 구나 절이 올 경우 정관사 the를 씁니다. 역시 의미상 한정을 받기 때문에 비교급 앞에 정관사 the를 쓰는 것입니다.


① You are THE cooler for being a little bad guy.

    (너는 더 쿨하다/ 약간 나쁜 녀석이기 때문에)

①-1. You are THE cooler because of your bad attitude.

①-2. You are THE cooler because you are a bad guy.



3. all the 비교급, none the 비교급


의미상 한정을 받는 경우라서 비교급 앞에 ’the'를 쓰지만 관용적인 표현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1) all the better : 예상보다 훨씬 나을 때

A: Did you have money?

    (돈 있어?)

B: I got my father's credit card.

   (울 아빠 신용카드 있어)

C: All THE better!

    (완전 좋았어!)


(2) none the 비교급

비교급에 사용되는 말에 따라 긍정 부정이 달라집니다.


① 긍정의 의미 (예상보다 덜 나쁠 때)

A: I got mugged on the way.

   (오다가 털렸어)

B: What? Are you all right?

   (뭐? 괜찮아?)

A: He left me my credit card.

    (그 자식이 카드는 남겨 놓았어)

B: None the worse.

   (그렇게 나쁘지는 않았군)


② 부정의 의미

ex) He is none the wiser for his expensive college.

    (그는 전혀 현명해지지 않았다/ 비싼 대학에도 불구하고)



비교급 앞에 the를 쓰는 경우는 문맥에서 한정을 받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거의 관용적으로 쓰이기 때문에 나올 때 마다 외워두는 것이 편합니다.

 

그럼 이상으로 'the 비교급‘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t so much A as B 용법 정리  (13) 2014.03.12
as 원급 as 용법정리  (15) 2014.03.11
so I do, so I am.  (3) 2014.03.08
So do I, So am I.  (4) 2014.03.07
~에 대하여 (about, on)  (2) 2014.03.06

so I do, so I am.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긍정동의 2부를 보겠습니다.


난이도 ★★★★☆


공부할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So do I’, ‘So I do’ 구별

2. 긍정동의 구문에서 주의할 점


앞에서 말한 내용이 뒤의 대상에도 똑같이 적용될 때 긍정동의 표현을 사용합니다. 긍정동의 표현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길 바랍니다.

[송성태 영문법] - 긍정동의 1부.



1. So do

   So I do.


'긍정동의는 ‘So do I', 'So I do' 등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즉, so 다음에 ’동사+주어‘ 또는 ’주어+동사‘ 어순이 올 수 있습니다. 이 경우의 의미차이를 살펴보겠습니다.


(1) 동의의 대상이 다를 때

    (So 동사 주어)

A: I like chocolate.

   (나는 초콜릿이 좋아)

B: So do I.

   (나도 그래)

(1)번의 대화를 보면, 초콜릿을 좋아하는 사람은 둘(A, B)입니다. A도 초콜릿을 좋아하고, B도 좋아합니다. 'So 동사 주어‘ 구문은 이와 같이 동의의 대상이 다를 때 사용합니다.

 

(2) 동의의 대상이 같을 때

    (So 주어 동사)

A: You like chocolate.

   (너 초콜릿 좋아하는 구나)

B: So I do.

   (정말 좋아해)

(2)번의 대화에서 초콜릿을 좋아하는 사람은 한 사람(B)입니다. 이렇게 동의의 대상이 같을 때는 ‘So 주어 동사’ 구문을 사용합니다.

 

예문을 하나 더 보겠습니다.

(3) 동의의 대상이 다를 때

A: I am pretty.

   (나 예뻐)

B: So am I.

   (나도 예뻐)

(3)번에서는 예쁜 사람이 둘(A, B)입니다. 예쁜 사람이 다릅니다. 그래서 'So 동사 주어‘를 썼습니다.

 

(4) 동의의 대상이 같을 때

A: I am pretty.

   (나 예뻐)

B: So you are.

   (그래, 너 예쁘다)

(4)번에서는 예쁜 사람이 한 명(A)입니다. 서로 동의하는 대상이 같습니다. 그러므로 ‘So 주어 동사’를 썼습니다.

 

‘So 동사 주어’, ‘So 주어 동사’를 너무 신경 써서 구별할 필요는 없습니다. 주로 쓰이는 것은 ‘So 동사 주어’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2. 긍정동의 구문에서 주의할 점


긍정동의 구문은 독해할 때 주의해야 합니다. 짧은 대화체에서는 별로 어렵지 않지만, 문장이 길어지면 동사를 찾는 것이 쉽지 않아서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시험에도 자주 출제됩니다. 잘 보고 익혀두길 바랍니다.

 

(1) 동의의 대상

    ⇒ 반드시 사람일 필요는 없습니다.

① The global economy is struggling. So is Korea's.

    (세계 경제가 허우적거리고 있다. 한국도 그렇다)

 

② The summer ended. So did my youth.

