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정관사의 의미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부정관사의 의미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부정관사는 특별하게 정해지지 않은 것 중의 하나를 뜻합니다.



(1) 아무거나 하나 (막연하게 하나)


I need a pen.

  = I need ONE pen.

   (펜이 하나 필요해)


번에서는 아무 펜이나 상관없습니다. 이 경우 부정관사 ‘a’‘one(하나)’의 약한 의미를 가집니다. 예문에서 보듯이, ‘a’‘one’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I feel lonely. I need a lover.

-1. I feel lonely. I need ONE lover.

  (나 외로워. 나는 연인이 필요해)


번 역시 아무 연인이나 하나를 뜻합니다. 주의할 것은 ②-1번과 같이 말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이 경우에 one을 쓰면 뜻이 너무 강해집니다. 웬지 연인을 수단으로 생각하는 부정적 뉘앙스마저 줍니다.


위에서 보았듯이, ‘아무거나 하나는 부정관사 ‘a(n)’의 고유한 용법입니다.



(2) ~중의 하나 (집단 중에 하나)


‘a(n) + 단수명사는 어떤 집단 중의 하나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역시 ‘a(n)’정해지지 않은 하나입니다.


 My wife is a teacher in college.

-1. My wife is ONE teacher in college. (?)

-2. My wife is one of the teachers in college.  (o)

   (내 아내는 대학교 선생님이다)


번에서 ‘a teacher’는 특별한 선생님이 아닙니다. 그저 선생님이라는 집단 중에서 한 명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①-1에서 보듯이, 부정관사가 집단전체 중 한 명을 나타낼 경우에는 one으로 바꾸면 의미가 어색해 집니다①-2와 같이 ‘ one of the teachers’로 바꾸어야 의미가 통합니다.


(1)아무거나 하나일 때와 비교해 보면 (2)번의 의미가 더 잘 이해 됩니다.


‘~중의 하나를 뜻하는 ‘a + 단수명사예문들입니다.

 My son is an elementary student.

   (내 아들은 초등학생이다)

 He is a painter.

   (그는 화가이다)


예문에서 보듯이 ‘~중의 하나를 나타내는 ‘a + 단수명사는 대상의 정체성을 밝힐 때 자주 쓰입니다.



(3) 전부 다  - .(집단 전체, 종족 대표)


 A teacher is not always better than a student.

   (선생님이 항상 나은 것은 아니다/ 학생보다)


번에서 ‘a teacher’는 선생님 집단 전체를 나타냅니다. 이와 같은 ‘a + 단수명사, 집단 전체를 나타낸다는 의미로 종족 대표라고 합니다.


그런데 ‘a + 단수명사종족 대표로 쓸 경우 다음과 같은 경우 문제가 발생합니다.


 A teacher (is /are) respected people.

   (선생님은 존경 받는 사람들이다)


번에서 ‘A teacher’는 문맥상 선생님 한 사람이 아니라 선생님 전체입니다. 이러한 경우 단수로 취급할까요, 복수로 취급할까요?


이렇게 애매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영어에서는 집단 전체를 나타낼 때 부정관사 + 단수명사를 잘 쓰지 않습니다. 대신에 보통명사의 복수형을 씁니다.

ex) Teachers are respected people.



그럼 이상으로 부정관사의 의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 toward, towards 의미 차이  (6) 2014.02.25
형용사들의 순서  (8) 2014.02.24
부사들의 순서  (2) 2014.02.21
전치수식, 후치수식  (11) 2014.02.19
부정대명사 none  (8) 2014.02.18

부사들의 순서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부사들의 순서를 공부하겠습니다.


난이도

★★★☆☆


부사()들은 종종 연속해서 사용됩니다. 이 경우, 부사들의 순서는 의미상 중요도와 문법에 의해 결정됩니다.

 

1. 의미상 중요도


의미가 더 중요할수록 수식 받는 동사 가까이 둡니다.


(1) We had a party at the club in the town.

   (우리들은 파티를 했다/ 클럽에서/ 시내에 있는)


이 문장에는 두 개의 부사구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더 중요한 정보는 클럽에서입니다. 좀 더 자세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at the club’‘in the town’보다 앞에 왔습니다. 수식을 받는 동사 ‘had’에 더 가까이 둔 것입니다.


예문을 더 봅시다.

(2) We had a date on Monday this week.

   (우리는 데이트했다/ 월요일에/ 이번 주)


(2)번에서도 구체적인 정보를 담고 있는 ‘on Monday’가 더 중요한 정보입니다. 그러므로 덜 구체적인 ‘this week’ 앞에 써 주었습니다.


부사()가 연속해서 올 때는 의미상 더 중요한 정보를 앞에 써 줍니다.



2. 시간적 공간적 크기


시간적 공간적으로 작은 부사를 큰 부사 앞에 써 줍니다. 이 부분은 1번에서 설명한 의미상 중요도와 일맥 상통합니다. 보통은 작은 부사들이 더 구체적이기 때문에 정보적 중요성이 더 큽니다.


(1) 장소, 방향 부사들의 연속

장소부사()들이 연속될 때는 좁은 장소넓은 장소앞에 옵니다.


We had a party at the club in the town.

이 부분은 전치사의 의미와 일맥 상통합니다. 전치사 at은 좁은 장소에, in은 넓은 장소에 쓰입니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at 부사구‘in 부사구앞에 옵니다.


방향을 나타내는 부사들이 연속될 경우에도 작은 것을 먼저 써 줍니다.

② We walked the first step toward our goal.

   (우리는 걸어갔다/ 첫 걸음을/ 우리의 목표를 향해서)

‘the  first step’‘toward our goal’보다 훨씬 더 작고 구체적이므로 앞에 썼습니다.

 

(2) 시간 부사들의 연속

시간부사들도 작은 시간대큰 시간대앞에 써 줍니다.


① We had a date on Monday this week.

‘on Monday’‘this week’보다 작은 시간대이므로 더 앞에 써 주었습니다.

 

②  I was born at January 27 in 1990.

   (나는 1 27일에 태어났다/ 1990년에)

마찬가지로 더 작은 시간대인 ‘at January 27’을 보다 큰 시간대인 ‘in 1990’ 앞에 써 주었습니다.

 

시간 부사구와 부사절이 연속해서 올 수도 있습니다. 부사구와 부사절이 연속될 경우에는 더 길고 무거운부사절을 뒤에 써 줍니다.

 

③ We went through in the eighties when the world was turbulent.

   (우리들은 80년대를 살았다/ 세계가 심하게 요동칠 때인)


그럼 이상으로 부사들의 순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용사들의 순서  (8) 2014.02.24
부정관사의 의미  (5) 2014.02.22
전치수식, 후치수식  (11) 2014.02.19
부정대명사 none  (8) 2014.02.18
that of, those of  (10) 2014.02.17

전치수식과 후치수식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전치수식과 후치수식을 공부하겠습니다.


난이도

★★☆☆☆



1. 일반적인 형용사의 후치수식


형용사는 일반적으로 수식하는 명사 앞에 옵니다. 그렇지만 어떤 경우에는 수식하는 명사 뒤에 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형용사의 후치수식이라고 합니다.


(1) an invisible man  (지속적)

(2) a man invisible  (일시적)

    (= an hand which is invisible)

(2)번은 주격관계대명사 + be동사가 생략된 형태입니다.)


(1)번과 같이 명사 앞에 오는 형용사는 지속적인 상태나 성질을 나타냅니다. (1)번은 평소에도 안 보이는 사람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2)번은 일시적인 상태를 나타냅니다. 평소에는 보였는데, 무슨 이유에선지 지금은 안 보인다라는 의미입니다.

 


2. 후치수식해야 하는 경우


다음 상황에서는 반드시 형용사를 명사 뒤에 써야 합니다.


(1) ‘-thing, -body’, ‘-one’, ‘-where’ + 형용사]

   something nice, anywhere near

 

(2) 공식화된 표현

 Attorney General (법무 장관)      heir apparent (법정 상속인)

 God Almighty! (하느님 맙소사!)  Poet Laureate (계관시인)

 President elect (대통령 당선자)    Secretary General (사무총장)

 

(3) 수량형용사

ten years old (1o)                  twenty meters high (20미터 높이)

ten feet wide (10피트 넓이)         twenty feet long (10미터 길이)

 

(4) 수식어구()이 명사를 수식할 때

수식어구가 명사를 수식할 때는, 그 명사 뒤에 위치 시킵니다.

1 He has friends to rely on.

1-1 He has to rely on friends.

 

수식어구를 명사 앞에 쓰면 1-1번과 같이 무슨 말인지 알 수 없게 되어 버립니다. 그러므로 수식어구나 절은 명사 뒤에 놓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형용사 후치수식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정관사의 의미  (5) 2014.02.22
부사들의 순서  (2) 2014.02.21
부정대명사 none  (8) 2014.02.18
that of, those of  (10) 2014.02.17
another 용법정리  (3) 2014.02.16

 부정대명사 none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부정대명사 none을 공부하겠습니다.




None은 대명사이기 때문에 단독으로 쓰일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none (부정대명사) : 아무도 ~않다, 어떤 것도 ~않다


 

1. 단독으로 쓰이는 none


no는 형용사이므로 주로 명사 앞에서 사용되며, 단독으로 쓰일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none은 대명사이므로 혼자서 쓰일 수 있습니다.


(1) Half a loaf is better than none.

    (반 덩어리가 더 낫다/ 아무것도 없는 것보다)

(2) There were none present except you.

    (아무도 안 왔다/ 너를 제외하고는)


(1),(2)번에서 none는 특정한 대상을 지칭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경우에는 no를 쓸 수 없습니다. 이렇게 단독으로 쓰이는 none은 ‘no one, nobody’보다 격식을 갖춘 말입니다.

 

의미가 분명한 경우에도 none을 단독으로 쓸 수 있습니다.

(3) How many books have you read?

    None.

    (책을 얼마나 많이 읽었지?)

