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사




한정사


일단 한정사의 간단한 정의입니다.




수식의 강도


한정사는 관사보다는 강하고 전업 형용사보다는 약한 형용사입니다.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중요한 것은 한정사가 형용사의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세 가지 한정사


영어 한정사는 세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1. 관사 : a(n), the

2. 지시사 : this, that, these those, its

3. 소유격 : my, your, his, her, our, its, their




한정사 용법


앞에서 말씀드렸듯이 ‘보통명사’는 한정사와 함께 쓰이거나 복수형으로 써야합니다. 영어를 말하거나 쓸 때, 관사가 헷갈리면 한정사를 대신 쓰시면 됩니다. 한정사에서 중요한 용법은 두 가지입니다.

1. 관사와 한정사는 연속해서 쓸 수 없다.

2. 한정사는 형용사 앞에 써야한다.




한정사 용법 설명


1번은 간단합니다. 'a my car, his the books' 같은 예들은 얼른 봐도 이상해 보입니다. 관사와 한정사를 함께 쓰면 안 됩니다.


2번이 중요합니다. 한정사는 반드시 형용사 앞에 써야합니다. ‘Old my book'같은 말은 없습니다. ’my old book'이 되어야합니다. 뒤에 형용사에서 설명하겠지만, 형용사가 여러 개 올때는 약한 형용사부터 쓰면 됩니다. 즉, 중요한 형용사일수록 명사 가까이 위치합니다. 중요한 사람일수록 가까이 두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이 정도 알고 계시면 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보통명사




이번 시간에는 보통명사의 사용법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감’적인 요소가 들어가서 약간 어려울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해하고 활용하셔야 합니다.


보통명사 규칙


앞에서 보았듯이 보통명사는 ‘전체를 나타내는 이름’입니다. 예를 들어 ‘girl'은 여자아이 전체를 나타냅니다. 그런데 보통명사를 쓸 때 반드시 기억해야 할 규칙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이 규칙입니다.

보통명사는 절대 혼자 쓰일 수 없다




소녀: a girl, the girl, girls


외국인인 우리는 영어를 공부할 때 ‘보통 명사’를 따로 외웁니다. 보통 다음과 같이 외우게 됩니다.

소녀  girl


그렇지만 영어권 네이티브들은 girl을 절대 따로 외우지 않습니다. 걔네들 머리 속에서 소녀는 ‘girl'이 아니라 ’a girl, the girl, girls'가 됩니다. 즉, 관사를 붙이거나 복수형을 함께 사용하는 것입니다. 




종족대표, 대표단수(?)


그러나 비영어권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규칙을 만들어서 이것을 외워야 합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터프한 규칙’이 등장하게 됩니다.


종족대표, 대표단수 


저도 영어를 처음 공부할 때 이 거창한 이름에 놀란 기억이 납니다. 문법서에 나온 규칙을 그대로 옮겨 보겠습니다.


종족대표, 대표단수

부정관사 + 보통명사     a girl

정관사 + 보통명사        the girl

보통명사의 복수형        girls




보통명사 용법


이렇게 정해 놓으니 언어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기계적인 공식을 암기하는 것이 되어버립니다. 그래서 우리들은 이렇게 정리합시다.


보통명사는 절대 혼자 쓰일 수 없다.


보통명사는 실제 말이나 글에서 반드시 ‘관사나 한정사’와 함께 사용되어야 합니다. 'girl'이란 표현은 실제로 다음과 같이 사용해야 합니다.

a girl                           (부정관사 + 보통명사)

the girl                        (정관사 + 보통명사)

girls                            (보통명사의 복수형)

my girl, this girl, that girl  (한정사 + 보통명사)




소녀들 전체는?


그렇다면 ‘특정한 소녀’가 아니라 ‘소녀 전체’를 나타내는 표현을 위해서는 무엇을 써야 할까요.


a girl, the girl, girls는 모두 ‘소녀들 전체’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소녀들 전체’를 표현할 때는 ‘girls(복수형)’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예문을 봅시다.

소녀들은 날씬해지고 싶어한다.

(1) A girl wants to be thin.

(2) The girl wants to be thin.

(3) Girls want to be thin.


셋 다 ‘소녀들 전체’를 나타낼 수 있다고 문법서에는 나와 있습니다. 그렇지만 실제 영어에서 ‘소녀전체’를 나타낼 때는 (3)번 복수형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지금까지 공부했던 것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보통명사는 절대로 혼자 쓸 수 없다.

(2) 전체를 나타낼 경우에는 복수형을 주로 사용한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나도 할 수 있다고!




우리 '액션' 공주님께서 우아하게 식사를 하십니다. ㅎ

서샘, 랭마 총각, 부럽죠?






'Back Up > 여기는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읽어 주는 아가...  (4) 2013.03.26
디지털 베이비... (IDENTITY)  (6) 2013.03.24
공주님, 뭘 보고 있니?  (6) 2013.03.18
멋진 인생!  (11) 2013.03.03
결론은 비타 500?  (6) 2013.02.22

집합명사, 군집명사




문법적으로 말하면 군집명사라는 카테고리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단지 집합명사가 복수로 사용되는 경우에 군집명사라고 합니다. 

그럼 집합명사를 다시 한 번 봅시다.



집합명사


집합명사: 같은 종류의 사람이나 사물이 여럿 모여서 전체를 이루는 명사입니다.


 family, class, police, committee, jury(배심원) 등


보시면 알겠지만 가족, 반, 경찰, 위원회 등의 명사는 한 사람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복수’의 성격을 가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집합명사와 군집명사


(1) The committee is going to agree with the proposal. (집합)

    (위원회는 그 제안에 동의할 것이다.)

(2) The committee were divided in their opinions. (군집)

     (위원회는 의견이 나뉘어졌다.)


(1)번을 봅시다. 동의한다는 것은 위위회 구성원들 전부의 생각이 ‘하나’로 모인다는 것입니다. 위원회 전체가 ‘하나’가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전체가 하나’가 될 때 집합명사라고 하며, ‘하나’이므로 단수 취급합니다.


(2)번은 위원회 구성원들의 생각이 제 각각입니다. 여러 개의 의견으로 나뉘어 졌습니다. 이렇게 그룹이 전체가 되지 못하고 ‘개별적’으로 나뉘게 되면 군집명사라고 하며, ‘여럿’이 되었으므로 복수 취급합니다.