    (여름이 끝났다. 내 젊음도 끝났다)

 

위 예문에서 보듯이, ‘so do I' 구문에서 'I' 대신에 사물이 올 수도 있습니다. ’So do I'라는 표현 때문에, 사람만 동의의 대상이 된다고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2) 동사 유형 구별

    ⇒ 문장이 길 때는 동사 유형에 주의해야 합니다.


※ 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부분을 바르게 고치시오.

A poet and amateur architect, Giovanni Giorgio Trissino established an academy. So was King Alfonso of Naples.

(시인이자 아마추어 건축가였던 Giovanni Giorgio Trissino는 ‘academy'를 설립했다, 나폴리왕 Alfonso도 그랬다)

 

정답: was → did

위 문장에서는 ‘세웠다(established)'가 반복됩니다. 일반동사이므로 was 대신에 do의 과거형 ’did'를 써야 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문제는 시험에 자주 출제됩니다. 문장이 길어지면 주어 동사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결국 문법의 기본은 해석입니다.

 


그럼 이상으로 긍정동의 표현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 원급 as 용법정리  (15) 2014.03.11
the 비교급, the 비교급  (0) 2014.03.10
So do I, So am I.  (4) 2014.03.07
~에 대하여 (about, on)  (2) 2014.03.06
최상급 개념정리  (3) 2014.03.05

So do I, So am I.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긍정동의 표현을 보겠습니다.


난이도 ★★★☆☆


긍정동의란 앞에서 말한 긍정적인 내용이 뒤의 대상에도 똑같이 적용될 때 사용합니다. (문법적으로는 없는 용어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만들었습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내용입니다.  (긍정동의 1부)

1. 영어의 긍정동의 표현들

2. 'So do I', 'So I do.' 의미 차이



1. 영어의 긍정동의 표현들


영어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긍정동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A: 나는 초콜릿이 좋아.

B: 나도 그래.


A, B 모두 초콜릿을 좋아하므로, 긍정동의입니다. A, B의 대화를 비슷한 의미의 긍정동의 표현으로 옮겨 보겠습니다.


(1) too 이용

A: I like chocolate.

B: I like chocolate, too

긍정 동의를 나타내는 부사 too를 썼습니다. 많이 쓰는 표현입니다.


(2) 'Me too' 이용

A: I like chocolate.

B: Me too.

긍정동의 표현 ‘Me too'는 아주 많이 쓰이는 편리한 말입니다. 단, 격식이 필요 없는 일상적인 상황에서 사용해야 합니다.


(3) also 이용

A: I like chocolate.

B: I also like chocolate.

긍정동의 부사 'also'는 too보다 격식을 갖춘 말입니다. 대화에서는 주로 too를, 글이나 격식을 갖춘 상황에서는 also를 씁니다. (글이나 격식을 갖춘 상황에서도 too를 쓸 수 있습니다)


(4) ‘as well’ 이용

A: I like chocolate.

B: I like chocolate as well.

긍정동의 'as well' 구문은 주로 문장 끝에 위치합니다. 'as well'은 'also'와 마찬가지로 격식을 갖춘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5) 'So do I' 이용

A: I like chocolate.

B: So do I.

자주 쓰는 표현입니다. 반복의 단조로움을 없애고, 대화의 격(?)도 높일 수 있는 표현입니다.


(1)~(5)에 살펴본 긍정동의 표현들은 의미가 거의 같습니다. 사용규칙을 참고하여 상황에 맞춰 사용하면 됩니다.



2. So do I, So am I, So can I.


긍정동의 표현에서는, 앞에 언급된 동사에 따라 So 구문의 동사가 결정됩니다. 각 유형별로 살펴 보겠습니다.


(1) 앞에 오는 동사가 일반동사일 때.

    (So do 주어)

A: I like chocolate.

   (나는 초콜릿이 좋아)

B: So do I.

   (나도 그래)

A에서 일반동사 like가 왔으므로 B에서 ‘do'를 썼습니다. 이렇게 일반동사가 올 때는, ’So do 주어‘형식으로 긍정동의를 표현합니다. 


물론 앞에 나온 동사의 시제가 과거라면 ’did'를 씁니다.

C: I liked chocolate.

   (나는 초콜릿을 좋아했었어)

D: So did I.

   (나도 그랬어)


(2) 앞에 오는 동사가 be동사 일때.

    (So be 주어)

A: You are kind.

   (너는 친절해)

B: So are you.

   (너도 그래)

A에서 are가 왔으므로 B에서도 are를 썼습니다. 


역시 앞에 과거시제가 나오면 be동사의 과거형을 써 줍니다.

C: You were kind.

D: So were you.

 

(3) 앞에 오는 동사가 조동사일 때.

    (So 조동사 주어)

A: I can do it.

   (난 그것을 할 수 있어)

B: So can I.

   (나도 그래)

A에서 조동사 can이 왔으므로, B에서도 조동사 can을 써 주었습니다. 