    (한권도 안 읽었어)

 


2. 명사와 함께 쓰이는 none


none은 대명사이기 때문에 명사 바로 앞에 올 수 없습니다. none을 명사와 함께 쓰려면 반드시 'none of 한정사 명사‘의 형태를 취해야 합니다. 'none of' 다음에는 복수명사와 단수명사가 올 수 있습니다.

 

(1) none of 한정사 복수명사

특정한 그룹에서 그 각각의 개별 구성원()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말할 때는 'none of 한정사 복수명사‘를 사용합니다. 이 때 'none of 한정사 복수명사’는 복수 취급합니다.


① 1 None of the answers are correct.

    (이 답들 중에 어느 것도 맞지 않다)

② None of these medications worked.

    (이 약들 중에서 어느 것도 효과가 없었다)

 

(2) none of 한정사 단수명사

'none of‘ 다음에 셀 수 없는 명사의 단수형이 올 수도 있습니다. 당연히 단수 취급합니다.


① None of this water is drinkable.

    (이 물들은 전혀 마실 수 없다)

② None of the furniture is clean.

    (어떤 가구도 깨끗하지 않다)

 


3. none neither


none은 주로 셋 이상, neither은 둘에 사용됩니다.


(1) None of my friends came.

    (내 친구 중에서 누구도 오지 않았다)

(2) Neither of my friends came.

    (내 친구 둘 다 안 왔다)

 

(1),(2)는 모두 부정을 나타내지만 의미가 다릅니다. (1)번에서는 친구가 셋 이상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지만 (2)번은 친구가 두 명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2)번에서 neither대신에 none을 쓰면 안 됩니다. ‘둘’을 부정할 때는 neither를 써야합니다.

 


그럼 이상으로 대명사 none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사들의 순서  (2) 2014.02.21
전치수식, 후치수식  (11) 2014.02.19
that of, those of  (10) 2014.02.17
another 용법정리  (3) 2014.02.16
within, in, after 미래표현  (2) 2014.02.12

that of ~, those of ~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that of ~, those of'구문을 공부하겠습니다.



‘that of ~’, ‘those of ~’은 앞에 나온 명사를 대신하는 대명사 구문입니다. 자주 쓰이는 중요한 구문이니 철저하게 익혀 두시길 바랍니다.


난이도

★★★☆☆



1. that of ~, those of ~


앞에 나온 명사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사용하는데, 단수일 경우에는 ‘that, 복수일 경우에는 ‘those’를 씁니다.

(1) The cost of living in Seoul is higher than that of Shanghai.

   (서울의 생활비는 더 높다/ 상하이의 그것 보다)

(2) Korean car sales surpassed those of U.S.

   (한국 차 판매는 앞질렀다/ 미국의 것들을)

 

(1)번에서 that‘the cost of living’을 대신합니다. ‘the cost’가 단수이므로 단수 대명사 ‘that’을 썼습니다.

(2)번에서 those‘Korean car sales’를 대신합니다. ‘sales’가 복수 형태이므로 복수 대명사 those를 썼습니다.

 


2. 주의할 점


이 용법에 쓰이는 those(that)에서는 두 가지가 중요합니다.


(1) 반드시 that of, those of를 쓴다..


 당연한 말 같지만 의외로 잘 틀리는 부분입니다. 예문을 봅시다.

① The cost of living in Seoul is higher than Shanghai.  (x)

     (서울의 생활비는 더 높다/ 상하이 보다)


은 언뜻 보면 틀린 곳이 없어 보입니다. 그런데 잘 살펴보면 비교하는 대상이 잘못되었습니다. ‘서울의 생활비를’ ‘상하이에 비교하고 있습니다. ‘서울의 생활비상하이의 생활비에 비교되어야 합니다. 비교하는 대상은 반드시 같아야 합니다.

 

비교하는 대상을 같게 하면 다음과 같은 문장이 나옵니다.

1-1. The cost of living in Seoul is higher than the cost of Shanghai.

여기서 반복되는 ‘the cost’를 대명사 ‘that’으로 바꾼 것입니다.

 

(2) 선행사가 복수이면 those를 쓴다.


예문을 봅시다.

 Elephants’ ears are larger than that of humans.  (x)

-1. Elephants’ ears are larger than those of humans.  (o)


번에서 비교되는 대상은 귀들(ears)’입니다. 복수형을 대신함으로 those가 와야 합니다. 복수에 맞게 고치면 ①-1번과 같이 됩니다. 선행사가 복수이면 반드시 복수 대명사 those를 써야 합니다 .

 

이상으로 that of, those of 구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치수식, 후치수식  (11) 2014.02.19
부정대명사 none  (8) 2014.02.18
another 용법정리  (3) 2014.02.16
within, in, after 미래표현  (2) 2014.02.12
since, after 의미차이  (8) 2014.02.10

another의 용법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대명사로 사용된 another를 살펴 보겠습니다.



1. another (또 다른 것)


이 것 말고 다른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another는 단수입니다.


(1) I don’t like this one; show me another.

   (이것은 마음에 안 들어; 다른 것 보여줘)


단수가 아닌 복수의 ‘다른 것들’일 경우에는 ‘others’를 씁니다.

(1-1) I don’t like this one; show me others.

      (이것은 마음에 안 들어; 다른 것들 보여줘)


another, others는 모두 ‘다른 것’을 나타냅니다. Another는 단수, others는 복수라는 것만 다릅니다.



2. one, another, the other 

(하나는, 또 하는, 나머지 하나는)


세 개의 대상을 설명할 때는 ‘one, another, the other’를 사용합니다.


(1) I have three favorite books. One is Don Quixote. Another is Sherlock Holmes.

The other is Harry Porter.

(내가 아주 좋아하는 책이 세 권 있다. 하나는 돈키호테이다. 또 하나는 셜록 홈즈이고, 나머지 하나는 해리 포터이다)


(1)번에서 the other는 세 번째를 나타내는 ‘the third’로 바꾸어 쓸 수도 있습니다.



3. A is one thing, B is another

(A와 B는 별개의 것이다)


A, B 두 대상이 서로 다름을 나타낼 때는 ‘A is one thing, B is another’ 구문을 사용합니다.

ex) To know is one thing, but to practice it is another.

     (아는 것과 실행하는 것은 별개의 것이다)



그럼 이상으로 대명사 anothe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정대명사 none  (8) 2014.02.18
that of, those of  (10) 2014.02.17
within, in, after 미래표현  (2) 2014.02.12
since, after 의미차이  (8) 2014.02.10
after, later 의미차이  (0) 2014.02.09

within, in, after 미래표현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미래 시간을 나타내는 within, in, after를 보겠습니다.



난이도 

★★★★☆



within, in, after



※ 다음 예문들을 봅시다.

1. I'll finish this work within three days.

2. I'll finish this work in three days.

3. I'll finish this work after three days. (?)


이 세 문장의 의미를 정확히 구별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일단 위 예문들을 뉘앙스에 맞게 우리말로 옮겨 보겠습니다.


1. I'll finish this work within three days.

 → 나는 이 일을 3일 내에 끝내겠다.

이 문장에서 within은 어렵지 않습니다. ‘3일 내로 끝내겠다’고 했을 때는, 3일만 넘기지 않으면 됩니다. 하루 만에 끝낼 수도 있고, 이틀 만에 끝낼 수도 있습니다.


2. I'll finish this work in three days.

→ 나는 이 일을 3일 후에 끝내겠다.

이 문장이 어렵습니다. ‘in'은 우리말로 ’~안에‘가 됩니다. 그러므로 위 문장도 ’나는 이 일을 3일 안에 끝내겠다‘가 될 것 같습니다. 즉, 1번 within과 의미가 같아 보입니다. 그렇지만 in은 ’3일 후‘를 의미합니다. 일을 끝내는 데는 최소한 3일이 걸립니다. within처럼 3일이 덜 지나도 일을 끝낼 수는 없습니다.


3. I'll finish this work after three days. (?)

   (나는 이 일을 3일 후에 끝낼 것이다)

이 문장은 2번과 의미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그러나 문법적으로 잘못된 문장입니다. after 단독으로는 현재를 기준으로한 미래에 쓰일 수 없습니다. after는 반드시 기준점과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3번을 문법에 맞게 고쳐 보겠습니다.

 

3-1. I'll finish this work after tree days from now. (o)

(나는 이 일을 끝내겠다/ 지금부터 3일 후에)

기준점 'from now'를 넣으면 옳은 문장이 됩니다. 그런데 3-1의 밑줄 친 부분은 'in three days'와 의미가 같습니다. 다시 말하면, 미래를 표현하는 in은 ‘지금부터 ~후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위에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within, in, after 미래 표현


1. within : ~ 내에 (그 기간 안에도 할 수 있다)

2. in : ~ 후에 (최소한 그 기간은 지나야 한다)

3. after : 단독으로는 in과 같은 의미를 가질 수 없다. 반드시 기준점과 함께 사용된다.


각 단어별로 예문을 하나씩 더 보겠습니다.

1. within

ex) You will receive a reply within a week.

     (당신은 답장을 받을 것입니다/ 일주일 내에)


2. in

ex) We'll start in a week.

     (우리는 일주일 후에 출발할 거야)

     (말하는 때를 기준으로 일 주일 후에)


3. after

ex) We'll go there after a week from now.

     (우리는 거기에 갈거야/ 지금부터 1주일 후에)



주의

3번은 틀린 문장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같은 뜻을 가진 2번보다 길고 쓸데없이 복잡합니다. 같은 의미를 지닌 말을 이유 없이 길게 늘어놓을 필요는 없습니다. 같은 의미라면, 3번보다 는 2번을 쓰는 것이 더 좋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within, in, afte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at of, those of  (10) 2014.02.17
another 용법정리  (3) 2014.02.16
since, after 의미차이  (8) 2014.02.10
after, later 의미차이  (0) 2014.02.09
when, whenever 의미 차이  (3) 2014.02.06

since, after 의미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after, since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



since, after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별 생각없이 썼던 단어들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after와 since도 그렇습니다. 두 단어 모두 ‘과거 이후’를 표현하지만 뉘앙스가 다릅니다. 비영어권 학습자인 우리들은 이해한 다음 외울 수밖에 없습니다. 약소국(?)에 태어난 설움인가요?