정리



문제 적용


간단한 문제를 보면서 적용해 보겠습니다.

(1) The jury (has, have) reached the verdict.

    (배심원들은 평결을 내렸다.)

(2) The jury (has, have) split in (its, their) opinions.

    (배심원들의 의견이 갈라졌다.)


(1)번은 has가 와야합니다. 평결을 내린다는 것은 배심원들 전체가 ‘하나’의 의견을 갖는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집합명사이고 단수 동사를 써야 합니다.


(2)번은 have가 와야합니다. 배심원들의 의견이 갈라진다는 것은 하나로 의견을 모으지 못했다는 말입니다. 여러 개의 의견으로 나누어졌으므로 군집명사입니다. 복수가 와야 합니다.



지금까지 집합명사와 군집명사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집합명사와 군집명사는 규칙을 외우는 것보다는 예문을 통해서 이해하셔야 합니다. 그래야 실제로 영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집합명사, 군집 명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셀 수 있다, 셀 수 없다



셀수있다, 셀수없다 (핵심정리 089)  동영상 강의




명사(대명사)를 공부하는데 가장 중요한 개념을 한 문장으로 정리하겠습니다.


'셀수 있다, 셀수없다.‘

(다른 말로, 가산·불가산이라고도 합니다.)


셀 수 있다, 셀 수 없다


이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셔야 합니다. 이것을 이해하지 못하시면 문법 토대 전체가 흔들릴 수도 있습니다. 개별적인 복수형들은 차근차근 공부하시면 됩니다. 먼저 전체적인 그림을 그립시다.

그래서 명사(대명사)를 시작하는 첫 강의 제목을 ‘셀 수있다, 셀수없다’로 정했습니다. 영문법에서 ‘셀수 있다, 셀수없다’는 동전의 양면같은 개념이다보니 하나만 정확히 알면 나머지는 따라옵니다.




정리해보겠습니다.



셀 수 있다, 셀 수 없다 규칙




설명입니다.


셀수 있는 명사 'book'셀 수 없는 명사 ‘water'를 가지고 설명하겠습니다.


(1) 부정관사


a book (o)    a water (x)


책은 셀 수있는 말이므로 ‘하나’를 뜻하는 부정관사를 붙일 수 있습니다. ‘a book'은 ’책 한권‘이 됩니다. water는 셀 수 없는 말이므로 부정관사를 쓸 수 없습니다. ’물 하나‘라는 없습니다.



(2) 복수형


books (o)    waters (x)


책은 셀 수 있는 말이므로 복수형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books는 ‘책 여러권’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렇지만 셀수 없는 말 water는 복수형을 붙일 수 없습니다. ‘물들’이라는 말은 없습니다.



(3) few, many


few books   (o)    few waters (x)

many books (o)    many waters (x)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few(몇개 없다)는 ‘최소한 두 개 이상’은 됩니다. 기본적으로 복수형입니다. many야 말할 필요도 없이 복수형이죠. 그러므로 'few, many'는 복수형과 써야 합니다. 단수형과는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책 몇권(few books), 많은 책들(many books) 가능합니다. 

그렇지만 'few, many'는 복수가 안되는 셀 수 없는 말들과는 쓸 수 업습니다. 그러므로 ‘few waters, many waters'는 원칙적으로 안 됩니다.




(4) little, much


little book  (x)   little water (o)

much book (x)   much water (o)


little, much는 셀수 없는 말에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셀 수 있는 말인 book과는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셀 수 없는 말인 water에는 'little, much'를 쓸 수 있습니다.




설명은 해드렸지만 사실 외우셔야 합니다. 명사(대명사)를 가장 확실하게 공부하시려면 위에 정리한 ‘셀 수 있다, 셀 수없다’ 규칙을 반드시 숙지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상으로 ‘셀수 있다, 셀수 없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접속사 (CONJUNCTION)


접속사 동영상 강의




이번 개념정리 시간에는 접속사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접속사는 말 그대로 ‘연결해 

주는 말’입니다. 


다음 간단한 예문들을 봅시다.


접속사의 예


(1) He AND I.                    (그와 나)

(2) Not Will, BUT Tom.         (Will이 아니라 Tom)

(3) I hope THAT he is well.   (나는 그가 건강하기를 바란다.)

(4) I will remain, IF you go.   (나는 남아있을 것이다, 만약 당신이 간다면.)




설명


이들 단어들, AND, BUT, THAT, IF들은 접속사라고 불립니다. 접속사는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을 연결합니다.

(1)번에서 ‘and’는 he와 I를 연결합니다.

(2)번에서 'but'은 Will과 Tom를 연결합니다.

(3)번에서 'that'은 ‘he is well'이라는 문장을 ’I hope'와 연결합니다.

(4)번에서 'if'는 'I will remain'이라는 문장을 'you go'와 연결합니다.




접속사에서 주의할 두 가지


(1) 접속사는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을 연결합니다. 접속사가 문장만을 연결하는 것은 아닙니다.

(2) 이 때 접속사는 연결하는 말은 반드시 ‘문법적’으로 같아야 합니다. 문법적이란 말이 어려우면 ‘형태’라고 알아 두시면 됩니다. 접속사는 형태가 같은 말끼리 연결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실제 적용


(1) 단어는 단어끼리 문장은 문장끼리 연결해야 합니다.

    단어끼리 연결  ex) He AND I.

    문장끼리 연결  ex) I will remain, IF you go.

   그렇지만 He, IF you go는 안됩니다. 단어와 문장이 연결되었기 때문입니다.




(2) 같은 품사끼리 연결해야 합니다.

    ① strong and beautiful   (o)

    ② strong and beautifully (x)

    ③ strong and beauty     (x)

①번은 같은 품사인 형용사끼리 연결되었습니다. 맞습니다.

②번은 형용사와 부사를 연결했습니다. 잘못되었습니다.

③번은 형용사와 명사를 연결했습니다. 잘못되었습니다.




정리하겠습니다.



접속사는 단어와 단어, 구와 구, 그리고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는 말입니다.


(1) 단어와 단어 

    Cindy AND George.

(2) 구와 구 

    This is the government of the people AND by the people.

(3) 문장과 문장 

    He will go, IF I remain.