앞에 다른 조동사가 오면 그 조동사를 써 주면 됩니다.

C: I will go there.

   (난 거기 갈 거야)

D: So will I.

   (나도 그래)


앞에 나온 조동사의 시제가 과거라면 so 문장에서도 과거 조동사를 써야 합니다.

E: I would go there.

   (나는 거기 가곤 했어)

F: So would I.

   (나도 그랬어)

 

(1)~(3)에서 보았듯이 앞에 오는 동사에 맞춰, ‘So' 구문의 동사를 써 주어야 합니다.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일반동사 ⇒ So do 주어.

be 동사 ⇒ So be 주어.

조동사 ⇒ So 조동사 주어

 


그럼 이상으로 ‘So do I’, ‘So am I’ 구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비교급, the 비교급  (0) 2014.03.10
so I do, so I am.  (3) 2014.03.08
~에 대하여 (about, on)  (2) 2014.03.06
최상급 개념정리  (3) 2014.03.05
시간과 장소를 나타내는 at, on, in  (13) 2014.03.04

~에 대하여 (about, on)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에 대하여' 표현을 살펴 보겠습니다.



여러 전치사들이 ‘~에 대하여’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about를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about, on : ~에 대하여


about, on은 ‘~에 대하여’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그렇지만 다음에 오는 명사의 성격이 약간 다릅니다. 단어별로 살펴보겠습니다.


(1) about + 일상적인 내용

about 다음에 오는 명사들은 보통 일상적인 내용들을 담고 있습니다.


① a talk about the coming date

    (다가오는 데이트에 관한 이야기)

② information about saving money

    (돈 절약에 관한 정보)

③ a book about fish

    (물고기에 관한 책)

④ a plan about a holiday

    (휴일에 관한 계획)

⑤ a rumor about their divorce

    (그들의 이혼에 관한 소문)


(2) on + 전문적인 내용

On 다음에는 주제, 연구, 학문 등 전문적인 내용의 명사들이 옵니다.


① a book on international politics

    (국제 정치에 대한 책)

② a theory on relativity

    (상대성에 관한 이론)

③ a dissertation on modern art

    (현대 예술에 대한 논문)

④ a study on ancient civilization

    (고대 문명에 대한 연구)

⑤ a lecture on geology

    (지질학에 대한 강연)


주의할 것은 ‘about + 전문적인 내용의 명사’도 많이 쓰이고 있다는 것입니다. 단지 ‘on + 전문적인 내용의 명사’가 더 많이 쓰일 뿐입니다.



2. 그 외의 표현들


‘about' 이외에도 다음과 전치사들이 ’~에 대하여‘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에 대하여’ : concerning, as regards, with regard to, regarding, in reference to 등

 

많은 단어들이 있지만, 이들 단어들의 의미차이까지 알 필요는 없습니다. 단어들의 의미만 알고 있으면 충분합니다. 실제로 커다란 의미차이도 없습니다. 또한, ‘~에 대하여’는 ‘about(on)'을 쓰는 것이 더 간결하고 명확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상으로 '~에 대하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 I do, so I am.  (3) 2014.03.08
So do I, So am I.  (4) 2014.03.07
최상급 개념정리  (3) 2014.03.05
시간과 장소를 나타내는 at, on, in  (13) 2014.03.04
전치사와 논리  (6) 2014.03.03

최상급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최상급을 공부하겠습니다.



최상급이란?


최상급은 가장 높은 정도나 등급을 나타냅니다. 다음 문장들은 내용상 최상급 표현들입니다.

 

(1) Couldn’t be better.

   (해석: 더 좋을 수는 없다)

   (속뜻: 최고로 좋다)


(2) Nothing is so precious as time.

   (해석: 어떤 것도 시간만큼 귀중하지는 않다)

   (속뜻: 시간이 가장 귀중하다)


(1)번과 (2)번은 형식상으로는 비교급(better)과 원급(precious)를 썼지만 내용상으로 최상급입니다.


그렇지만 보통 최상급이라고 하면, 형용사나 부사에 ‘-est’‘most’를 붙인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형식상의 최상급에서는 다음 사항들에 주의해야 합니다.




1. 최상급과 정관사


형용사나 부사의 최상급에는 원칙적으로 정관사 ‘the’를 붙입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관사를 생략합니다.

 

(1) 부사의 최상급

부사의 최상급에도 정관사(the)를 붙이는 것이 원칙이지만, 현대에서는 ‘the’를 붙이지 않고 쓰기도 합니다.


ex) Tyson Gay ran (the) fastest at the 200m race.

    (타이슨 게이가 가장 빨리 달렸다/ 200m 레이스에서)


아직 ‘ran the fastest’가 더 많이 쓰이고 있지만 ‘ran fastest’도 상당히 많이 사용됩니다. 그러므로 부사의 최상급에서는 the를 생략할 수도 있다고 알아두면 됩니다.