시간을 나타내는 after와 since를 공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예문을 통해서 익히는 것입니다. 다음 문장들을 보면서 두 단어의 차이를 알아봅시다.


과거 이후를 표현하는 since, after

(1) Since his birth, the prince has attracted media attention. (o)

    (그가 태어난 이후로, 그는 언론의 주의를 끌었다)

(2) After his birth, the prince attracted media attention. (o)

    (그가 태어난 후, 왕자는 언론의 주의를 끌었다)


(1),(2)번은 둘 다 맞는 문장입니다. 두 문장을 잘 보면 주절의 시제가 다릅니다. since가 사용된 (1)번에서는 주절에 현재완료를 썼습니다. 그런데 after가 사용된 (2)번에서는 단순과거시제를 썼습니다.


since는 어떤 동작이나 상태가 ‘과거에서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다시 말하면 since는 ‘과거에서 현재까지 계속’을 나타냅니다. 이에 대하여 after는 단지 ‘어떤 사건이 과거의 특정한 시점 이후에 발생했음’만을 나타냅니다. 즉, after가 나타내는 과거는 현재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현재완료와 과거시제의 의미를 잠깐 봅시다. 현재완료는 과거에서부터 지금까지 어떤 동작이나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것을 말합니다. 과거시제는 현재와 관련이 없는 과거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since는 과거에서 현재까지 계속을 나타내는 현재완료와 함께 사용됩니다. 그리고 단순히 after는 현재와 관련이 없으므로 과거시제와 함께 사용합니다.




간단하게 과거 이후를 표현하는 since와 after를 정리해 봅시다.



과거 이후를 표현하는 since, after


since : ~ 이후로 (과거의 어떤 사건이후로 현재까지 계속)

            (현재완료와 함께 쓴다)

after : ~ 후에 (단순하게 과거의 어떤 사건 이후)

           (단순 과거시제와 함께 쓴다)




문제를 풀어 보면서 확실하게 익혀 봅시다.


문제풀이


※ 다음에서 잘못된 부분을 바르게 고치시오.

(1) After 1980, Chin's GDP has increased rapidly.

    (1980년 이후로, 중국의 GDP는 빠르게 증가해왔다)

(2) Since we got married, you changed so much.

    (우리가 결혼한 이후로, 당신은 많이 변했다)

 

정답

(1)번 : After → Since, 또는 'has increased → increased

(2)번 : Since → After, 또는 changed → has changed

 

(1)번 해설

① after를 since로 바꾼다.

(1)번에서 after는 현재완료와 함께 쓸 수 없으므로 since로 바꾸어야 합니다.

② 'has increased → increased

또는 after는 과거와 사용되므로 현재완료인 'has increased'를 과거인 'increased‘로 고치면 됩니다.


(2)번 해설

① Since → After

(2)번에서, 주절의 과거시제(changed)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은 after입니다. 그러므로 Since를 After로 바꾸어야 합니다.

② changed → has changed

또는 (2)번에서 since는 현재완료와 함께 사용되므로, 주절의 changed를 ‘have changed'로 고쳐야 합니다.




그럼 이상으로 since, afte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other 용법정리  (3) 2014.02.16
within, in, after 미래표현  (2) 2014.02.12
after, later 의미차이  (0) 2014.02.09
when, whenever 의미 차이  (3) 2014.02.06
명사절 주어  (8) 2014.02.05

after, later 의미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after, later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

 

1. after : 부사


※ 다음 우리말을 영어로 옮겨 봅시다.

    “나중에 보자.”

(1) See you later. (o)

(2) See you after. (x)


영어를 공부하는 한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을 표현들입니다. 그런데 왜 (2)번은 잘못 되었을까요?


어쩔 수 없이 약간의 문법적 설명이 필요합니다.


(2)번에서 after는 문맥상, 동사 see를 수식하는 부사역할을 합니다. 의미는 ‘나중에’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after는 현대 영어에서, 독립적인 부사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2. after 부사구


after는 다음과 같은 표현들에서만 부사로 사용됩니다.

 

① not long after : 오래지 않아, 곧

    ex) The police came not long after

         (경찰이 왔다/ 곧)

② shortly after : 직후에

    ex) Shortly after he left, she came into the room.

         (그가 떠난 직후에, 그녀가 방에 들어 왔다)

③ soon after : 곧

    ex) She died, and soon after he died too.

         (그녀가 죽고, 곧 그도 죽었다)

 


3. afterwards : 나중에


특히 미국 영어에서 'afterwards'는 ‘나중에’라는 부사로 쓰입니다.


(1) Afterwards he apologized for what he said.

    (나중에 그는 사과했다/ 그가 말한 것에 대해)


(2) Let's study now and eat out afterwards.

    (지금은 공부하고 외출은 나중에 하자)

 


4. 영작


지금까지 공부했던 것을 영작을 통해 정리해 봅시다.

 

※ 다음 우리말을 영어로 옮기시오.

(1) 나는 그를 일주일 후에 만났다.

① I met him a week later. (o)

② I met him a week afterwards. (o)

③ I met him a week after. (x)

 

(2) 그는 3주 후에 집으로 돌아왔다.

① He returned home three weeks later. (o)

② He returned home three weeks afterwards. (o)

③ He returned home three weeks after. (x)

 

그럼 이상으로 after, late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thin, in, after 미래표현  (2) 2014.02.12
since, after 의미차이  (8) 2014.02.10
when, whenever 의미 차이  (3) 2014.02.06
명사절 주어  (8) 2014.02.05
if, when 차이  (2) 2014.02.04

when, whenever 의미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when, whenever를 공부 하겠습니다.



when, whenever


when, whenever는 둘 다 시간을 나타내기 때문에 종종 혼동을 일으킵니다. 우선 간단하게 when, whenever의 의미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 when

    한 번, 확실한 때

■ whenever

    여러 번, 불확실한 때


when과 whenever를 구별하는 기준은 ‘반복성, 확실성’ 여부입니다.


when은 ‘한 번’ 발생한 사건을 말합니다. 그리고 when은 시간이 정해진 ‘확실 한 때’를 나타냅니다.


whenever는 ‘여러 번’ 반복되는 사건을 말합니다. 그리고 when과는 달리, 정해지지 않은 ‘불확실한 때’를 나타냅니다.



1. 한 번을 나타낼 때


한 번을 나타낼 때는 whenever를 쓸 수 없습니다.


(1) When the actor died, every girl cried. (o)

    (그 배우가 죽었을 때, 모든 여자가 울었다)

(2) Whenever he was died, everybody cried. (x)

    (그 배우가 죽었을 때 마다, 모든 여자가 울었다?)


die라는 것은 한 번 밖에 할 수 없는 행위입니다. 그러므로 (2)번과 같이 die와 whenever를 함께 쓰면 이상한 문장이 되어 버립니다. 한 번을 나타내는 경우 whenever는 when을 대신할 수 없습니다.



2. 확실한 때


확실한 때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whenever를 쓸 수 없습니다.


(1) When you left yesterday, it was raining. (o)

    (너가 어제 떠났을 때, 비가 내리고 있었다)

(2) Whenever you left yesterday, it was raining. (o)

    (너가 어제 떠날 때마다, 비가 내리고 있었다?)


yesterday는 ‘확실한 때’입니다. whenever는 ‘불확실한 때’를 나타내기 때문에 '확실한 때‘를 나타내는 표현들과 함께 쓸 수 없습니다. (2)번을 보면 아예 말이 되지 않습니다.

 


3. 여러 번


Whenever는 여러 번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상황에 사용됩니다.


(1) Whenever he visits us, he brings wine. (=every time)

    (그가 우리를 방문할 때마다, 그는 와인을 가져온다)


이 때 whenever는 every time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반복을 나타내는 whenever 대신에 when을 써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1-1) When he visits us, he brings wine. (o)

      (그가 우리를 방문할 때, 그는 와인을 가져 온다)

 


4. 확실하지 않은 때


Whenever는 확실하지 않은 때를 나타냅니다. 이 경우에도 whenever 대신에 when을 쓸 수 있습니다.


(1) You can call me whenever you need help.

    (연락해라/ 도움이 필요할 때마다)

(2) You can call me when you need help.

    (연락해라/ 도움이 필요할 때)


(1)번은 불확실한 때를 나타냅니다. 언제 도움이 필요할지 알 수 없지요.. (1)번은 ‘도움이 필요하면 언제나’라는 의미입니다.


(2)번과 같이 when을 쓸 수도 있습니다. when은 ‘확실하게 정해 진 때’를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2)번은 ‘조만간 도움이 필요할 것이 확실시 된다’는 의미도 있겠군요.



지금까지 보셨듯이, whenever는 when으로 대신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when 대신에 whenever를 쓸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을 한 마디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헷갈리면 when을 써라."

 

그럼 이상으로 when, wheneve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nce, after 의미차이  (8) 2014.02.10
after, later 의미차이  (0) 2014.02.09
명사절 주어  (8) 2014.02.05
if, when 차이  (2) 2014.02.04
시간접속사 when  (2) 2014.02.02

명사절 주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명사절 주어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명사절 주어 해석.hwp


5. 명사절 주어


   명사절 주어를 이끄는 표현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That절 주어

(2) wh-절 주어

(3) whether절 주어


여기에서도 다음 원칙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원칙1

주어 → 명사

(주어이면 명사이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원칙도 확실히 기억해야 합니다. 이 규칙은 너무 당연해서인지 일반적인 문법교재에서는 잘 언급되지도 않습니다..


원칙2  

한 문장에는 주어와 동사가 하나씩만 있어야 한다. 주어와 동사를 두 개씩 쓰려면 반드시 접속사가 있어야 한다.


※ 다음 보기들을 봅시다.