이상으로 접속사 개념정리를 마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수동태 총정리

 

 

이번 시간에는 잠시(?) 복습을 해 보겠습니다. 온라인이다 보니 강의가 파편화 되는 경향이 없지 않습니다. 그래서 잠깐씩 지난 강좌를 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첫 번째 복습은 수동태에 대해서입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이 책 (영문법 핵심정리)은 ‘문법의 실용적 적용’을 목적으로 합니다. 그러므로 기초적인 설명은 생략함을 이해해 주시길 바랍니다.

 

 

그럼 수동태 복습을 시작하겠습니다. 

(내용이 많아 힘드시겠지만 해당 동영상 강의를 꼭 보시길 바랍니다.)

 

 

6가지 복습자료

 

 

 

 

1. 타동사만을 수동태로 바꿀 수 있다.

 

너무 당연한 말입니다. 타동사의 목적어가 수동태의 주어가 됩니다. 즉, 목적어가 있어야 수동태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영어에서 목적어를 가지는 동사는 타동사입니다. 그러므로 타동사만을 수동태로 바꿀 수 있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규칙이 나옵니다.

 

 

동영상 링크입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타동사 동사규칙 (핵심정리 008)

 

 

 

 

 

2. 자동사는 수동태로 바꿀 수 없다.

 

타동사와는 달리 자동사는 목적어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수동태로 바꿀 수 없습니다. 능동태에서 목적어가 없다는 말은, 수동태 문장에서 주어가 없다는 말입니다. 주어가 없는 문장은 성립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자동사는 수동태로 바꿀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영어에 있는 수 많은 자동사를 다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가능하지도 바람직하지도 않습니다. 시험에 자주 나오는 것 9개를 외워 두시기 바랍니다. 의미상으로 묶어 외우면 기억하기 훨씬 수월합니다. 

 

동영상 링크입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수동태 (핵심정리 007)

 

 

 

 

 

 

 

주의

prove나 turn out은 자동사(~으로 판명되다, 드러나다)로 쓰일 때에는 당연히 수동태로 바꿀 수 없습니다.

그러나 prove(증명하다)나 turn out(생산하다)이 타동사로 쓰일 때에는 목적어가 있으므로 수동태로 바꿀 수 있습니다.

 

 

(1) They turned out 700 million smartphones last year.  (생산하다) 

(2) 700 million smartphones were turned out last year.  (생산하다, 수동태 가능) 

 

 

 

 

 

3. 지각동사의 수동태, 사역동사의 수동태

 

지각․사역 동사는 능동태일 때 목적보어로 ‘동사원형’이 와야 합니다. 대표적인 지각 사역동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지각동사 : see, watch, feel, taste, smell

사역동사 : make, have, let

(1) I saw her sing.

(2) He made me go there.

 

 

그런데, 지각동사, 사역동사가 쓰인 5형식 문장이 수동태로 바뀌면 ‘동사원형’ 앞에 to를 꼭 써야 합니다.

(1) She was seen to sing by me.

(2) I was made to go there by him.

 

동영상 링크입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지각 사역동사 수동태 (핵심정리 011)

 

 

 

4. 여러가지 수동태

 

 

수동태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be + p.p.입니다. 여기서 몇 가지 수동형들이 만들지는데,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진행형 수동태, 완료형 수동태, 동명사 수동태 등입니다.

 

동영상 링크입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여러가지 수동태 (핵심정리 010)

 

 

 

 

 

5. be known ~

 

그리고 같은 형태이지만 be + p.p. 뒤에 오는 전치사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표현도 있습니다. 역시 자주 쓰이고, 시험에도 자주 출제되는 중요한 표현들이므로 확실하게 외워 두시길 바랍니다.

동영상 링크입니다.

[송샘 영어교실/영문법 핵심정리 ] - be known ~ (핵심정리 012)

 

 

 

 

 

 

6. by, with 이외의 전치사를 사용하는 경우

 

 

수동태에서는 일반적으로 행위자 앞에 전치사 by, 행위물 앞에 전치사 with를 사용합니다. 그렇지만 다음과 같이 다른 전치사를 쓰는 표현들이 있습니다. 숙어라고 생각하시고 외워두셔야 합니다.

 

단순 숙어이므로 동영상은 없습니다. 

 

 

해당 순서대로 동영상을 올립니다. 

잘 보시길 바랍니다.

 

1. 타동사만을 수동태로 바꿀 수 있다.

 

 

 

 

2. 자동사는 수동태로 바꿀 수 없다.

 

 

 

 

3. 지각동사의 수동태, 사역동사의 수동태

 

 

 

4. 여러가지 수동태

 

 

 

5. be known ~

 

 

 

이상으로 수동태 총정리 강의를 마치겠습니다.

 

 
수동태 직전 정리
이 책은 10분 동안에 '수동태'를 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시험이 얼마 남지 않은 학생들을 위해, 자세한 문법 설명 대신 핵심적인 내용을 간결하게 정리했습니다. 핵심 문법 정리: '수동태'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문법만을 모아놓았습니다. 간결한 구성: 불필요한 설명 없이 필요한 내용만 담았습니다 편리한 학습: 스마트폰으로 10분 동안 간편하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저자
송성태
출판
남과 다른 나
출판일
2024.08.21

'송성태 영문법 > 총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 부정사 형용사적 용법 총정리  (1) 2025.04.17
전치사 의미 총정리  (0) 2025.04.03
현재완료 총정리  (12) 2025.04.03
영문법 용어 정리  (0) 2014.08.16
관계대명사 총정리  (44) 2013.04.27

뭘까?




어른들의 눈에는 아무 것도 없는데...

콘크리트에 흙 뿐인데...


우리 공주님은,

뭘 보고 있는 걸까?


...


나는 뭘 보지 못하는 걸까?





'Back Up > 여기는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베이비... (IDENTITY)  (6) 2013.03.24
공주님의 식사...  (10) 2013.03.20
멋진 인생!  (11) 2013.03.03
결론은 비타 500?  (6) 2013.02.22
공주님의 첫눈  (6) 2013.02.12

otherwise 




9강 가정법 마지막 강좌입니다. 제 가정법 강좌를 정리하시고 싶은 분들은 성문기본영어 ‘제 7장’ 가정법 편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제 책 나올때 까지요.) (^ ^)

 


otherwise는 해석


이번 시간에는 네 번째 ‘어법성 if 대용어구’ otherwise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otherwise는 대용어구중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것 중에 하나이므로 잘 익혀두시길 바랍니다. otherwise는 시제를 묻는 형식으로 시험에 출제되지는 않습니다. 단지, 간결함으로 인해 해석에 자주 나오기 때문에 정확히 알고 계셔야 합니다.