(2) 동일인의 최상급

형용사의 최상급에는 다음과 같이 ‘the’를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다른 대상을 포함한 최상급

1. She is the most beautiful in her class.

(그녀는 가장 아름답다/ 그녀의 반에서)


1번은, ‘그녀가, 자신을 포함한 반 친구들 전체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이렇게 다른 대상을 포함하고 있는 최상급 앞에는 정관사 the를 씁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최상급은 여기에 속합니다.

 

그러나 동일대상의 최상급을 나타낼 때는 ‘the’를 생략합니다.


동일대상의 최상급

2. She is most beautiful when she laughs.

   (그녀는 가장 아름답다/ 웃을 때)


2번의 최상급은 다른 대상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그녀의 여러 가지 모습 중에서 웃을 때가 가장 아름답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경우는 진정한 최상급이라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the를 생략합니다.


예를 좀 더 보겠습니다.

3. The Congo River is the longest of all rivers.

   (콩고 강이 가장 깊다/ 모든 강들 중에서)

다른 강들을 포함한 최상급이므로 ‘the’를 썼습니다.


4. This river is deepest at this point.

   (이 강은 가장 깊다/ 이 부분에서)

다른 강을 포함하지 않았으므로 정관사 the를 생략했습니다.

 


2. 최상급의 수식


최상급은 ‘by far, ever, the very’ 등의 말로 수식할 수 있습니다.


(1) He is by far the most dangerous man in the world.

   (그는 단연코가장 위험한 남자이다/ 세계에서)


(2) Socrates was the wisest man lived ever.

   (소크라테스가 가장 지혜로운 사람이었다/ ‘지금까지살았던)


(3) My father was the very best man that I knew.

   (내 아버지는 그야말로최고의 남자였다/ 내가 알았던)



이상으로 최상급 개념정리를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 do I, So am I.  (4) 2014.03.07
~에 대하여 (about, on)  (2) 2014.03.06
시간과 장소를 나타내는 at, on, in  (13) 2014.03.04
전치사와 논리  (6) 2014.03.03
across, through 의미차이  (0) 2014.03.01

[6] 시간과 장소를 나타내는 at, on, in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전치사 at, on, in을 공부하겠습니다.



at, on, in은 기본 전치사로서 시간과 장소를 나타내는 말과 함께 쓰입니다. at, on, in은 다음에 오는 말의 시간적·공간적 크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1. 시간 표현


at, on, in은 시간적 크기에 따라 다음과 같은 말들과 함께 쓰입니다.


(1) at + 사건 발생 시각

at은 가장 작은 시간을 나타냅니다. at 다음에는 주로, 행동이나 사건이 발생한 특정한 시각(point)이 옵니다.


1.  I left my home at 8.  (행동 발생 시간)

    (우리는 만났다/ 2시에)


2.  I married at 35.  (사건 발생 시간)

    (나는 결혼 했다/ 35살에)


(2) on + 날짜, 요일

on 다음에는 날짜와 요일, 그리고 특정한 날이 옵니다.


1. We have a day off on December 25.  (날짜)

    (우리는 쉰다/ 12 25일에)


2. Christmas falls on Friday.  (요일)

    (크리스마스는  금요일이다)


3. Christmas falls on my birthday.  (특정한 날)

    (5 1일은 내 생일이다)

 

(3) in + 기간을 나타내는 말 (긴 시간)

in 다음에는 달, 년도 같이 긴 시간이나 기간을 나타내는 말이 옵니다.


1 My son was born in July.  ()

   (내 아들은 태어났다/ 7월에)


2 My daughter was born in 2010.  (년도)

   (내 딸은 태어났다/ 2010년에)


3 Both my children were born in Sumer.  (기간)

   (내 두 아이들은1 모두 태어났다/ 여름에)



2. 장소 표현


at, on, in 다음에는 장소의 크기가 다른 말들이 옵니다.


(1) at + 사건 발생 장소

at가장 작은 장소와 함께 사용됩니다. at 다음에는 행동이나 사건이 발생한 구체적인 장소가 옵니다.  보통 도시나 마을보다 작은 크기의 장소에는 at을 사용합니다.


1. I ran at the playground.  (행동 발생 장소)

    (나는 달렸다/ 운동장에서)

2. The fire broke out at the airport.  (사건 발생 장소)

    (화재가 발생했다/ 공항에서)

3. She teaches at the university.  (도시보다는 좁은 장소)

    (그녀는 가르친다/ 대학에서)


(2) on + 어떤 장소와 가까운 곳

on은 어떤 장소와 가까운 곳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1. We live in a house on the Han River.  (한강과 가까운 곳)

    (우리는 집에 산다/ 한강과 가까운 곳에)


2. We spend a vacation in a town on the coast.  (해변과 가까운 곳)

    (우리는 한 마을에서 휴가를 보낸다/ 해변과 가까운)


예문에서 보듯이 on다음에는, at 다음에 오는 장소보다 큰 장소들이 옵니다.


(3) in + 큰 지역이나 공간

in 다음에는 보통 도시나 도시보다 큰 장소가 옵니다.