(1) The world needs is not more knowledge but more heart.  (x)

(2) All men are equal is a proposition which, at ordinary times, no sane individual has ever given his assent.  (x)


언뜻 보면 의미가 통하는 문장 같지만, 예제(1)-(2)는 명백하게 잘못된 문장입니다. 그렇지만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아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조금 더 살펴보면, 예제1-2)는 ‘한 문장에 주어와 동사는 하나씩만 있어야 한다’는 원칙에 어긋남을 알 수 있습니다.


위 보기들은 다음과 같이 고쳐야 어법에 맞는 문장이 됩니다.


(3) What the world needs(s) is not more knowledge but more heart.  (o)

(4) That All men are equal(s) is a proposition which, at ordinary times, no sane individual has ever given his assent.  (o)


예제(3)에서는 관계대명사 what이 주어절을 이끌고 있는데, 이 때 what은 ‘~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예제(4)에서는 접속사 that이 주어절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 경우에 that은 아무런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어절을 이끄는 접속사의 기능만을 합니다. 예제(3)과 예제(4)에서 주어는 밑줄 친 부분 전체가 됩니다.


주의

주어가 긴 것을 싫어하는 영어의 성격상, 명사절은 어쩔 수 없는 경우가 아니면 주어자리에 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연습문제를 보면서 절이 주어역할을 하는 경우에 대해 공부해 봅시다.

(연습문제에 대한 해석은 첨부 파일로 올려 놓았습니다.)


EXERCISE 1. 명사절 주어.


※ 다음 문장들에서 주어를 찾아 밑줄을 긋고, 우리말로 해석하라.

 

1. What I must do is all that concerns me, not what the people think.

2. Whoever envies another confesses his superiority.

3. What is objectionable, what is dangerous about extremists is not that they are extreme, but that they are intolerant.

4. Whatever happens in accordance with nature should be accounted good.

5. What some call health, if purchased by perpetual anxiety about diet, isn't much better than tedious disease.

6. Whether you win or lose does not matter; whether I win or lose does matter.

7. Whether a man is honest or not can not be known easily. Adversity is the trial.

8. That intelligence has any survival value has yet to be proven.

9. That nothing is certain is only certain.

10. That men do not like to think is a tremendous luck for rulers.

11. Whoever ceases to be a student has never been a student.

12. Whoever gossips to you will gossip about you.

13. Whoever does not love his work cannot hope that it will please others.

14. Whoever desires to found a state and give it laws, must start with assuming that all men are bad and ever ready to display their vicious nature, whenever they may find occasion for it.

15. Whatever is reasonable is true, and whatever is true is reasonable.

16. Whatever is produced in haste goes hastily to waste.

17. Whoever controls the media--the images--controls the culture.

18. Whoever it was who searched the heavens with a telescope and found no God would not have found the human mind if he had searched the brain with a microscope.

19. Whoever said, "It's not whether you win or lose that counts," probably lost!

20. Whoever cultivates the golden mean avoids both the poverty of a hovel and the envy of a palace.



그럼 안녕 ~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fter, later 의미차이  (0) 2014.02.09
when, whenever 의미 차이  (3) 2014.02.06
if, when 차이  (2) 2014.02.04
시간접속사 when  (2) 2014.02.02
종속접속사의 위치  (8) 2014.01.29

if, when 차이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if, when 차이를 공부하겠습니다.



if, when이 미래를 나타낼 경우에는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1. if, when 의미 차이


좋아하는 상대방에게 date 신청을 했을 때, (1),(2)번과 같은 말을 들었습니다. date할 가능성이 높은 것은 어느 것일까요?


(1) When I have a time, I'll date with you.

    (시간 있을 때, 데이트하자)

(2) If I have a time, I'll date with you.

    (시간 있으면, 데이트하자)


별 차이 없는 것 같지만, (1)번이 데이트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 이유를 알아봅시다.



when, if는 아직 발생하지 않은 미래의 사건을 나타냅니다. 그렇지만 확실성에 차이가 있습니다.


when → certainty (확실성)

if → possibility (가능성)


when은 일어날 것이 확실한 미래 사건에 대해서 사용합니다. 이에 대하여 if는 확실하지 않은 미래 사건에 사용합니다.


(3) When I buy a new car, I'll lend it to you.

→ I'm sure that I will buy a new car ~

   (차 샀을 때 빌려줄게)


(4) If I buy a new car, I'll lend it to you.

→ I'm not sure that I will buy a new car ~

    (차 사면 빌려줄게)


위 예문에서 보듯이 미래 사건에 when을 쓰면, 일어날 것으로 학신하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if를 쓰면 ‘50:50’입니다.


이렇게 미래에 대한 확실성을 나타낼 때는 when, 가능성만을 나타낼 때는 if를 사용합니다. 미래를 나타내는 ‘if, when’ 절에서는 현재시세를 써야 합니다.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이기 때문이죠.


시간과 부사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송성태 영어교실/영문법 1분정리] - 부사절 (시간 조건의 부사절)

[송성태 영어교실/영문법 문제풀이] - 시간 조건 부사절

 


2. if 대신에 when


많은 문장에서 if는 when으로 대신할 수 있습니다.


(1) If you come to Seoul, visit us.

→ As soon as you come to Seoul, visit us.

→ When you come to Seoul, visit us.

    (서울 오면, 우리에게 와라)


if 자리에 ‘as soon as'를 넣어보면 when절로 바꿀 수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예문 (1)번에서는, if 대신에 ’as soon as'를 써도 말이 됩니다. 그러므로 when으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as soon as'나 ‘when'이 둘 다 시간을 나타내는 접속사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다음 문장은 어떨까요?


(2) If it is raining tomorrow, I'll stay home.

→ As soon as it is raining tomorrow, I'll stay home. (x)

    (내일 비가 오자마자, 나는 집에 머물러 있을 것이다) (?)


위 'as soon as' 문장은 말이 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if를 when으로 바꾸어 쓸 수 없습니다. 이것은 조건을 나타내는 if 고유의 용법이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3. if, when 상호교환


예측 가능하고 반복적인 사건을 나타낼 때는 if와 when을 서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1) If you sleep outside, you'll catch a cold. (예측 가능한 사건)

→ When you sleep outside, you'll catch a cold.

    (밖에서 자면 감기에 걸린다)


(2) If I come to New York, I visit my friend. (반복적인 사건)

→ When I come to New York, I visit my friend.

    (뉴욕에 가면, 내 친구를 방문한다)

    (뉴욕에 가면 언제나 ~)


(3) If you heat ice, it melts. (예측 가능한 사건)

→ When you heat ice, it melts.

    (얼음을 가열하면 녹는다)

 


그럼 이상으로 if, when 차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en, whenever 의미 차이  (3) 2014.02.06
명사절 주어  (8) 2014.02.05
시간접속사 when  (2) 2014.02.02
종속접속사의 위치  (8) 2014.01.29
종속접속사와 쉼표  (5) 2014.01.28

시간접속사 when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시간 접속사 when을 공부하겠습니다.



★★★★☆



시간접속사 when


이번 시간에는 동시성을 기준으로 시간 접속사 when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상당히 어려운 내용이니 잘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when은 ,if와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부사절 접속사 중의 하나입니다. 부사절을 이끄는 시간 접속사 when은 주로 ‘~할 때’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경우 when절이 포함된 문장은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사건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when절의 사건 + 주절의 사건

 

여기서 when절의 사건은 주절의 사건보다 먼저 발생할 수도 있고 나중에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 두 사건을 발생 순서에 따라 ‘동시성’을 기준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주절보다 먼저 발생

2. 주절과 동시에 발생

3. 주절보다 나중에 발생


각 경우별로 예문을 보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1. 주절보다 먼저 발생

(after의 의미)


(1) When the bell rang, he pick up the phone.

                   사건 A            사건 B

   해석 (벨이 울렸을 때, 그는 전화기를 들어 올렸다)

   속뜻 (벨이 울리고 난 후에, 그는 전화기를 들어 올렸다)


‘속뜻’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위 예문에서 when절의 ‘벨이 울린 사건’은 주절의 ‘그가 전화기를 들어 올리는 사건’보다 먼저 발생했습니다. 여기서 when은 'after'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2. 주절과 동시에 발생

(동시동작을 나타내는 while)


(2) When the bell rang, he was outside.

                  사건 A          사건 B

   해석 (벨이 울렸을 때, 그는 밖에 있었다)

   속뜻 (벨이 울릴 바로 그 때, 그는 밖에 있었다)


위 예문에서 when절의 ‘벨이 울린 사건’과, 주절의 ‘그가 밖에 있었던 사건’은 동시에 발생합니다. 이 문장에서 when은 동시동작을 나타내는 ‘while'로 바꾸어 쓸 수도 있습니다.

 


3. 주절보다 나중에 발생


(3) When the bell rang, he had already left.

                  사건 A             사건 B

    (벨이 울렸을 때, 그는 이미 떠나고 없었다)


위 예문에서 ‘벨이 울린 사건’은 ‘그가 떠난 사건’보다 나중에 발생했습니다. 


그런데 3번 문장을 다음과 같이 쓰면 어떻게 될까요?


(3-1) When the bell rang, he left.

의미 a. 벨이 울리자 그는 떠났다.

의미 b. 벨이 울렸을 때, 그는 떠나고 없었다. (?)


(3-1) 문장은 보통 '의미 a'로 해석됩니다. ‘의미 b'를 표현하고 싶으면 3번과 같이 주절에 과거완료를 써 주어야 합니다. 시간의 선후 관계가 명백해지기 때문입니다.


예문을 하나 더 들어 보겠습니다.


      다음 문장은 두 가지 의미를 갖습니다.


(3-2) When she studied, she slept.

의미 a. 그녀가 공부할 때, 그녀는 잤다. (공부만하면 잤다는 의미)

의미 b. 그녀는 공부를 끝낸 후에 잤다.


이것은 좋은 문장이 아닙니다. 만약 '의미 b'를 나타내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시제를 분명하게 해주어야 합니다.


(3-3) When she had studied, she slept.