주의하실 것은 otherwise는 가정법으로만 쓰이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단순히 조건을 나타낼 때에도 otherwise는 쓰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가정법으로 바꾸는 것은 생략하고 해석위주로 설명하겠습니다.




otherwise 해석


일단 otherwise는 다음과 같이 해석하시면 됩니다.


if 대용어구 otherwise

(1) 현재시제 + otherwise ⇒ 그렇지 않다면

(2) 과거시제 + otherwise ⇒ 그렇지 않았다면




예문을 보겠습니다.



1. otherwise (조건, 가정)

(if 대용어구)


(현재시제 + otherwise)

(1) You need to control your diet, otherwise you would(will) end up fat. 

    (너는 식사 좀 조절해야돼, 그렇지 않으면 너는 결국 뚱뚱해지고 말거야.)


(과거시제 + otherwise)

(2) You controlled your diet well, otherwise you would have been fat.

    (너 식사 조절 잘했어. 그렇지 않았다면 너는 뚱뚱해지고 말았을 거야.)




otherwise는 또한 고유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2. otherwise 고유 의미


(그 외에는)

(1) I am hen-pecked. Otherwise I am happy.

    (나는 공처가다. 그 외에는 행복하다.)


(달리)

(2) He is Superman, otherwise known as 'Iron Man'.

    (그는 수퍼맨이다, ‘강철의 사나이’라고 달리 알려진.)




어떻습니까? 


otherwise 해석에 대해서 감이 잡히셨을 걸로 생각합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여기서 설명하는 otherwise는 의미가 중요합니다. 영문해석에 자주 나오는 것이니 확실하게 익혀 두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상으로 otherwise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9장 가정법 강의가 끝났습니다.

다음시간부터는 10장 명사와 대명사 강의를 시작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여러분.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It is time that 가정법




이번 시간에는 세 번째 ‘어법성 if 대용어구’ ‘It is (high) time (that) ~’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할 때인데, 왜 안하고 있니? (사실의 반대 가정)


기본적으로 이 말은 가정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간단한 상황을 만들어 봤습니다.


밤 11시가 넘었는데 초등학교 3학년 아들이 잠을 안자고 컴퓨터를 하고 있습니다. 그 꼴을 보다 못한 엄마가 한 소리 합니다.


"It is (high) time (that) you slept."


(지금은 잠들어 있어야 할때다...(그런데 왜 안자고 있니?))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당연히 어떤 일을 하고 있어야 하는데 안하고 있으니 사실의 반대입니다. 그래서 가정법 취급을 하는 것입니다.



It is time 세 가지 용법


It is (high) time (that) ~은 다음과 같은 세가지 쓰임이 있습니다.

 

(바로) ~할 때이다.

(1) It is (high) time (that) 주어 과거형

(2) It is (high) time (that) 주어 should 동사원형

(3) It is (high) time (that) 주어 동사원형




각 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1) It is time that 쓰임 (기본형)


'It is (high) time that'은 다음과 같이 사용됩니다.


의미: (바로) ~할 때이다.

용법: It is (high) time that 주어 과거동사.


It is (high) time that은 ‘현재사실의 반대’를 나타내기 때문에 ‘가정법 과거’의 의미를 갖습니다. 그러므로 that 절에 ‘과거동사’를 주로 씁니다. 그리고 보통 high와 that은 자주 생략이 됩니다. 

"It is (high) time that) you stopped smoking."

(담배 끊었어야지...)

(아직 안 끊었네...)



예문을 봅시다.



(2) It is time that 쓰임 (should 동사원형)


(1)번 예문을 다시 봅시다.

(1) It is (high) time that you stopped smoking.

   (담대 그만 끊었어야지.)

   (‘왜 아직도 피우니’라는 의미)


그런데 1번 문장은 사실상 담배를 ‘끊어야 한다’라는 당위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당위성을 나타내는 조동사 ‘should’와 함께 쓸 수도 있습니다.


(2) It is (high) time that you should stop smoking.

(담배 끊어야해...)




(3) It is time that 쓰임 (should 생략)


그리고 'should'를 생략하고 동사원형만 쓰기도 합니다.


(3) It is (high) time that you stop smoking.

(담대 끊으라니깐...)



정리해 보겠습니다.


(바로) ~할 때이다.

(1) It is (high) time (that) 주어 과거형

(2) It is (high) time (that) 주어 should 동사원형

(3) It is (high) time (that) 주어 동사원형


어렵게 보이지만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It is (high) time that 과거형’이라는 문법이 파괴되어 가는 과정입니다. 그러니 여러분들에게 편한 방식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럼 이상으로 It is (high) time that 구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if 어법성 대용어구 but for(without)




이번 시간부터는 if 대신에 쓰일 수 있는 ‘어법성 대용어구’들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쉽게 설명해야 하는데, 원래 이부분이 어렵습니다. 죄송합니다. (ㅠ.ㅠ))


어법성 if 대용어구


‘if 대용어구들’은 핵심정리 강좌 84번에서 설명하였습니다. 그 때 정리했던 대용어구들은 단순히 ‘숙어’ 역할을 합니다. 즉, 문법이 결부되지 않아서 그냥 의미만 알고 쓰면 되는 것들이라는 말입니다. 그렇지만 지금부터 설명할 ‘어법성 if 대용어구들’은 고유한 어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개별적으로,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 가겠습니다.


‘어법성 if 대용어구’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but for(without) ~

2. unless ~

3. It is (high) time (that) ~

4. otherwise ~



첫 번째 설명할 ‘어법성 if대용어구’는 but for, without입니다. 미리 알아두실것은 without가정법과는 달리 'but for'가정법은 일상에서 잘 안쓰이는 표현입니다. 그저 공부라고 생각하고 알아두시면 됩니다.



but for(without)


'but for, without'은 가정법 과거로도, 가정법 과거완료로도 사용됩니다. 뒤에 오는 주절에 따라 시제가 결정됩니다. 해석은 가정법 과거일 경우에는 '~이 없다면‘, 가정법 과거완료일 경우에는 ’~이 없었다면‘이 됩니다.