1. We live in Seoul.  (도시 앞)

    (우리는 서울에 산다)


2. Seoul is located in Korea  (나라 앞)

    (서울은 위치해 있다/ 한국에)



시간과 공간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전치사 at, on, in를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at : 행동이나 사건이 발생한 좁은 장소나 특정한 시간 앞에 사용된다.

on: 날짜나 요일 및 특정한 날, 그리고 어떤 장소와 가까운 장소 앞에서 사용된다.

in:  기간을 나타내는 긴 시간, 그리고 도시이상 크기의 장소 앞에서 사용된다



그럼 이상으로 at, on, in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 대하여 (about, on)  (2) 2014.03.06
최상급 개념정리  (3) 2014.03.05
전치사와 논리  (6) 2014.03.03
across, through 의미차이  (0) 2014.03.01
관사의 위치  (4) 2014.02.28

[2] 전치사와 논리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전치사와 그 논리를 공부하겠습니다.

 


1. 논리적인 전치사


언뜻 보면 우리말 보다 영어가 더 논리적으로 보입니다. 우리말 거리를 걷다와 같은 의미의 영어 문장을 비교해 봅시다


(1) 우리는 거리를 걸었다

We walked ON the street.


우리말은 거리를 걸었다면 충분합니다. 그렇지만 영어는 ‘walked on the street’, 거리 위를 걸었다가 됩니다. 우리말과는 달리 전치사 ‘on’을 써서 위치 관계를 분명하게 합니다.


또 다른 예를 봅시다.

(2) 그는 땅에 묻혔다.

He was buried UNDER the ground.


마찬가지로 땅에 묻혔다는 우리말은 땅 아래 묻혔다(buried under the ground)’가 됩니다. 이렇게 전치사는 영어의 논리적인 특성을 보여줍니다




2. 비 논리적인 전치사


그런데 전치사는 영어의 비 논리적인 특성 또한 보여줍니다. 다음 예문을 봅시다.


(1) The apples are on the tree.

   (사과들이 나무 위에 열렸다)


위 문장은 ‘~위에라는 전치사 on을 볼 때 말이 되지 않습니다. 사과는 땅을 향해서 나무 가지 아래로매달려 있기 때문입니다.


비논리적인 또 다른 예문입니다.

(2) A spider is crawling on the side wall.

   (거미 한 마리가 기어가고 있다/ 옆 벽 위를)


옆 벽이므로 ‘~의 곁을 나타내는 ‘by’가 더 어울릴 것 같습니다. 그런데 ‘~위 위에라는 전치사 ‘on’이 쓰였습니다.


(2)번과 똑 같은 옆 벽이지만 다른 전치사가 쓰입니다.

(3) He is standing AGAINST the side wall.

   (그는 서 있었다/ 옆 벽에 기대어)


(3)번은 (2)번과 똑 같은 벽의 한 부분을 나타냅니다. 그럼에도 on 대신에 against를 썼습니다.


이렇듯 전치사를 논리와 연결시키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전치사를 논리와 관계없는 관용적 표현으로만 생각해서도 안 됩니다. 나름대로 분명하고 체계적인 전치사의 논리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전치사의 이러한 특성을 이해해야 학습이 수월해 집니다. 논리적인 전치사는 이해를 위주로, 관용적인 전치사는 암기를 통해 공부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럼 이상으로 전치사와 논리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상급 개념정리  (3) 2014.03.05
시간과 장소를 나타내는 at, on, in  (13) 2014.03.04
across, through 의미차이  (0) 2014.03.01
관사의 위치  (4) 2014.02.28
beyond, past 의미차이  (1) 2014.02.27

across, through 의미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전치사 across, through를 공부하겠습니다.


 

   두 전치사의 간단한 정의입니다.

1. across : ~의 (표면을) 가로질러

2. through : ~을 관통하여



1. across


전치사 across는 한 쪽에서 다른 쪽까지 ‘표면을 가로지르는 것’을 말합니다. across는 대상의 안쪽을 관통하지 않습니다.


(1) We ran across the playground.

    (우리들은 달렸다/ 운동장을 가로 질러서)

    (운동장 표면을 가로지르므로 across)


(2) He drew a line across the paper.

    (그는 선을 그었다/ 종이를 가로 질러서)

    (종이 표면을 가로지르므로 across)


(3) A smile spread across her face.

    (미소가 번졌다/ 그녀의 얼굴을 가로 질러)

    (얼굴 표면을 가로지르므로 across)

 


2. through


전치사 through는 ‘대상의 안쪽을 관통해서 끝까지’라는 의미입니다.


(1) The Han River flows through Seoul.

    (한 강은 흐른다/ 서울을 관통해서)

    (도시 내부를 관통해서 흐르므로 through)


(2) The bullet went through his body.

    (총알이 관통했다/ 그의 몸을)

    (몸을 관통해서 지나가므로 through)


(3) She swam through the river.