이제는 사건의 선후 관계가 정해져서 의미가 분명합니다. (특히 영작할 때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동시성을 기준으로 시간 접속사 when을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사절 주어  (8) 2014.02.05
if, when 차이  (2) 2014.02.04
종속접속사의 위치  (8) 2014.01.29
종속접속사와 쉼표  (5) 2014.01.28
등위접속사 or  (0) 2014.01.23

종속접속사의 위치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종속절의 위치를 공부하겠습니다.

 

★★★★☆

 

Don't try to be perfect.


아이러니하게도, 영어 실력이 향상됨에 따라서 영어에 자신이 없어집니다. 개구리가 되고 보니, 올챙이 시절에 몰랐던 것들이 눈에 보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영어에 고유한 뉘앙스는 오를 수 없는 절벽처럼 느껴집니다.


그러나 그렇게 좌절할 필요 없습니다. 우리가 어려워하는 것은 네이티브들도 어려워합니다. 그리고 어떤 언어를 ‘완벽’하게 마스터할 필요도 없습니다. 우리 중 누구도 한국어를 ‘완벽’하게 마스터하려고 하지는 않습니다.


영어는 수단입니다. 

자신의 목적에 맞게, 그 정도로만 공부하면 됩니다.



그럼 상당히 어려운 종속절의 위치를 공부해 볼까요?


   오늘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이동이 자유로운 종속접속사

2. 종속절의 위치에 따른 의미 차이



1. 이동이 자유로운 종속접속사


‘종속’이라는 줏대없어 보이는 이름 때문에 종속절은 자유롭지 못한 느낌을 줍니다. 반면 ‘등위’라는 이름은 뭔가 자유롭게 보입니다. 그런데 정말 그럴까요?


예문을 봅시다.


등위접속사 but

(1) He was tired, but he studied late.

    (그는 피곤했다, 그러나 그는 늦게까지 공부했다)


(1)번에서 두 문장 순서를 바꾸어 보겠습니다.

(1a) But he studied late, he was tired. (x)

등위접속사로 시작한 (1a)는 아예 말이 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등위접속사는 일반적으로 문장 뒤에만 와야 합니다.

 

‘종속’접속사는 어떨까요?

 

종속접속사 although

(2) He studied late although he was tired. (o)

(2-1) Although he was tired he studied late. (o)


위 문장들은 둘 다 문법적으로 옳습니다. 여기서 보듯이 ‘종속’ 접속사절은 이동이 자유롭습니다. 이러한 종속접속사의 이동 자유성이 다양한 문장을 가능하게 합니다.



2. 종속절의 위치에 따른 의미 차이


종속절은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문장 첫머리에 올 수도 있고 문장 끝에 올 수도 있습니다. 즉 다음과 같은 형태가 됩니다.


주절 + 종속절

종속절 + 주절


그렇다면 종속절의 위치와 의미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다음 예문들을 봅시다.


(2) He is conservative although he is young. (그는 보수적이다/ 비록 젊지만)

(2a) Although he is young, he is conservative. (비록 젊지만, 그는 보수적이다)


해석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although절에서는 위치에 따른 의미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종속절의 위치에 따른 의미 차이는 크게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종속절의 위치를 결정하는 절대적인 원칙은 없기 때문입니다.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기준을 적용하면 별 문제는 없습니다.


■ 종속절은 일반적으로 주절 뒤에 쓴다.

■ 종속절의 내용을 강조할 경우에는 주절 앞에 쓴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1) I left home when I was young. (나는 집을 떠났다/ 내가 어렸을 때)

(1a) When I was young, I left home. (내가 어렸을 때, 나는 집을 떠났다)

 

(1)번은 일반적인 진술로 주절의 사건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나는 집을 떠났다’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1a)는 종속절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어렸다’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이정도면 종속절을 활용하는데 큰 문제는 없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종속절의 위치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if, when 차이  (2) 2014.02.04
시간접속사 when  (2) 2014.02.02
종속접속사와 쉼표  (5) 2014.01.28
등위접속사 or  (0) 2014.01.23
접속사 but  (2) 2014.01.19

종속접속사와 쉼표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종속접속사와 쉼표를 공부하겠습니다.



★★★☆☆



종속접속사의 활용


짧은 문장만으로는 우리의 생각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정보가 많을수록 문장은 길어지게 됩니다. 종속접속사는 이렇게 복잡한 생각을 표현하는데 필수적입니다. 우리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이어주는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중요하고 많이 쓰이는 종속접속사이지만 정확한 쓰임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종속접속사의 의미를 중심으로 공부해온 탓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오늘부터 두 번에 걸쳐 종속접속사의 활용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입니다.


   종속접속사의 활용

1. 쉼표(,)의 사용

2. 종속절의 위치


1. 쉼표(,)의 활용 : 문장이 길 때


※ 다음 우리말을 영어로 옮겨 봅시다.


  → 그녀는 아름답다, 그러나 그녀는 다른 사람을 사랑한다.


위 우리말은 등위접속사 but과 종속접속사 although를 사용하여  같은 의미를 지닌 (1)~(3)으로 쓸 수 있습니다. 


(1) She is beautiful, but she loves someone else.        (등위접속사 but)

(2) Although she is beautiful, she loves someone else. (종속접속사 although, 문두)

(3) She loves someone else although she is beautiful (종족접속사 although, 문미)


위 문장에서 사용된 쉼표 사용의 규칙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번 : 등위접속사로 연결될 때

등위접속사로 연결된 문장 앞에는 쉼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but이 등위접속사이기 때문에 but이 이끄는 문장 앞에 쉼표(,)를 썼습니다.


(2)번 : 종속접속사가 문두에 위치

종속접속사가 문장 첫머리에 위치할 때는 쉼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2)번에서, although가 이끄는 절이 끝나는 부분에 쉼표(,)를 썼습니다.


(3)번 : 종속적이 문미에 위치

종속접속사가 이끄는 절이 문미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종속절 앞에 쉼표(,)를 쓰지 않습니다.

 

쉼표(,)의 사용은 명확하게 정해진 것이 없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것이 일반적이지만 위와 같이 쓰지 않는다고 틀렸다고 말할 수도 없습니다. 단지 위와 같은 경우에, 쉼표를 쓸지 안 쓸지 망설여지면 쓰는 것이 더 좋습니다.



2. 쉼표의 활용 : 문장이 짧을 때


쉼표는 원래 복잡하고 긴 문장을 분리해서 의미를 명확하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니 문장이 짧을 경우에는 굳이 쉼표로 연결할 필요가 없습니다. 자체로 의미가 분명하기 때문입니다.


(1) 등위접속사가 짧은 문장을 연결할 때

   → 쉼표를 생략한다.

① I stayed home and the others went out.

    (나는 집에 머물렀고 다른 사람들은 밖에 나갔다)

② I decided to stay home ,and the others went out to visit the market.

   (나는 집에 머무르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은 시장에 갔다)


보통 등위접속사로 연결된 문장 앞에는 쉼표(,)를 씁니다. 그렇지만 ①번과 같이 짧은 문장을 연결하는 등위접속사 앞에는 쉼표(,)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문장이 명확하기 때문입니다. ②번과 같이 문장이 길어질 경우에는 쉼표(,)를 써야 합니다.


(2) 종속접속사가 짧은 문장을 연결할 때

Although I stayed home, it was fun.

    (비록 내가 집에 머물렀지만, 재미있었다)

② It was fun although I stayed home.

    (재미있었다/ 집에 머물렀지만)


종속접속사로 연결된 문장이 첫 머리에 오면, 그 문장의 길이가 짧아도 ①번과 같이 쉼표(,)를 써 주어야 합니다. ②번과 같이 주절 뒤에 오면 쉼표(,)를 쓰지 않습니다.



오늘 공부한 쉼표(,) 사용 규칙을 정리해 봅시다.


등위접속사: 쉼표(,)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짧은 문장을 연결할 때는 생략한다)

종속접속사: 문장 첫머리에 위치할 때는 반드시 쉼표(,)를 쓴다.

               (주어절 뒤에 위치하면 쉼표(,)를 쓰지 않는다)


그럼 이상으로 종속접속사와 쉼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종속접속사의 위치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접속사 when  (2) 2014.02.02
종속접속사의 위치  (8) 2014.01.29
등위접속사 or  (0) 2014.01.23
접속사 but  (2) 2014.01.19
등위접속사 and  (4) 2014.01.16

등위접속사 or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등위접속사 or를 공부하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or의 기본 의미

2. or의 주의할 용법

3. or의 특수 용법



1. or의 기본 의미


or는 두 개나 그 이상의 대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의미를 갖습니다. or가 연결하는 단어나 문장은 형태가 같아야 합니다. or가 등위접속사이기 때문입니다.

 

(1) 두 개의 대상을 연결하는 or

(2) 세 개 이상의 대상을 연결할 때


(1) 두 개의 대상을 연결하는 or

or는 명사(구), 형용사, 부사, 동사, 절 등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 두 개의 대상 중에서 선택할 때

① Which do you like better, beer or whisky?   (명사 or 명사)

② Am I beautiful or ugly?   (형용사 or 형용사)

③ People pray loudly or quietly.   (부사 or 부사)

④ You can eat or drink whatever you like   (동사 or 동사)

⑤ You can stay at my home, or you can go to a hotel.   (문장 or 문장)

    (or로 연결되는 말들은 품사가 같음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①∼⑤는 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상황입니다. 그렇지만 제 3의 대안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1. Which do you like better, beer or whisky?

       No, thanks. I prefer water.

      (맥주가 좋아, 위스키가 좋아?)

      (아냐 됐어. 물이면 돼)


■ 두 개의 대상 중에서 다른 대안은 없을 때

두 개의 대안 중에서 반드시 하나를 선택해야 할 때는 either A or B를 사용합니다.

① Either Tom or I am mistaken.

    (Tom 또는 내가 실수 했다)

    (둘 말고 다른 사람이 실수했을 가능성은 없습니다)


② I think he is either Korean or Chinese.