그리고 but for, without이 가정법 과거로 쓰일 때는 'if it were not for ~', 가정법 과거완료로 사용될 때는 ‘if it had not been for'가 됩니다. 복잡한 것 같으니 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but for(without) 시제 판단

(if it were not for, if it had not been for)


But for without은 다른 가정법과 마찬가지로 시제가 출제됩니다. 그리고 but for(without)에 자체 시제가 없기 때문에 ‘if it were not for ~', 'if it had not been for ~'로 바꾸어서 출제 됩니다. 간단한 예문을 보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1) But for(Without) my wife, I would be an idiot.              (가정법 과거)

  ⇒ If it (were not for, had not been for) my wife, I would be an idiot.

(2) But for(Without) my wife, I would have been an idiot.    (가정법 과거완료)

  ⇒ If it (were not for, had not been for) my wife, I would have been an idiot.


(1)번에서는 ‘were not for’를 써야 합니다. 주절에 시제가 ‘would be'이므로 가정법 과거라서 그렇습니다.

(2)번에서는 ‘had not been for'를 써야 합니다. 주절의 시제가 ’would have been으로서 가정법 과거완료이기 때문입니다.




were it not for, had it not been for


그리고 'if it were not for ~' 'if it had not been for ~" 구문에서 if가 생략된 도치 구문도 잘 알아두셔야 합니다. 글에 많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위 문장을 예로 들어 봅시다.


(1) If it were not for my wife, I would be an idiot.

 ⇒ Were it not for my wife, I would be an idiot.             (if 생략 도치)

(2) If it had not been for my wife, I would have been an idiot.

   ⇒ Had it not been for my wife, I would have been an idiot. (if 생략 도치)




이쯤 알아두시면 but for(without)가정법은 거의 해결됩니다. 

이상으로 but for(without)가정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otherwise 용법 (if 대용어구)  (6) 2013.03.18
It is time 가정법  (19) 2013.03.17
if 생략 가정법  (10) 2013.03.16
if 대용어구들  (13) 2013.03.15
혼합가정법  (20) 2013.03.14

If 생략 가정법





이번 강좌 및 9강 가정법에 대한 정리는 성문기본영어 83페이지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소중한 책을 제 블로그에 사용하도록 승낙해주신 성문출판사에 감사드립니다.

(제가 보는 책이라 지저분한 점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이번 시간에는 if생략 가정법을 공부해보겠습니다.


3가지 if 생략


가정법에서는 if를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가정법에서 if가 생략되면 동사가 주어 앞으로 도치됩니다. 그런데 모든 동사가 도치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이 세 가지 형태로 사용됩니다.


1. Were 주어 ~                 (가정법 과거)

2. Had 주어 p.p ~             (가정법 과거완료)

3. Should 주어 동사원형 ~   (가정법 미래)




각 형태별로 예문을 들어 보겠습니다.



if 생략 예문


1. Were I single, I would be lonely. (가정법 과거)

    (내가 혼자라면, 외로울텐데.)

2. Had I been single, I would have been lonely. (가정법 과거완료)

   (내가 혼자였다면, 외로웠을텐데.)

3. Should I be single, I would(will) be lonely. (가정법 미래)

   (내가 혼자가 된다면, 외로울거야.)




if 포함 문장 (가정법 과거)


1번 문장을 if가 있는 형태로 써 보겠습니다.

1. If I were single, I would be lonely. (가정법 과거)

  ⇒ Were I single, I would be lonely.


if가정법 과거에서 if를 생략하여 were가 주어 앞으로 도치되었습니다. 여기서 주의하실 것은 도치되었어도 가정법 과거시제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주절에는 ‘조동사의 과거형(would) 동사원형’이 와야 합니다.


가정법 과거도치에서 주의할 것은 일반동사는 도치가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저도 확실한 이유를 설명해 드릴 수 없습니다. 구글에서 가능한 영어 예문을 검색했지만 나오는 것이 없었습니다. 그저, 가정법에서 일반동사의 도치 표현은 쓰이지 않는다고 알아두셔도 될 것 같습니다.




if 포함 문장 (가정법 과거완료)


2번 문장을 if가 있는 형태로 써 보겠습니다.

2. If I had been single, I would have been lonely. (가정법 과거완료)

  ⇒ Had I been single, I would have been lonely.


if가정법 과거완료에서 if를 생략하여 had가 주어 앞으로 도치되었습니다. 역시 도치되었어도 가정법 과거완료라는 것은 변함이 없습니다. 그래서 주절에 ‘조동사 과거형 had p.p'가 왔습니다.



if 포함 문장 (가정법 미래)


3번 문장을 if가 있는 형태로 써 보겠습니다.

3. If I should be single, I would be lonely. (가정법 미래)

Should I be single, I would be lonely.


if 가정법 미래에서 if가 생략되어 should가 주어 앞으로 도치되었습니다. 도치되었지만 가정법 미래이므로, 주절에는 would 동사원형이 왔습니다. (이 경우에는 will도 가능합니다.)




if 생략: 잘 안쓰임


상당히 복잡하게 보일 겁니다. 그렇지만 if생략 가정법은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문학표현이거나 잘난척할 경우가 아니라면 일부러 쓰지는 않습니다. if생략 가정법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형태는 뜻밖에도 가정법 미래에서 should가 도치되는 표현입니다. 물론 잘난척하는 표현이죠. 이렇게 사용됩니다.


Should you choose the red pill, there will be no turning back.

(만약 당신이 빨간약을 선택한다면, 돌이킬 수 없어.)


매트릭스 1편에 나온 모피어스의 말을 약간 응용해 봤습니다.





if생략 가정법은 시험에도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혹 나온다면 시제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도치된 문장의 주절을 보면 쉽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위 예문 설명으로 충분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럼 이상으로 if 생략 가정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is time 가정법  (19) 2013.03.17
but for, without, if it were not for, it it had not been for  (3) 2013.03.16
if 대용어구들  (13) 2013.03.15
혼합가정법  (20) 2013.03.14
if 가정법 미래  (16) 2013.03.13

if 대용어구 




이번 시간부터는 가정법에서 ‘if대용어구’를 설명하겠습니다. 상당히 많은 대용어구가 있기 때문에 의미와 쓰임이 같은 것으로 묶어 설명 하겠습니다.