    (그녀는 강을 헤엄쳐 건넜다)

    (물 속을 지나가는 것이므로 through)

 


그럼 이상으로 across, through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과 장소를 나타내는 at, on, in  (13) 2014.03.04
전치사와 논리  (6) 2014.03.03
관사의 위치  (4) 2014.02.28
beyond, past 의미차이  (1) 2014.02.27
beside, by, near  (2) 2014.02.26

[10] 관사의 위치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관사의 위치를 공부하겠습니다.



관사는 약한 형용사이기 때문에 보통 형용사 앞에서 명사를 한정(수식)합니다. ,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를 취합니다.


관사 + 형용사 + 명사


그런데 결합하는 단어에 따라 관사와 형용사의 위치가 달라집니다.



1. too, so, as, how


too, so, as, how 등의 부사가 형용사를 수식하게 되면 부정관사가 형용사 다음으로 갑니다.


(too, so, as, how) a(n)


이러한 규칙이 있기는 하지만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


예를 봅시다.

(1) a good opportunity

     (좋은 기회)

(1-1) a very good opportunity.

      (매우 좋은 기회)

(1-2) a too good opportunity.

       (너무 좋은 기회)

(1-3) too good an opportunity to miss

       (너무 좋은 기회/ 놓치기에는)

  

주의할 것은 (1-2)번도 많이 사용되는 형태라는 것입니다. , 명사 뒤에 수식어구()가 올 때는 (1-3)번과 같은 형태를 주로 사용합니다.


(1-3)번과 같이 ‘too good’을 부정관사 앞에 쓰는 것은, ‘정말 좋다(too good)’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입니다. 강조하기 때문에 가장 앞에 두는 것 뿐입니다.  


문법이란 무조건 적인 규칙이 아닙니다. 문맥에 맞게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다른 예들을 몇 개 더 보겠습니다.

(2) He did it in so short a time.

   (= He did it in a so short time)

   (그는 이 일을 했다/ 그렇게 짧은 시간에)


(3) She is as good a cook as her mother.

  (She is an as good a cook as her mother)  (x)

      (그녀는 아주 좋은 요리사이다/ 그녀의 엄마만큼)

as가 형용사를 수식할 때는 반드시 ‘as 형용사 부정관사 명사의 순서로 써야 합니다.


(4) You don’t know how precious a life you have.

   (너는 모른다/ 얼마나 소중한 인생을 당신이 가지고 있는지)

how도 주로 ‘how a(n) 의 순서로 사용됩니다. how 자체에 강조(감탄)의 뜻이 강하기 때문에 앞에 써주는 것이 낫습니다.


too, so, as, how 는 부사이기 때문에 ‘~ 형용사 부정관사 명사의 순서가 가능합니다.

 


2. such, what


한정사 such, 감탄문을 이끄는 what 다음에는 부정관가 옵니다.

such a(n) ~, what a(n) ~

 

(1) It is such a nice car.

(1-1) It is a such nice car. (?)

        (그것은 그렇게 멋진 차다)


(1)번에서 such‘a nice car’를 전체를 수식하기 때문에 맨 앞에 썼습니다. (1-1)번과 같은 형태로는 잘 쓰이지 않습니다.


(2) What a wonderful life!

(2-1) A what wonderful life. (x)

        (멋진 인생!)


(2)번에서 what은 감탄문에 사용되었습니다. 의미상 강조하는 말이기 때문에 맨 앞에 썼습니다. (2-1)번은 쓰지 않는 표현입니다.

 


3. quite, rather


quite, rather는 부정관사 앞이나 뒤에 위치할 수 있습니다.

(quite, rather) a ~

a (quite, rather) ~

 

(1) I have quite a good book.  (o)

(1-1) I have a quite good book.  (0)

    (나는 가지고 있다/ 상당히 좋은 책을)


quite(1)번과 같이 부정관사 앞에 쓸 수도 있고, (2)번과 같이 부정관사 뒤에도 쓸 수 있습니다.

 

‘quite’ 앞에는 부정관사를 쓸 수 없다고 말하는 책도 있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1-1)번이 훨씬 더 많이 쓰입니다.

 

(2) It was rather a difficult question.

(2-1) It was a rather difficult question.

    (그것은 다소 어려운 문제였다)

 

rather의 경우도 (2-1)번과 같은 형태가 훨씬 더 많이 쓰입니다.

 


위에서 보았듯이 문법 규칙은 항상 변합니다. 문법 규칙을 그대로 암기만 하는 것은 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문법이란 살아서 변하는 말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치사와 논리  (6) 2014.03.03
across, through 의미차이  (0) 2014.03.01
beyond, past 의미차이  (1) 2014.02.27
beside, by, near  (2) 2014.02.26
to, toward, towards 의미 차이  (6) 2014.02.25

past, beyond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past, beyond를 공부하겠습니다.



beyond, past는 ‘~을 지나서’, ‘~을 넘어서’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두 전치사는 용법이 겹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부분도 있습니다. 각 용법 별로 살펴보겠습니다.