    (그는 한국인이나 중국인일 것 같아)

 

(2) 세 개 이상의 대상을 연결할 때

세 개 이상의 항목을 연결하는 경우, 보통 마지막 항목 앞에만 or를 써줍니다. 앞의 두 항목들 앞에는 콤마(,)만 써줍니다. 이 경우, or 앞에는 콤마(,)를 쓸 수도 있고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① It can be black, white, or grey.

= It can be black, white or grey.

= It can be black or white or grey. (이렇게 써도 틀린 것은 아닙니다)

 


2. or의 주의할 용법


(1) 동사의 단수 복수

(2) or로 연결된 동사

(3) 부정어 + or


(1) 동사의 단수 복수

'A or B' 구문이 주어자리에 올 때는, 뒤에 있는 말 B에 동사의 인칭과 수를 일치시킵니다.

① Either he or I HAVE to go there.

    (그 아니면 내가 가야한다)

    (일인칭 I에 맞추어 동사 have가 왔음)

①-1. Either I or HE HAS to go there.

      (he에 맞추어 has가 왔음)

 

② If my wife or my children demand something, I can't deny it.

    (내 아내나 아이들이 뭔가를 요구하면, 나는 거절할 수 없다)

    (my children이 복수이므로 복수동사 demand가 왔음)


(2) or로 연결된 동사

동사가 or로 연결될 때는 반드시 형태가 같아야 합니다. 이 부분은 호응관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① He used to go to the gym or play outside.

   (=He used to GO the gym or he used to PLAY outside)

   (그는 체육관에 가거나 밖에서 놀거나 하곤 했었다)

①번에서 or 다음에 play는 의미상 'used to'에 연결됩니다. 'used to'에서 to는 ‘to 부정사’이므로 동사원형 play를 썼습니다.


② He went to the gym or played outside.

   (=He WENT to the gym or he PLAYED outside)

   (그는 체육관에 갔거나 밖에서 놀았다)

②번에서 played는 과거동사 went와 호응관계를 이룹니다. 그러므로 과거동사 played를 썼습니다.


(3) 부정어 + or

부정어 다음에는 or를 써야 합니다. 부정어 다음에 and를 쓰면 안 됩니다.

① I don't like coffee OR beer. (o)

   = I like neither coffer nor beer.

   (나는 커피나 맥주를 좋아하지 않는다)

①번은 선택을 나타내는 or가 들어갔지만 사실 양자를 부정하고 있습니다. 즉, 커피도 싫고 맥주도 싫다는 의미입니다. or 때문에 한 쪽만 싫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부정문 + or'는 'neither A nor B'와 같은 뜻으로 바꾸어 쓸 수도 있습니다.


② I don't like coffee AND beer. (x)

'부정문 + or'를 ‘부정문 + and'로 쓰면 안 됩니다. 우리 말로 옮기면 ’커피도 싫고 맥주도 싫다‘가 되지만 영어로는 이렇게 쓰지 않습니다. 간단하게 ’부정어 다음에는 or를 쓴다‘고 정리해 두시면 됩니다. (참고로, 이 부분은 수학에 나오는 명제의 부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영어 보다는 논리라는 느낌이 들어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합니다)

 


3. or의 특수 용법


명령문 + or

or는 명령문과 함께 쓰여서 조건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이때 조건절에는 부정의 의미가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합니다.


① Hurry up, or you will miss the train.

   = If you DON'T hurry up, you will miss the train.

    (서둘러라, 그렇지 않으면 기차를 놓칠 것이다)


② Start now, or you will be late.

   = If you don't start now, you will be late.

    (당장 출발해라, 그렇지 않으면 늦을 것이다)


위 예문들에서 보듯이 or절을 if절로 바꾸면 부정어가 들어가는 것에 주의해야 합니다. 선택을 나타내는 or에 부정의 의미가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다음과 같은 문장을 봅시다.


③ Is it a boy or a girl?

    (남자니, 여자니?)

③번에서 or는 이것 ‘아니면’ 저것을 나타냅니다. 즉, 다른 것을 부정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나온 의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접속사 or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속접속사의 위치  (8) 2014.01.29
종속접속사와 쉼표  (5) 2014.01.28
접속사 but  (2) 2014.01.19
등위접속사 and  (4) 2014.01.16
등위접속사 (coordinate conjunction)  (6) 2014.01.15

접속사 but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but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난이도 ★★★☆☆


잘 아시다시피 but은 앞에서 한 말과 반대·대조되는 내용을 소개할 때 사용합니다. 이 때 but은 ‘하지만, 그러나’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등위접속사입니다. 이 밖에도 but은 종속접속사와 관계대명사 전치사의 역할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절과 절을 연결하는 but

2. 단어와 단어를 연결하는 but

3. 관계대명사로 쓰이는 but

4. only의 뜻으로 쓰이는 but

5. except의 뜻으로 쓰이는 but


미리 말씀드리지만 각 용법의 명칭을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문장에서 but의 의미를 파악하는 정도면 충분합니다.


1. 절과 절을 연결하는 but

   (등위접속사)


등위접속사로 쓰인 but은 앞에 나온 문장과 반대되는 내용의 문장을 연결합니다.


(1) He is young, but he is wise.

    (그는 젊다, 그렇지만 그는 현명하다)

(2) I tried to understand him, but I can't.

    (나는 그를 이해하려고 했다, 그렇지만 나는 할 수 없었다)

(1),(2)번에서 but은 독립적으로 대등한 두 문장을 연결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등위접속사입니다.



2. 단어와 단어를 연결하는 but


등위접속사 but은 단어와 단어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but‘이 연결하는 것은 주로 형용사와 부사이며 서로 대조되는 내용이 옵니다. 이 때 주의할 것은 but으로 연결되는 말들은 서로 품사가 같아야 합니다.

(1) a small but comfortable sofa.   (형용사 but 형용사)

(2) You can lose your weight quickly but safely.   (부사 but 부사)

    (당신은 살을 뺄 수 있다/ 빠르지만 안전하게)



3. 관계대명사로 쓰이는 but


기능성(?) 어휘 but은 관계대명사로도 사용됩니다. 


관계대명사로 사용되는 but은 두 가지 특징을 갖습니다.

a. 선행사에 부정어를 포함한다.

b. but 다음 문장이 불완전하다. (주로 주어가 없다)


예문을 봅시다.


ex) There is no rule but has some exceptions.

  = There is no rule that(who) doesn't have some exception.

     (어떠한 규칙도 없다/ 예외를 가지지 않는 것은)

     (모든 규칙은 예외를 가진다)

위 예문에서 보았듯이 관계대명사로 쓰인 but은 ‘that(who) ~not'으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주의할 것은 관계대명사로 쓰인 but은 부정어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 주의

유사관계대명사 but은 참고 정도로만 보시길 바랍니다. 영어권 문법책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내용이고, 영어 구글 검색에도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아마 유사 관계대명사 문장을 실제로 사용하면 영어권 네이티브들은 알아듣지 못할 겁니다. 그러니 가볍게 읽어만 보시길 바랍니다.



4. except의 뜻으로 쓰이는 but

   (전치사 but)

all-, every, any-로 시작하는 단어와 함께 사용되는 but은 ‘~을 제외하고’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예문을 봅시다.


(1) I like every subject but math.

    (나는 모든 과목을 다 좋아한다/ 수학을 제외하고)

(2) You can have all but her.

    (너는 다 가질 수 있어/ 그녀를 제외하고)


(3) He can be anything but a gentleman.

    (그는 어떤 것이든 될 수 있어/ 신사를 제외하고)

    (그는 결코 신사가 될 수 없어)

   보통 ‘anything but''never(결코 ~이 아닌)’와 동의어 취급합니다.


(4) I can't feel anything for anyone but him.

    (나는 어떤 것도 못 느낀다/ 그를 제외한 어떤 사람에게도)

    

'but'의 뜻만 알면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문장들입니다.



5. only의 뜻으로 쓰이는 but

   (전치사 but)


부정어와 함께 사용된 but은 ‘only(오직)’라는 뜻을 갖습니다. 다음은 'but'과 함께 쓰이는 부정어들입니다.

(nobody, no one, none, nothing, nowhere) + but 


예문을 보면서 의미를 파악해 봅시다.


(1) You have nobody but yourself to blame.

    (너는 단지 너만을 탓해야 한다)

사실, (1)번에서 but은 ‘except(~을 제외하고)’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1)번을 해석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직역: 너는 너를 제외하고는 누구도 탓할 사람이 없다. (이 말을 의역하면)

의역: 너는 너만을 탓해야 한다.


그러므로 nobody but을 only라고 생각할 수 있는 것입니다.


예문을 몇 개 더 보겠습니다.


(2) None but the brave deserve the fair.

    (단지 용감한자만이 미인을 차지한다)

(3) I want nothing but love from you.

    (나는 사랑만을 원해/ 너에게서)

(4) He has lived nowhere but Seoul.

    (그는 서울서만 살아 왔다)


어떻습니까? 


간단하게 생각했던 but이 의외로 복잡하죠? 그래도 유사관계대명사를 제외하고는 많이 쓰이는 용법들입니다. 잘 정리해두시면 영어 실력에 큰 도움이 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but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속접속사와 쉼표  (5) 2014.01.28
등위접속사 or  (0) 2014.01.23
등위접속사 and  (4) 2014.01.16
등위접속사 (coordinate conjunction)  (6) 2014.01.15
재귀대명사 (reflexive pronoun)  (9) 2014.01.09

등위접속사 and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등위접속사 and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내용들입니다.

1. and의 기본적 의미

2. and의 주의할 용법

3. and의 특수 용법

 

1. and의 기본적 의미


접속사 and는 문맥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두 문장이 있을 때,

(1) 두 문장이 시간적으로 연속될 때

   ex) I shopped at the store, and I went home.

       (나는 가게에서 쇼핑했다, 그리고 집으로 갔다)


(2) 두 문장이 원인과 결과 관계일 때

   ex) It rained last night, and the road was wet.

       (어제 저녁에 비가 왔다, 그래서 길이 젖었다)


(3) 두 문장이 대조 관계일 때

   ex) Koreans like vegetables, and Chinese like meat.