성문기본영어 대용어구


역시 if 대용어구가 잘 정리되어 있는 성문 기본영어 88페이지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소중한 책의 일부를 제 블로그에 사용하도록 승낙해 주신 성문출판사 분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if 대용어구와 의미


이번 시간에는 여기에 있는 대용구들에 대한 예문을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그리고 다음시간부터 각 대용어구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that이 있는 각 표현들에서 ‘that'은 생략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that과 함께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께서는 발음해 보시고 편한 것을 고르시면 됩니다.  (unless등 기타 대용어구는 별도로 설명합니다.)


if 대용어구

1. suppose (supposing) (that) = (만약 ~한다면) 

2. granted (granting) (that)    = (~은 인정하지만, 비록 ~이지만)

3. provided (providing) (that)(만약 ~하기만 한다면)

4. in case, on condition (that)  = (~할 경우에 대비해서)

5. so long as, if only            = (~하는 한)


that은 생략이 대세


위의 대용어구들을 둘 다 외우실 필요는 없습니다. 더 많이 사용되는 것을 골라 하나만 외우시면 됩니다. 사용빈도는 구글 검색결과를 참조했습니다. 그리고 'that'은 점점 더 생략을 많이 하는 분위기입니다.




그럼 대용어구들의 구체적인 의미를 예문을 보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예문은 간결함을 위해 많이 쓰이는 것 하나만 준비했습니다.



1. suppose (supposing) (that)


1. suppose (supposing) (that) = (만약 ~한다면) 

 ex) Suppose (that) you are Superman, what would you do?

     당신이 수퍼맨이라면 무엇을 할겁니까?




2. granted (granting) (that)


2. granted (granting) (that) = (~은 인정하지만, 비록 ~이지만)

  ex) Granting (that) you are Superman, you can't change a woman. 

     당신이 수퍼맨이란 것은 인정하지만, 당신은 여자 한 사람도 바꿀 수 없어요.




3. provided (providing) (that)


3. provided (providing) (that) = (만약 ~하기만 한다면)

   ex) Providing (that) I am Superman, I can do anything.

    내가 수퍼맨이기만한다면, 나는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




4. in case, on condition that


4. in case, on condition that = (~할 경우에 대비해서)

   사용빈도: in case > on condition that

 ex) Superman. In case you meet Kryptonite, you'd better be prepared.

     수퍼맨. 크립터나이트를 만날경우에 대비해서, 잘 대비하세요.




5. so long as 


5. so long as (~하는 한)

ex) So long as you are Superman, you are invincible.

    당신이 수퍼맨인한, 당신은 무적이다.




이상으로 if 대용어구와 그에 대한 예문 설명을 마칩니다. 

긴글 읽어 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but for, without, if it were not for, it it had not been for  (3) 2013.03.16
if 생략 가정법  (10) 2013.03.16
혼합가정법  (20) 2013.03.14
if 가정법 미래  (16) 2013.03.13
as if, as though 가정법  (23) 2013.03.11

혼합가정법




혼합가정법 예문


일단 예문을 봅시다.

ex) If you had listened to my advice then, there would be no problem NOW.

    (당신이 내 충고를 따랐더라면, 지금 문제가 없었을텐데.)


이 문장을 보면, if절에는 과거완료가 있고, 주절에는 조동사 과거형 + 동사원형이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if절 시제는 가정법 과거완료, 주절의 시제는 가정법 과거가 됩니다. 즉, 과거사실에 대한 반대와 현재사실에 대한 반대가 섞여 있습니다.




혼합가정법의 형태


이렇게 시제가 섞여 있는 것을 ‘혼합 가정법’이라고 하며, 형태는 보통 다음과 같습니다.


If 주어 had pp, 주어 (조동사의 과거형) 동사원형


의미는 과거사실에 대한 반대 + 현재 사실의 반대입니다. 예문과 같이 (과거에) 내 충고를 따랐더라면, (지금) 문제가 없다는 것을 표현합니다.




혼합가정법 ⇒ 직설법


이 혼합 가정법 문장을 직설법으로 고쳐 보겠습니다.

ex) Because you did not listen to my advice then, there is a problem NOW.

    (당신이 그때 내 충고를 따르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 문제가 있다.)


혼합 가정법에서 주의할 것은 반드시 ‘현재를 나타내는 부사’가 와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시제를 결정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 문장에서는 NOW가 현재를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어렵게 보이겠지만 혼합 가정법은 그렇게 자주 쓰이지 않습니다. 그러니 위에 나온 정도만 이해하고 계시면 별 문제는 없을 겁니다.


그럼 혼합 가정법에 대한 설명은 이만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if 생략 가정법  (10) 2013.03.16
if 대용어구들  (13) 2013.03.15
if 가정법 미래  (16) 2013.03.13
as if, as though 가정법  (23) 2013.03.11
as if, as though 의미차이  (5) 2013.03.11

if 가정법 미래




가정법 미래 형식


※ 가정법 미래의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If 주어 should 동사원형 ~

(2) If 주어 were to 동사원형 ~


(1)번의 의미는 가능성이 낮은 미래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2)번은 부정적이면서도 불가능한 미래를 나타냅니다. 




예문을 통해서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가정법 미래 예문


(1) If you should win Lotto, what would you do?

    (만약 로또 되면 뭐할래?)

    (그럴리는 없지만 혹시 되면)

(2) If I were to be born again, I would marry my wife.

    (만약 내가 다시 태어나도, 내 아내와 결혼할 거야.)

    (다시 태어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예문 (1),(2)번은 가정법으로서 미래를 나타냅니다. 그렇지만 의미는 다릅니다. 

(1)번은 실현가능성이 거의 낮은 ‘설마’ 수준의 미래입니다. 

(2)번은 실현 불가능한 ‘절대 그럴 리가 없어’수준의 미래입니다. 예문을 보면 실현가능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가정법 미래의 의미를 정리해보겠습니다.


가정법 미래 의미 정리

가능성이 낮은 미래 

(1) If 주어 should 동사원형 ~   (혹시나 설마 수준의 미래)

(2) If 주어 were to 동사원형 ~ (절대 일어날 수 없는 미래)




조건을 나타내는 미래와 가정법 미래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가정법 미래와 조건


(1) If you should win Lotto, what would you do?     (가정법 미래)

(2) If I were to be born again, I will marry my wife.  (가정법 미래)

(3) If you save enough money, you can buy Ferrari.  (조건)

   (돈을 충분히 모으면, 페라리 살 수 있어.)


세 문장 다 미래를 나타내지만 실현 가능성에 차이가 있습니다. 