1. 장소와 함께 쓰일 때


(1) beyond : ~을 넘어서 (= over)

beyond는 한 장소를 위로 넘어 다른 곳으로 가는 것입니다.


ex) The airplane flew beyond the mountain.

     (비행기가 날아갔다/ 산을 넘어서)


(2) past : ~을 지나쳐서

past는 어떤 대상을 지나쳐 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① I drove my car past the building.

    (나는 차를 운전했다/ 건물을 지나쳐서)


-1. I drove my car beyond the building. (?)

위와 같이 쓰면, 차가 하늘로 날아오르는 것이 됩니다.


(1),(2)번에서 beyond, past는 물리적인 공간을 지나거나 넘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2. 특정한 시기, 범위와 함께 쓰일 때


Past, beyond는 '특정한 시간을 지나거나 넘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1) She is beyond middle age.

  = She is past middle age.

     (그녀는 중년이 지났다)


(2) He suffered a pain past bearing.

  = He suffered a pain beyond bearing.

     (그는 고통을 당했다/ 참을 수 없는)


특정한 시기나 범위와 함께 쓰일 때 beyond, past는 의미가 같습니다.

 


3. 숫자 시간과 함께 쓰일 때


숫자로 된 시간 앞에서는 past를 씁니다.


(1) It's already half past 10.

    (벌써 10시 30분이다)


(1-1) It's already beyond half past 10. (x)

 


이상으로 beyond, pas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ross, through 의미차이  (0) 2014.03.01
관사의 위치  (4) 2014.02.28
beside, by, near  (2) 2014.02.26
to, toward, towards 의미 차이  (6) 2014.02.25
형용사들의 순서  (8) 2014.02.24

beside, by, near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beside, by, near를 보겠습니다.



beside, by, near는 모두, 어떤 대상이 다른 것과 가까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뉘앙스가 다릅니다.


먼저 간단한 그림을 보겠습니다.


위 그림에서 각 대상들은 서로 ‘가까이 있지만’ 위치관계가 약간씩 다릅니다. 예를 들어 ⒶⒷ는 붙어 있고, Ⓐ와 Ⓓ는 떨어져 있습니다.


 

1. by, beside


by, beside는 주로 두 대상이 ‘붙어 있을 정도로 가까이’있음을 의미합니다.

(1) Ⓐ sits by Ⓑ.

  = Ⓐ sits beside Ⓑ.

     (Ⓐ가 Ⓑ곁에 앉아 있다)


by, beside는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그렇지만 ‘물리적인 인접성’을 강조하고 싶다면 beside를 쓸 수도 있습니다.

(2) She sat beside me all night. (물리적인 가까움을 강조)

    (해석: 그녀는 밤새 내 곁에 있었다)

    (속뜻: 바로 내 곁에서)

 

약간 ‘느슨하게 가까이’라는 의미라면 by를 쓸 수도 있습니다.

(3) The printer is by the window.

    (해석: 프린터가 창 옆에 있다)

    (속뜻: 창문과 가까운 곳에)


약간의 의미차이는 있지만, 위 예문들에서 beside와 by는 호환 가능합니다.



2. near


near는 두 대상이 인접하지 않고 가까이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 by, beside 보다는 더 먼 거리를 나타냅니다.

(1) Ⓐ sits near Ⓒ.

    (Ⓐ는 Ⓒ의 근처에 있다)


다음 예문을 비교해 봅시다.

(2) My house is near the river.

    (해석: 내 집은 강에서 가깝다)

    (속뜻: 내 집은 강에서 몇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다)


(3) My house is by the river.

    (해석: 내 집은 강 옆에 있다)

    (속뜻: 내 집에서 강이 보인다)

 


그럼 이상으로 by, beside, nea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사의 위치  (4) 2014.02.28
beyond, past 의미차이  (1) 2014.02.27
to, toward, towards 의미 차이  (6) 2014.02.25
형용사들의 순서  (8) 2014.02.24
부정관사의 의미  (5) 2014.02.22
to, towards 의미 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전치사 to, toward(s)를 공부하겠습니다.

 

전치사 to, towards는 방향을 나타내며, 의미가 비슷해서 혼동됩니다.

두 단어의 의미를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의미 정리

2. 방향을 타낼 때

3. 대상에 대한 태도를 나타낼 때

4. 연습문제 다운로드


시작하겠습니다!

1. 의미 정리

먼저 두 단어의 의미를 간단하게 정리해 봅시다. 

  • to : (목적지를 향해서) ~로, ~쪽으로
  • toward(s) : (방향을 향해서) ~쪽으로

    (toward는 미국에서, towards는 주로 영국에서 쓰이며 의미차이는 없습니다)

 

예문을 보면서 자세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2. 방향을 타낼 때 

To는 도달하려고 하는 ‘명확한 목적지’ 앞에 사용합니다. 이에 대하여 towards는 ‘대략적인 방향만을 나타냅니다.