   = Koreans like vegetables, but Chinese like meat.

cf) 대조를 나타낼 때는 but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의미가 분명하기 때문입니다.


(4) 한 문장이 다른 문장을 부연 설명할 때

   ex) I failed the exam, and that's the least of my problems.

      (나는 시험을 망쳤다, 그리고 더 큰 일들이 많다)

   ex) You have to do one thing now, and that is to beat it.

      (너는 한 가지를 당장 해야한다, 그것은 꺼지는 것이다)


(5) 한 문장이 다른 문장에 대하여 양보적 의미를 가질 때

   ex) We tried our best and (yet) we lost the game.

   = We tried our best ,but we lost the game.

   = Although we tried our best, we lost the game.

cf) 양보를 나타낼 경우에는 but, although를 쓰는 것이 더 낫습니다. 의미가 더 분명하기 때문입니다.


(6) 한 문장을 ‘그냥’ 다른 문장에 덧붙일 때

   ex) She has beautiful eyes and she likes sports.


이렇게 정리해 놓고 보니 만만했던 and가 어려워 졌습니다. 그렇다고 모든 의미들을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그저 한 번쯤 정리한다는 기분으로 보시길 바랍니다.

 


2. and의 주의할 용법


(1) 의미의 구별

다음 예를 봅시다.


① Young man and lady

①번은 한 명일까요, 두 명일까요? 당연히 'Young man + Young lady' 두 명입니다. 남성과 여성이 동시에 한 사람이 될 수는 없으니까요.


다음도 당연히 둘을 의미합니다.

② My wife and child

= My wife and my child

③ My bicycle and car

= My bicycle and my car

등위접속사 다음에서는 반복되는 말은 생략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①,②,③번에서는 and 다음에 반복되는 young, my를 써주는 것이 더 의미가 분명해 집니다.


조금 더 복잡한 예를 봅시다.


④ Kate and Jim got married.

    (Kate와 Jim은 결혼했다)

⑤ Both Kate and Jim got married.

    (Kate와 Jim은 모두 결혼했다)

④번에서 Kate와 Jim은 부부가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⑤번에서는 Kate와 Jim은 각각 다른 사람과 결혼했습니다. ‘and’는 ‘더하기’ 개념이고 'both A and B'는 'A‘와 ’B' 각각을 강조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익숙한 단어지만 정확히 쓰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2) 주어 동사의 일치

'and‘는 기본적으로 ’더하기‘ 개념이므로 복수 취급합니다. 하나 더하기 하나가 둘이 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① A boy and a girl ARE meeting. (A and B는 복수취급)

② To study and to play are both necessary. (A and B 복수취급)


원칙적으로 'A and B'는 복수취급을 합니다. 그러나 and로 연결된 두 대상이 밀접한 관계에 있을 때는 단수 취급합니다.


① Slow and steady wins the race. (단일 개념)

    (느리고 꾸준한 것이 결구 이긴다)

② Curry and rice is what I like best. (단일 대상)

    (카레밥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것이다)

③ Trial and error is a great teacher. (단일 개념)

    (시행착오는 위대한 스승이다)

④ All work and no play makes Jack a dull boy. (단일 개념)

    (공부만하고 놀지 않으면 애가 바보 된다)

 

(3) 수식어와 and

  1) 형용사들이 하나가 될 수 있는 경우: and를 쓰지 않는다.

명사 앞에 두 개 이상의 형용사가 올 때, 형용사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and를 쓰지 않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형용사들이 명사 안에서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① a beautiful shiny car (o)

    a beautiful and shiny car (x)

② rapid technological change (o)

    rapid and technological change (x)

①번에서 차는 ‘아름다우면서도 빛날 수’있습니다. ②번에서 변화는 ‘빠르면서도 기술적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형용사들이 명사를 수식하면서 ‘하나’가 될 때는 and를 쓸 필요가 없습니다.


  2) 형용사들이 하나가 될 수 없는 경우: and로 연결한다

그러나 형용사가 하나가 될 수 없는 경우에는 and로 연결해야 합니다.


▪ 색깔을 나타내는 형용사가 연속될 경우에는 and를 씁니다.

③ a black and white TV. (o)

    a black white TV (x)

④ wise and foolish people (o)

    wise foolish people (o)


③번에서 검정이면서 하얀색은 있을 수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and를 썼습니다. ④번에서도 '현명한 동시에 멍청한‘ 것은 있을 수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and를 썼습니다.

 

▪ 서로 다르거나 반대되는 형용사가 연속될 경우에도 and를 씁니다.

⑤ Korean and Chinese language (o)

    Korean Chinese language (x)

⑥ large and small cities (o)

    large small cities (x)

⑦ psychological and physical effects of alcohol (o)

    psychological physical effects of alcohol (x)


⑤번에서 한국어와 중국어는 하나가 될 수 없으므로 and로 연결했습니다. ⑥번에서도 large와 small은 동시에 존재할 수 없으므로 and를 썼습니다. ⑦번에서 'psychological과 physical은 하나가 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and로 연결했습니다.

 


3. and의 특수용법


(1) 명령문 + and

and는 명령문과 함께 쓰여 조건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① Get up early, and you will catch the plane.

 = If you get up early, you will catch the plane.

(일찍 일어나라, 그러면 비행기를 탈 수 있다)


② Smile, and the world will smile you back.

  = If you smile, the world will smile you back)

    (웃어라, 그러면 세상도 당신에게 웃을 것이다)

위에서 보듯이 ‘명령문 + and'는 'if 조건문’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명령문 + and'를 쓰는 것이 더 낫습니다. 간결한 표현을 놔두고 복잡한 표현을 쓸 이유가 없으니까요. 세상 모든 것과 마찬가지로 언어에도 경제성의 법칙이 적용됩니다.


(2) to 부정사 대신에 쓰이는 and

① I'll try and answer the question.

   = I'll try to answer the question.

② I'll wait and see what she is doing.

   = I'll wait to see what she is doing.


구어에서 try, wait 다음에는 to 부정사 대신에 and를 쓰기도 합니다. ①번에서 'try and'는 약간 어색합니다. 그렇지만 ②번에서는 'wait and see'가 훨씬 자연스럽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and에 대한 중요한 사항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기본적인 사항보다는 실제 영어를 쓰고 말할 때 주의할 점 위주로 설명했습니다. 잘 읽어 보시고 활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다음에 뵙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위접속사 or  (0) 2014.01.23
접속사 but  (2) 2014.01.19
등위접속사 (coordinate conjunction)  (6) 2014.01.15
재귀대명사 (reflexive pronoun)  (9) 2014.01.09
either 용법정리  (6) 2014.01.08

등위접속사 (coordinate conjunction)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등위접속사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등위접속사 (coordinate conjunction)


등위접속사(coordinate conjunction)는 두 개의 대상을 문법적으로 대등하게 연결합니다. 문법적으로 대등하다는 말을 어렵게 생각할 필요는 없습니다. ‘형태가 같은’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영어에서 대표적인 등위접속사에는 and, but, or, nor, for, yet, so가 있습니다. 이들 접속사의 앞글자만 따서 ‘FANBOYS'라고 외우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보통 등위접속사라고 하면 ’and, but, or(nor)'를 말합니다. 나머지들은 종속접속사와 겹치는 부분이 있기 때문입니다.


순수한 등위접속사인가 그렇지 않은가는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중요한 것은 등위접속사를 문장에서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입니다.



등위접속사를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주의해야 합니다.



1. 문법적으로 대등한 대상을 연결한다.


등위접속사가 연결하는 대상은 문법적으로 같아야 합니다. 단어는 단어끼리, 문장은 문장끼리 연결해야 합니다.


(1) 단어와 단어를 연결할 때

    등위접속사로 단어와 단어를 연결할 때는 품사가 서로 같아야 합니다.

① 명사 ↔ 명사 : a boy and a girl

② 형용사 ↔ 형용사 : poor but happy

③ 부사 ↔ 부사 : slowly and carefully

④ 동사 ↔ 동사 : read or write


위 예들에서 보듯이 등위접속사로 연결되는 품사는 서로 같아야 합니다. 등위접속사로 서로 다른 품사를 연결하면 안됩니다.

 

(2) 구(phrase)와 구를 연결할 때

    등위접속사는, 문법적으로 같은 형태의 구와 구를 연결해야 합니다.

① to 부정사 ↔ to 부정사 : to work AND to play

② ~ing ↔ ~ing : selling OR buying

③ 전치사구 ↔ 전치사구 : at night BUT in the day

 

단어들끼리와 마찬가지로, 구끼리 연결할 때도 같은 형태끼리 연결해야 합니다.


(3) 문장과 문장을 연결할 때

    등위접속사는 문장과 문장을 연결합니다.

① I like tea, and my wife likes coffee.

② Life is hard on John, yet he doesn't give up.

(삶은 존에게 힘들다, 그렇지만 그는 포기하지 않는다)


등위접속사는 ‘문장 + 단어’, ‘문장+구’의 형태를 연결할 수 없습니다. 문장은 반드시 다른 문장과 연결해야 합니다.



2. 쉼표(,)의 사용


(1) 셋 이상을 연결할 때

세 개 이상의 항목을 등위접속사로 연결할 때는 쉼표(,)를 사용합니다. 이 때 등위 접속사 마지막 항목 앞에만 한번 써줍니다.

① 세 개 이상의 항목을 연결

   ex) I want love, peace, freedom ,and happiness.

    = I want love, peace, freedom and happiness.

       (이 경우 등위접속사 앞의 쉼표는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② 세 개 이상의 문장을 연결

   ex) They went to war, they fought the war, and they won the war.



(2) 두 문장을 연결하는 등위접속사 앞에는 쉼표(,)를 쓴다.

① I like an ice-cream, but my mom doesn't give it.

② I went to the library, and I borrowed books.


등위접속사로 연결된 독립적인(완전한) 문장 앞에서는 일반적으로 쉼표(,)를 사용합니다. 그렇지만 등위접속사 다음에 불완전한 문장이 오면 쉼표(,)를 쓰지 않습니다.