가정법 미래 표현인, (1)번 (2)번은 실현가능성이 극히 낮거나 없습니다. 

그렇지만 (3)번 조건절은 충분히(?) 실현 가능합니다.




가정법 미래와 조건절에 대한 의미차이는 이해하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이상으로 가정법 미래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if 대용어구들  (13) 2013.03.15
혼합가정법  (20) 2013.03.14
as if, as though 가정법  (23) 2013.03.11
as if, as though 의미차이  (5) 2013.03.11
wish 가정법  (13) 2013.03.11

as if(as though 가정법)




가정법 포인트


이번 시간에는 as if(as though) 가정법을 설명하겠습니다. 가정법을 공부하실 때는, 그 형태가 무엇이던지 반드시 기억하셔야 될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사실의 반대

(2) 시제가 중요


가정법은 사실의 반대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가정법에서는 시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s if(as though) 가정법


as if(as though)역시 가정법이므로 이 두 가지가 적용됩니다. as if(as though)는 사실의 반대를 표현합니다. 그리고 시제를 파악해야 합니다.


일단 as if(as though) 문장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가정법으로 쓰입니다.

(1) as if(as though) 과거동사 ⇒ 가정법 과거      ⇒ 현재사실의 반대

(2) as if(as though) 과거완료 ⇒ 가정법 과거완료 ⇒ 과거사실의 반대


as if(as though) 다음에 과거형이나 과거완료가 오면 가정법으로 사용됩니다.




as if(as though) 가정법 예문


예문을 보면서 공부해 봅시다.

as if(as though) 가정법

(1) He acts as if(as though) he was a genius.          (가정법 과거)

    (그는 천재인것 처럼 해동한다.)      

(2) He acts as if(as though) he had been a genius.   (가정법 과거완료)

    (그는 천재였던것처럼 행동한다.)


(1)(2)번 문장은 둘 다 가정법입니다. 그리고 as if(as though) 문장에서 가정법 시제를 판단할 때는 as if(as though) 다음에 있는 동사를 보면 됩니다.




직설법 in fact (현재)


(1)번은 'was'가 과거이므로 가정법 과거입니다. 의미는 현재 사실의 반대입니다. ‘그는 자기가 (지금) 천재인것처럼 행동한다’라는 의미입니다. 사실의 반대이므로 ‘사실 그는 천재가 아니다’라는 내용입니다.


직설법으로는 'in fact'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고칠 수 있습니다.

(1)번은 as if(as though) 다음에 과거시제가 왔습니다. 가정법 과거입니다.

(1) He acts as if(as though) he was a genius.  (가정법 과거)

    In fact, he is not a genius.                     (직설법 현재)

    (사실 그는 천재가 아니다.)


 


직설법 in fact (과거)


(2)번은 as if(as though) 다음에 과거완료가 왔습니다. 그러므로 가정법 과거완료이고, 과거사실의 반대를 나타냅니다. 의미는 ‘그는 (과거에) 천재였던것처럼 행동한다’입니다. 과거에 천재가 아니었다는 얘기죠. 역시 in fact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직설법으로 고칠 수 있습니다.


(2) He acts as if(as though) he had been a genius.  (가정법 과거완료)

    In fact, he was not a genius.                         (직설법 과거)

    (사실, 그는 과거에 천재가 아니었다.)



as if(as though)는 시험에 많이 나오는 문법은 아니지만 활용도가 높기 때문에 잘 알아두셔야 합니다.


그럼 다시 한번 as if(as though)를 정리하면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1) as if(as though) 과거동사 ⇒ 가정법 과거      ⇒ 현재사실의 반대

(2) as if(as though) 과거완료 ⇒ 가정법 과거완료 ⇒ 과거사실의 반대



딱딱한 내용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합가정법  (20) 2013.03.14
if 가정법 미래  (16) 2013.03.13
as if, as though 의미차이  (5) 2013.03.11
wish 가정법  (13) 2013.03.11
hope, wish 의미차이  (6) 2013.03.09

as if, as though


as if, as though 의미차이 (핵심정리 079)  동영상 강의





as if, as though 가정법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as if, as though의 차이에 대하여 간단히 말씀 드리겠습니다.


as if(as though): 마치 ~처럼


as if와 as though는 의미상의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서로 호환 가능합니다. ‘가능성’에 더 초점을 맞추고, ‘as if’가 ‘as though'보다 가능성이 낮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여러 사전들을 종합해 보면 큰 의미차이는 없습니다. 그래서 둘은 의미가 같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as if(as though) 예문


as if(as though)다음에는 주어 동사가 있는 절이 옵니다. 접속사이기 때문이죠. 그런데,


그 절에 있는 동사 시제에 따라서 내용이 달라집니다. 


한 번 봅시다.

(1) He acts as if(as though) he knew the answer.    (과거형)

    (그는 행동한다/ 자기가 답을 아는 것처럼.)

(2) He acts as if(as though) he knows the answer.   (현재형)

    (그는 행동한다/ 자기가 그 답을 아는 것처럼.)




as if(as though) 예문 설명


(1)번과 (2)번은 의미가 다릅니다. 어떻게 다를까요? 


                    (1)번은 ‘사실의 반대’를 나타내고 

                    (2)번은 ‘사실일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뉘앙스를 살려 해석해 보겠습니다.

(1) He acts as if(as though) he knew the answer. (가정)

    그는 행동한다/ 답을 아는 것처럼.                 (실제로는 답을 모르는데.)

(2) He acts as if(as though) he knows the answer. (사실일 가능성)

    그는 행동한다/ 답을 아는 것처럼.                  (웬지 알고 있는 것 같아...)

이런 의미차이가 있습니다. 


 다들 이해하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정리합시다.


(1) as if(as though) + 현재동사 ⇒ 사실일 가능성 있음

(2) as if(as though) + 과거동사 ⇒ 사실의 반대 (가정법)


그럼 다음 시간에는 as if(as though) 가정법에 대하여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if 가정법 미래  (16) 2013.03.13
as if, as though 가정법  (23) 2013.03.11
wish 가정법  (13) 2013.03.11
hope, wish 의미차이  (6) 2013.03.09
wish 용법  (2) 2013.03.09

I wish 가정법





이번 시간에는 I wish 가정법을 공부해보겠습니다. 아마 영어를 공부하는 분들이 가장 헷갈려하는 것 중 하나가 ‘I wish' 용법일거라 생각합니다. 