 

예문을 봅시다.

 

 

(1) I walked to the church (and arrived there).

     (해석: 나는 교회로 걸어갔다)

     (속뜻: 교회에 가기 위하여 걸어갔다)

 

(2) I walked towards the store to find my friend's house.

     (해석: 나는 교회 쪽으로 걸어갔다/ 친구 집을 찾기 위하여)

     (속뜻: 교회 쪽으로 가면 친구 집이 있다)

 

(1)번에서는 목적지가 교회이기 때문에 to를 썼습니다. 그렇지만 (2)번에서 교회는 목적지가 아니라, 친구 집이 있는 방향만을 알려 줍니다. 그러므로 towards를 썼습니다.

 

 

예문을 조금 더 봅시다.

 

(3) He wrote a love letter to her.

     (그는 연애 편지를 썼다/ 그녀에게)

     (특정한 대상이 있으므로 to)

 

(4) She had her back to me.

     (그녀는 등을 돌리고 있었다/ 나에게)

(4-1) She had her back towards me.

        (그녀는 등을 돌리고 있었다/ 내 쪽으로)

대상의 명확성을 고려할 때 웬지 (4-1)번의 그녀가 더 화난 것 같습니다.

 

명확한 대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to는 devote, commit 등의 단어들과 잘 어울립니다.

 

(5) He devoted his life TO helping poor people. (towards는 안 됨)

   = He is committed TO helping poor people.

     (그는 헌신했다/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데)

 

‘헌신한다’는 것은 ‘명확한 목표’를 정해서 하는 행동입니다. 그러므로 to가 어울립니다. 막연한 towards는 devote 등과 쓸 수 없습니다.

 


 

3. 대상에 대한 태도를 나타낼 때 

To, towards는 추상적인 대상 앞에서는 별 의미차이 없이 사용됩니다.

(life, death, love, peace 등)

 

(1) His attitude towards life is different from mine.

(2) His attitude to life is different from mine.

     (그의 삶에 대한 태도는 다르다/ 나와는)

 

(1), (2)번은 큰 의미차이가 없습니다. 단지, 추상 명사 앞에서 ‘~대하여’를 뜻할 때는, to보다 towards를 더 많이 씁니다.


 

4. 연습문제 다운로드

위에서 공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문제 pdf 파일입니다. 다운로드해서 풀어 보세요. 

to toward 연습문제.pdf
0.27MB
to toward 연습문제 - 정답.pdf
0.27MB

 

그럼 이상으로 to, towards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제가 쓴 전치사 책입니다. 전치사를 외우지 않고 이해하면서 학습하는 책입니다. 다양한 전치사를 외우느라 지친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yond, past 의미차이  (1) 2014.02.27
beside, by, near  (2) 2014.02.26
형용사들의 순서  (8) 2014.02.24
부정관사의 의미  (5) 2014.02.22
부사들의 순서  (2) 2014.02.21

[6] 형용사들의 순서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형용사들의 순서를 공부하겠습니다.



1. 형용사들의 순서 원칙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하는 가장 일반적인 어순은 다음과 같습니다.


관사(한정사) + 형용사 + 명사


그런데 관사와 명사 사이에, 다음과 같이, 형용사들이 여러 개 올 수도 있습니다.


ex) the first two black Korean sports cars

 

이 경우 형용사들의 순서를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여타 문법책에서 하는 것처럼 형용사의 종류를 나누어서 배열하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이 경우에는, 가상의 상황을 만들어 억지로 규칙에 꿰어 맞추는 것보다 상식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됩니다. 그래서 간단하고 상식적인 규칙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중요한 형용사일수록 명사 가까이 놓는다



2. 활용


직접 단어들을 나열해 봅시다.


위 예문에서 가장 중요한 말은 명사인 sports car입니다. 이 차는 검은 스포츠 카 일까요, 한국 스포츠 카 일까요? 국적을 나타내는 Korean black보다는 중요한 형용사입니다. 그러므로 Korean black보다 명사에 가까이 위치합니다. 그리고 관사는 가장 약한 형용사이므로 언제나 맨 앞으로 갑니다.


the black Korean sports car

 

수사는 관사보다는 강하지만 일반 형용사보다는 약한 말입니다. 그런데 기수와 서수가 함께 올 때는 항상 서수를 먼저 써줍니다. 그럼 다음과 같은 표현이 나오게 됩니다.


the first two black Korean sports car.


위 표현에서 특별히 검은색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으면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다음과 같이 써도 됩니다.

the first two Korean black sports car.


형용사들이 여러 개 연속해서 올 경우에는, 중요한 형용사일수록 명사 가까이 써주면 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형용사들의 순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side, by, near  (2) 2014.02.26
to, toward, towards 의미 차이  (6) 2014.02.25
부정관사의 의미  (5) 2014.02.22
부사들의 순서  (2) 2014.02.21
전치수식, 후치수식  (11) 2014.02.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