②-1. I went to the library and borrowed books.

위 문장에서는 등위접속사 and 다음에 주어 ‘I'가 생략되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등위접속사 앞에 쉼표(,)를 쓰지 않습니다.


(쉼표(,)에 대한 것은 다른 글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지금까지 등위접속사를 활용할 때 주의할 사항을 살펴 보았습니다. 다음 시간부터는 각각의 등위접속사를 살펴보겠습니다.


등위 접속사 문제풀이는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문제풀이] - 등위 접속사 문제풀이


그럼 안녕~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속사 but  (2) 2014.01.19
등위접속사 and  (4) 2014.01.16
재귀대명사 (reflexive pronoun)  (9) 2014.01.09
either 용법정리  (6) 2014.01.08
상호대명사 (each other, one another)  (0) 2014.01.07

재귀대명사 (reflexive pronoun)

안녕하세요, 송샘입니다.

오늘은 재귀대명사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내용입니다.

1. 재귀대명사를 쓰는 경우

   재귀적 용법, 강조적 용법

2. 재귀대명사의 위치

3. 재귀적 동사(구)

4. 전치사 + 재귀대명사

5. 재귀대명사를 쓰지 않는 경우



1. 재귀대명사를 쓰는 경우


-재귀적 용법, 강조적 용법-

재귀대명사는 인칭대명사에 ‘-self'를 붙여서 만듭니다. 재귀-원래 자리로 돌아가다-라는 말이 의미하는 것처럼 재귀대명사는 그 문장이나 문맥 안에 지칭하는 대상이 존재해야 합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재귀대명사는 자신이 지칭하는 말과 성·수·인칭이 반드시 일치해야 합니다.


My son broke the window himself.   (My son = himself)

The cat cleans itself.   (The cat = itself)

Geniuses teach themselves.   (Geniuses = themselves)


재귀대명사는 그 역할에 따라서 재귀적 용법과 강조적 용법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재귀적 용법 (주어 = 목적어)

주어가 목적어로 반복될 때 재귀대명사를 씁니다. 이것을 재귀적 용법이라고 하며, 이 경우 재귀대명사는 생략할 수 없습니다.


① He killed himself.

    (그는 자살했다)

이 문장에서 주어 he와 목적어 himself는 같은 사람입니다.


①번에서 목적어 자리에 인칭대명사 him을 쓰면 의미가 달라지게 됩니다.

①-1. He killed him.

    (그는 다른 사람을 죽였다)


재귀적 용법은 재귀대명사가 목적어로 쓰이기 때문에 생략할 수 없습니다. 다음은 재귀적 용법으로 사용된 재귀대명사들의 예입니다.


③ Listening to yourself is not an easy skill.

④ She considers herself a beauty.



(2) 강조적 용법

재귀대명사는 주어나 목적어 보어를 강조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재귀대명사는 ‘다름 아닌 바로 그 대상’을 의미합니다. (강조적 용법의 재귀대명사는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① I myself painted the picture. (주어 I 강조)

   = I painted the picture myself.

② Did you interview the writer himself? (목적어 the writer 강조)

③ She is the beauty itself. (보어 the beauty 강조)

    (그녀는 아름다움 자체이다)

 


2. 재귀대명사의 위치


강조적 용법의 재귀대명사는 지칭하는 말과 붙어 있을 수도 있고 떨어져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일상대화에서 강조적 용법의 재귀대명사는 지칭하는 말과 떨어져서 문장 끝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영어에서는 강조하는 말은 문장의 끝에 위치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① [He] himself did the cleaning.

② [He] did the cleaning himself.

①,②번은 둘 다 문법적으로는 옳은 문장들입니다. 그렇지만 ②번과 같이 주어를 강조하는 재귀대명사 himself를 문장 끝에 써주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보통 강조적 용법의 재귀대명사는 문장 끝에 두지만, 학문적인 글에서는 지칭하는 말 바로 다음에 강조적 용법의 재귀대명사를 놓습니다. 학문적인 글은 길이가 길어서, 지칭하는 말과 재귀대명사가 떨어져 있을 경우 의미에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ex) This explains why the representation of the totem is more sacred than [the totemic object] itself.

(Longman Grammar에서 인용)

 


3. 재귀적 동사(구)


원칙적으로 대부분의 타동사는 주어가 목적어와 같을 때 재귀대명사를 목적어로 쓸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타동사는 이 규칙을 따릅니다. 그렇지만 어떤 동사들은 일반대명사보다는 재귀대명사를 목적어로 취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것들은 관용적인 용법이므로 문장을 통해서 익혀둘 수 밖에 없습니다.


(1) 자동사 + 재귀대명사 (behave)

behave는 자동사이기 때문에 다음에 목적어 명사가 올 수 없습니다. 그러나 ‘처신 똑바로 해라’일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재귀대명사와 함께 쓸 수 있습니다.

ex) You should behave yourself! (너 처신 잘해야 한다)

    (이 경우 yourself 대신에 you를 쓸 수는 없습니다)



(2) 타동사 + 재귀대명사 (항상 재귀대명사를 취하는 동사들)

다음 동사들은 항상 재귀대명사를 목적어로 취합니다.

① avail oneself of (~을 이용하다)

    He availed himself of the situation

    (그는 그 상황을 이용했다)


② busy oneself (하느라 바쁘다)

    She busied herself fixing dinner.

    (그녀는 바빴다/ 저녁을 준비하느라)


③ content oneself (~에 만족하다)

    I content myself with a humble house.

    (나는 스스로 만족한다/ 소박한 집 한 채에)


④ pride oneself (~을 자부하다)

    She prides herself on her appearance.

    (그녀는 자부심을 갖는다/ 자신의 외모에 대해)



(3) 타동사 + 재귀대명사 (재귀대명사와 자주 쓰이는 동사들)

다음 동사들은 다른 명사를 목적어로 가질 수도 있고, 재귀대명사를 목적어로 취할 수도 있습니다.


① acquaint oneself (숙지시키다)

    You should acquaint yourself with your situation.

    (당신은 자신의 상황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② address oneself (문제를 다루다)

    We must address ourselves to the problem of air pollution.

    (우리는 다루어야 한다/ 공기 오염 문제를)


④ assert (단호하게 주장하다)

    How do I assert myself at work?

    (어떻게 직장에서 내 내 입장을 단호하게 주장하지?)


⑤ commit oneself (엄숙히 약속하다)

    I commit myself to being a good husband.

    (나는 엄숙히 약속한다/ 좋은 남편이 되는 것을)


⑥ distinguish oneself (유명하게 되다)

    He already distinguished himself as a writer.

    (그는 이미 유명하게 되었다/ 작가로서)


⑦ exert oneself (힘껏 노력하다)

    In order to succeed, we should exert ourselves.

    (성공하기 위하여, 우리들을 힘껏 노력해야 한다)


⑧ kid oneself (농담하다)

    Don't kid yourself! (농담 하지마!)


⑨ repeat itself (반복 되다)

    History has a funny way of repeating itself.

    (역사는 우스운 방식으로 반복된다)

 

⑩ suit yourself (마음대로 해라)



(4) 타동사 + 재귀대명사 (의미가 달라지는 동사)

compose 다음에 재귀대명사가 오면 의미가 달라집니다.


① compose (작곡하다)

    Mozart composed great musics.

    (모짜르트는 위대한 곡들을 작곡했다)


② compose oneself (감정이나 표정을 가다듬다)

    She tried to compose herself.

    (그녀는 노력했다/ 감정을 가다듬으려고)

 


4. 전치사 + 재귀대명사


‘전치사 + 재귀대명사’ 구문은 자주 쓰이기 때문에 문법이라기 보다는 ‘숙어’라고 생각하고 알아 두어야 합니다. 다음은 자주 사용되는 ‘전치사 + 재귀대명사’ 구문과 그 예문들입니다.


(1) beside onself (제 정신이 아닌)

    Cathy was beside herself with excitement.

    (Cathy는 제 정신이 아니었다/ 흥분으로)


(2) by oneself (=alone, 홀로)

    The old man lives by himself.

    (그 노인은 혼자 산다)


(3) of itself (=automatically, 저절로)

    The door opened of itself.

    (그 문은 열렸다/ 저절로)


(4) for oneself (=without any help, 혼자 힘으로)

    Do your homework for yourself.

    (숙제를 해라/ 혼자 힘으로)


(5) to oneself (자기 혼자만)

    He has a room to himself.

    (그는 자기만의 방이 있다)


 

5. 재귀대명사를 쓰지 않는 경우


지금까지 보아 왔듯이 주어가 목적어로 반복이 되면 재귀대명사를 씁니다.

① (You) Take care of yourself.   (명령문에서 you 생략)

   (잘 지내라)

①번에서 yourself는 전치사 of의 목적어로 쓰였고 문장에서 생략된 주어 you와 같기 때문에 재귀대명사를 썼습니다. 


그러나 주어가 목적어로 반복되더라도 전치사가 ‘공간적 위치’를 나타낼 경우에는 재귀대명사를 쓰지 않고 인칭대명사의 목적격을 씁니다.

② I slammed the door behind me.   (myself ?)

③ She glanced about her.   (herself ?)

    (그녀는 주위를 두리번거렸다)

②,③번에서 behind, about는 공간을 나타냅니다. 이렇게 전치사가 공간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전치사 다음에 인칭대명사가 주어와 같더라도 재귀대명사를 쓸 필요가 없습니다. 재귀대명사를 쓰지 않아도 대명사가 지칭하는 대상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지 않기 때문입니다. (물론 특별하게 의미를 강조하고 싶으면 전치사 다음에 재귀대명사를 써도 됩니다)

 

지금까지 재귀대명사에 대하여 길게 설명해 보았습니다. 잘 이해하신 다음 직접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안녕~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2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위접속사 and  (4) 2014.01.16
등위접속사 (coordinate conjunction)  (6) 2014.01.15
either 용법정리  (6) 2014.01.08
상호대명사 (each other, one another)  (0) 2014.01.07
neither 용법 정리  (4) 2014.01.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