그럼 시작해 볼까요?


I wish 가정법 형태


편의상 I wish 가정법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겠습니다. wish가정법은 보통 'I wish ~'형태로 많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I wish 가정법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취합니다.

(1) I wish that 주어 과거동사 ⇒ 가정법 과거      ⇒ 현재사실의 반대

(2) I wish that 주어 과거완료 ⇒ 가정법 과거완료 ⇒ 과거사실의 반대


여기서 주의할 것은 wish의 시제에는 신경을 쓰지 마시라는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that절에서 동사의 시제입니다. 이 that절 동사의 시제가 'I wish' 가정법 시제를 결정합니다.




I wish 가정법 예문


(1) I wish that I were Superman.       (가정법 과거)

    (나는 바란다/ 내가 수퍼맨이기를)

(2) I wish that I had been Superman. (가정법 과거완료)

    (나는 바란다/ 내가 수퍼맨이었기를)


(1)번과 같이 ‘I wish that절’에 동사의 과거형이 오면 가정법 과거가 됩니다. 그리고 현재(소망시점) 사실의 반대를 의미합니다. ‘(지금) 수퍼맨이 아닌 것이 (지금) 아쉽다’는 내용입니다. 

(2)번에서는 'I wish that절‘에 동사의 과거완료형이 왔습니다. 이 경우에는 가정법 과거완료가 되어서 ’과거 사실의 반대‘를 의미합니다. ’(과거에) 수퍼맨이 아니었던 것이 (지금) 아쉽다‘는 말입니다.




I wish 가정법 ⇒ 직설법


(1)번과 (2)번을 직설법으로 고쳐 보겠습니다. I wish 가정법은 ‘사실이 아니것에 대한 아쉬움’을 나타냅니다. 그래서 직설법에서는 'I am(was) sorry'로 고쳐씁니다.


(1) I wish that I were Superman. (가정법 과거)

    I am sorry (that) I AM not Superman. (직설법)

(2) I wish that I had been Superman. (가정법 과거완료)

  ⇒ I am sorry that I WAS NOT Superman. (직설법)




이 내용을 다시 한번 정리해 보았습니다.


(1) I wish that 주어 과거동사 ⇒ 가정법 과거      ⇒ 현재사실의 반대

(2) I wish that 주어 과거완료 ⇒ 가정법 과거완료 ⇒ 과거사실의 반대



그럼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 if, as though 가정법  (23) 2013.03.11
as if, as though 의미차이  (5) 2013.03.11
hope, wish 의미차이  (6) 2013.03.09
wish 용법  (2) 2013.03.09
가정법 과거완료  (6) 2013.03.09

전치사 (PREPOSITION)




전치사


이번 개념정리 시간에는 전치사의 정의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전치사라고 하면 어렵게 생각하시는데 전혀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전치사의 정의는 상당히 다양하지만 이 책에서는 ‘명사 앞에 오는 말’이라고 정의하겠습니다. 




전치사 예문


간단한 예문을 보겠습니다.

예) The boy was NEAR the house.  (소년이 집 근처에 있었다.)

    The deer are IN the park.         (사슴들이 공원 안에 있다.)

    The church is ON the hill.         (교회가 언덕 위에 있다.)


설명

- 이들 단어들, near, in, on 등은 전치사라고 불립니다.

- near는 집에 대한 소년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 in은 공원에 대한 사슴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 on은 언덕에 대한 교회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전치사의 정의


이렇게 전치사는 명사나 대명사 앞에 놓여서, 그들과 다른 명사나 대명사 사이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명사나 대명사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는 말이 어려울 수 있으니, ‘단어들을 연결해주는 말’이라고 하겠습니다. 전치사의 정의입니다.


전치사는, 명사 앞에서 단어들을 연결해 주는 말입니다. 이 말을 줄여서 ‘전치사는 명사 앞에 오는 말’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전치사의 목적어


전치사 다음에 오는 명사 문법 용어로 ‘전치사의 목적어’라고 합니다. 


예문을 봅시다.

ex) The spider is ON the wall.   (거미가 벽 위에 있다.)


여기서 전치사 on 다음에 있는 명사 ‘the wall'은 전치사의 목적어가 됩니다.




이번시간에 배운 것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전치사: 명사 앞에 오는 말

전치사의 목적어: 전치사 다음에 오는 명사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hope VS wish





hope or wish (?)


이번 시간에는 hope와 wish의 의미차이를 공부해보겠습니다

보통 hope는 ‘희망하다’, wish는 ‘소망하다’라고 해석됩니다. 그렇지만 의미차이가 분명하게 들어오지는 않습니다.




wish > hope


결론부터 말하면 wish가 hope를 포함합니다.


벤다이어 그램으로 정리해 보시다.

hope = 실현가능

wish  = hope + 실현불가능 




hope: 실현가능한 미래


hope는 ‘미래에 가능한 일을 바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hope는 다음과 같이 사용됩니다.


ex) I hope that I will marry my love.

    (나는 희망한다/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하기를)


이 문장은,

I wish that I would marry my love. 라고 고쳐쓸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보듯이 hope와 wish는 의미가 겹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다음은 어떨까요?



wish: 실현 불가능(?)한 미래


 브래드 피트와 결혼을?

 ex) I wish that I would marry Brad Pitt.

     (나는 소망한다/ 브래드 피트와 결혼하기를.)


글쎄요,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하는 것은 충분히 실현가능한 ‘희망’입니다. 하지만 최고의 미남 ‘Brad Pitt'와 결혼한다는 것은 별로 실현 가능성이 없습니다. 이렇게 실현가능성이 없을 때, hope는 쓸 수 없습니다. wish를 써야 합니다.




정리해보면, hope는 실현가능한 일을 바라는 것

wish는 hope + 실현불가능한 일이 됩니다.


hope와 wish에 대한 의미차이는 이해하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송성태 샘이 쓴 "8배속 VOCA"가 출간 되었습니다. 

송성태 8배속 VOCA 보러가기 클릭!


'송성태 영문법 > 핵심정리 1부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 if, as though 의미차이  (5) 2013.03.11
wish 가정법  (13) 2013.03.11
wish 용법  (2) 2013.03.09
가정법 과거완료  (6) 2013.03.09
가정법 과거  (6) 2013.03.08

+ Recent posts